Abstract:
본 발명은 정전기방지층을 가지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 대전방지를 목적으로 액정 패널의 상부 유리 기판 및 편광판의 사이에 형성되던는 ITO층을 사용하지 않고도, 제조 또는 사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전기 등에 의한 기기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고온 또는 고습 조건에서의 내구신뢰성 및 광학적 특성 등의 제반 물성이 우수한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구동 방식 로울러 브라켓이 구비된 파이프 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밴딩슈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로울러의 유동이 기존 승하강 방식에서 전후방향의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선됨으로써 상부 하중의 영향으로 인한 장비 고장 발생을 방지함과 함께 밴딩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프레임(10)의 일측에 회동축(2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밴딩슈(20)와, 상기 밴딩슈(20)에 고정 구성되는 손잡이봉(30)과, 상기 밴딩슈(20)에 회동력 전달을 위해 구성된 회동레버(40)와, 상기 밴딩슈(20)의 하부에 구비되어 파이프(P)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로울러(51)가 상부 양측에 구성된 로울러 브라켓(50)과, 상기 로울러 브라켓(50)이 회동 가능하도록 하부에서 회동봉(61)에 의해 연결된 유동블럭(60)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파이프 밴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10) 일측에는 유동블럭(60)이 로울러 브라켓(50)과 함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70)가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70) 일측에는 유동블럭(60)의 슬라이딩 이동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레버(80)가 구성되며; 상기 조작레버(80)에 연결된 레버축(81)은 가이드 플레이트(70) 하부에서 유동블럭(60)과 구동링크(90)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밴딩슈 외주면에 외치기어을 형성하고 이와 맞물리는 작동래치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작동레버를 회동시켜 파이프를 밴딩시킴에 있어 작업자의 작동레버를 누르고 들어올리는 회동 작업이 편리하면서도 작동레버의 1회 누름시 정해진 각도로 밴딩슈가 회전될 수 있어 이로 인해 파이프가 정해진 양만큼 일정하게 밴딩될 수 있어 밴딩 작업이 수월하면서도 일률적인 밴딩각을 기대할 수 있는 밴딩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수동식 파이프 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 밴딩 장치를 구성하는 밴딩슈의 외주면에는 외치기어가 형성되고, 작동부 사이에는 제3 회동축에 의해 회동되고 단부가 상기 외치기어에 물리는 작동래치와, 상기 작동래치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DMT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로부터 더욱 고순도의 MFB를 정제하는 방법으로, (a) DMT의 제조과정에서 생성되며, 메틸포밀벤조에이트를 함유하는 반응 부산물에 알코올을 첨가하고 이를 여과하는 단계; (b) 상기 여과 후 여액에 (i) 히드록시아민 또는 히드록시아민의 무기산염 및 (ii) 알칼리 성분을 첨가하여 옥심화 반응을 통하여 여액 내의 메틸포밀벤조에이트를 메틸 4-히드록시이미노벤조에이트로 전환시키고 이를 여과하는 단계; (c) 상기 생성된 메틸 4-히드록시이미노벤조에이트 혼합물을 톨루엔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용해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혼합물에 산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더욱 고순도로 메틸포밀벤조에이트를 정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점착 시트, 그 제조 방법, 광학 필터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코로나 처리에 의해 기재 필름에 도입된 히드록시기와 점착제층에 포함되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통하여, 우수한 기재 밀착성을 가지는 점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카복실기 함유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점착 시트의 고온 안정성을 개선하면서도, 우수한 기재 밀착성을 가지는 점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경우에 따라서 실록산계 화합물을 포함하여, 초기 박리력의 상승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우수한 기재 밀착성, 고온 안정성, 유리에 대한 접착성 및 재작업성을 갖는 점착 시트, 그 제조 방법, 상기를 포함하는 광학 필터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Abstract:
