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수족관에 사용되는 사멸 장치의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사멸 장치는, 제1 전도성 메쉬, 제2 전도성 메쉬, 및 제1 전도성 메쉬와 제2 전도성 메쉬 사이에 위치되어, 제1 전도성 메쉬와 제2 전도성 메쉬를 절연시키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전도성 메쉬와 상기 제2 전도성 메쉬에 전압의 극성을 교번적으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에 사용되는 사멸 장치의 컨트롤러가 개시된다.
Abstract:
본 고안은 낙지 어획용 통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수공이 형성된 몸통튜브의 하단부 내측으로 깔때기형 트랩이 삽입 설치된 통발에 있어, 상기 통수공을 직사각 형태의 슬릿(Slit) 구멍으로 형성시키는 한편, 몸통튜브의 상단부에는 원판 형태의 개폐식 뚜껑을 설치함으로서, 좁은 틈을 찾아 측면으로 기어 들어가는 게의 습성에 따라 몸통튜브의 내부로 투입된 미끼용 게의 다리 부분이 통수공을 통하여 외부로 최대한 노출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미끼에 의한 낙지의 유인 및 어획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어획된 낙지의 다리 부분이 몸통튜브의 외부로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함에 따라, 어획된 낙지의 어체 회손을 최소화시켜 상품가치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하며, 통발로부터 낙지를 빼내는 작업 또한 개폐식 뚜껑을 이용하여 보다 더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튜브형 낙지 어획용 통발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PURPOSE: A fodder floating system is provided to prevent water pollution inside a floating fish cage, and to reduce the waste of management costs. CONSTITUTION: A fodder floating system for a floating fish cage using nano-microbubbles comprises an oxygen dissolving water supplier(200) formed on one side of an upper plate; a first supply line(210) where the oxygen dissolving water which is supplied from the oxygen dissolving water supplier flows in; a second supply line(220) where the oxygen dissolving water which is supplied from the first supply line flows in; and a spraying device(230) installed at the second supply line which sprays the 10-30nm nano-microbubbles to be attachable to the fodder.
Abstract:
본 발명은 소라 껍질을 상,하로 분할시킨 형태인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조립에 의하여 두족류 포획용 입구와 수용공간부가 제공된 제 1패각과, 상기 제 1패각의 내측 중심부에 배치되고 제 1패각의 수용공간부와 연이어지는 형태의 나선공간부를 제공하는 제 2패각으로 이루어지는 두족류 포획용 인공패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 1패각을 이루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결합구조를 별도의 외부체결링을 사용하지 않는 끼움식 구조로 개선시키는 동시에, 밧줄의 결속을 위한 밧줄고리 역시 하부케이스와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서, 인공패각의 제작에 필요한 부품의 개수 및 이에 따른 금형 비용을 최대한으로 줄이고, 인공패각의 조립작업과 밧줄의 결속작업을 보다 손쉽게 수행토록 하는 한편, 외부체결링이나 밧줄고리와 같� �� 소모품의 남용 및 밧줄고리와 제 1패각이 분리됨에 따른 인공패각의 불필요한 유실 또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포함하는 제 1패각 및 제 2패각을 생분해성 플라스틱 소재로 하되, 각 부품의 정밀한 사출성형이 가능하고 인공패각에 요구되는 물성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수지조성물을 적용하는 등, 한층 더 경제적이고 실용적이며 친환경적인 제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두족류 포획용 인공패각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marine vessel access device, comprising: a blocking unit which suspends a jellyfish protector or a silt protector in a buoy providing buoyancy and allows the unfolded state to be maintained in water by arranging ballast in the lower end of the jellyfish protector or the silt protector; a frame for a gate which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uoy on the water surface of the blocking unit and the jellyfish protector or a perforated portion of the silt protector and has a gateway to allow a vessel to be accessed; and a door which is installed to be rotated according to the access of the vessel on the gateway and forms one plane with the jellyfish protector or the silt protector to prevent a cr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rine vessel access device enables the vessel to be accessed in the sea where the jellyfish protector or the silt protector is installed.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ellyfish shielding net installed on a beach for preventing jellyfish from coming into a water play area on a beach.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ach net for preventing jellyfish, which is configured with a double structure of a rope fence installed to partition a water play area from the beach in a wall form, and a shielding net installed to be suspended on the rear part of the rope fence. The shielding net is closely supported by the rope fence in rising tide (flood tide) so that jellyfish is not flowed in to the water play area, and the blocking net is flown to the outer sea in outflowing water (ebb tide) so that various floating materials and foreign substances as well as jellyfish are swept to the sea. The jellyfish shielding net is easy to install and remove, and is able to quickly correspond in emergency. A sandbag anchor in a sandbag type is applied as an anchor for the rope fence so as to replace a metal anchor or a concrete anchor, which is strictly prohibited from being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people′s safety, and to secure the market competitiveness afterwards. Various small vessels including rigid inflatable boats for people rescue, or boating instruments for water play are able to be more safely operated around the shielding net without being bothered by a wing (∧) type rope structure, and lifesaving vessels are able to be quickly sent to the water play area over the shielding net.
Abstract:
A device for eliminating pathogens, used in an aquarium includes a first conductive mesh, a second conductive mesh, and a spacer located i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meshes for insulating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meshes. Disclosed is a controller of the eliminating device used in an aquarium characterized by alternately applying polarity of voltage to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meshes. [Reference numerals] (120) Controller; (130) Power supply
Abstract:
PURPOSE: A multi-stage circular water tank for a building for breeding live fish is provided to smoothly store and circulate water for the live fish with a minimized circulation piping system, and to easily remove foreign materials from the water tank. CONSTITUTION: A multi-stage circular water tank for a building for breeding live fish includes water tank posts(1), circular wall bodies(3), bottom plates(4), circular water tanks(2), and water level adjusting pipes(6). The circular water tanks for the live fish are installed in multiple layers with the predetermined interval towar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ter tank posts. The water tanks include the wall bodies and the bottom plates. The wall bodies have the height gradually decreasing toward the water tanks located on the upper side. Reinforcing connectors are integrated with the wall bodies for inserting the water tank posts. The reinforcing connectors include interval maintaining units.
Abstract:
해파리가 유입되는 입구와 유입된 해파리를 유출하는 출구를 갖는 망 형상의 유입망; 상기 유입망으로부터 유출되는 플랑크톤을 절단하는 절단 유닛;을 포함하는 범포 전개형 해파리 절단망이 개시된다. 이에 의해, 해파리를 크기에 따라 분리하고, 일정 크기 이상의 해파리는 절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 크기 이상의 해파리의 개수를 카운트할 수 있으므로, 기후 변화나 지역에 따른 해파리의 개수 및 그 변화 등을 학술적, 실용적 목적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