본 고안은 철판 천공용 다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철판 천공작업과정에서 천공날이 다이스 본체의 바닥면과 직접 접촉에 따른 파손발생이 방지되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부품 파손발생을 방지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실린더(30)에 의해 승하강 구동이 이루어지며 하부에는 천공날(11)이 형성되어져 있는 천공체(10)와; 상기 천공체(10)의 하강 삽입이 가능하도록 삽입홈(21)이 형성된 상태에서 가공 대상물인 철판(1)이 지지되어지는 다이스 본체(20)와; 상기 다이스 본체(20)의 삽입홈(21) 바닥면에 안착 구비되어지는 탄성패드(40)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bstract:
본 고안은 밴딩각도의 자동 제어가 가능한 파이프 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파이프의 밴딩작업이 센서에 의해 자동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작업 신뢰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정밀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밴딩 작업이 이루어지게 될 장치본체(10); 상기 장치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20)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동이 이루어지며,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슈 지지공(31)이 형성되어져 있는 회동플레이트(30); 상기 회동플레이트(30)의 중심에 돌출 구성된 중심축(32); 상기 회동플레이트(30)의 중심축(32)에 삽입 결합되어지며 외주측에는 밴딩작업이 이루어질 파이프(P)가 안착되어질 수 있도록 안착홈(42)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각각의 슈 지지공(31)에 삽입 결합되도록 다수의 결합핀(41,41')이 돌출 구비된 밴딩슈(40); 상기 밴딩슈(40)의 회동을 감지하기 위해 장치본체(10) 내부에 구비된 감지센서(15); 상기 감지센서(15)의 위치 조절을 위해 장치본체의 외측면에 노출 구비되어진 조절다이얼(16);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한다. 파이프, 밴딩, 각도, 제어, 조절, 자동
Abstract:
본 고안은 밴딩각도의 자동 제어가 가능한 파이프 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파이프의 밴딩작업이 센서에 의해 자동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작업 신뢰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정밀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밴딩 작업이 이루어지게 될 장치본체(10); 상기 장치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20)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동이 이루어지며,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슈 지지공(31)이 형성되어져 있는 회동플레이트(30); 상기 회동플레이트(30)의 중심에 돌출 구성된 중심축(32); 상기 회동플레이트(30)의 중심축(32)에 삽입 결합되어지며 외주측에는 밴딩작업이 이루어질 파이프(P)가 안착되어질 수 있도록 안착홈(42)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각각의 슈 지지공(31)에 삽입 결합되도록 다수의 결합핀(41,41')이 돌출 구비된 밴딩슈(40); 상기 밴딩슈(40)의 회동을 감지하기 위해 장치본체(10) 내부에 구비된 감지센서(15); 상기 감지센서(15)의 위치 조절을 위해 장치본체의 외측면에 노출 구비되어진 조절다이얼(16);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한다. 파이프, 밴딩, 각도, 제어, 조절, 자동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 소각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소각처리기술이 근래에 와서는 고도로 발달하였으나 환경문제 등으로 새로운 규제 강화도 있게되고서도실용과정에 문제점들이 노출되어 지속적으로 연구개발하고 있는 현실이다. 설계당초에는 하자없는 좋은 설비였으나 특히 소각로 내부의 쓰레기 운반장치인 스토커나 미립자 분리를 위한 싸이크론 등이 갖고 있어야할 기계장치들이 비교적 고열상태인 소각로 내부에서 가동하게 되고 기계장치의 접촉 마찰 운동하는 부분이 제일 기피하는 미세분진속에서 가동하고 있어서 장기간 고열 속에서 계속 사용하게 되는 쓰레기 소각에서는 치명적인 결함으로 볼 수 있다. 또 하나 문제되는 것은 쓰레기의 유동적인 상태이다. 그야말로 쓰레기는 모든 폐기물 처리 대상인 점은 소각기술로 대응이 된다지만 건조한 날씨에 완전히 건조된 쓰레기를 처리하다가 강우나 강설에는 쓰레기 운반과정상 물 덩어리를 처리하게 되는 경우도 있게 되어서 소각로의 용량 한계를 넘어서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쓰레기 소각처리장치에서는 소각로 내부에 기계장치가 사용되는 스토커나 싸이크론 등이 일체 장치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쓰레기의 상태에 관계없이 쓰레기 건조과정을 갖추고 있고 쓰레기 소각로내의 쓰레기 운반은 화격자의 경사면을 이용하되 소각로내에 필요한 소각용의 대용량 공기는 부로워를 장착하여 강력한 풍압으로 쓰레기의 운반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서 기존 쓰레기 소각처리의 문제점 등을 완전 해결한 새로운 쓰레기 소각처리장치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