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公开(公告)号:KR100592591B1
公开(公告)日:2006-06-26
申请号:KR1020030096822
申请日:2003-12-24
Applicant: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C: G06F13/14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고속직렬버스 브리지 장치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고속직렬버스를 통하여 IEEE1394 장치의 수를 확장할 수 있으면서도, 전송선의 길이 제한을 없애고, 아울러 장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고속직렬버스 브리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직렬버스 브리지 장치에 있어서, 관리수단의 관리하에, 일 직렬버스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되, 실시간 전송을 위한 등시성(isochronous) 선입선출(FIFO) 메모리와, 비동기(asynchronous) 전송을 위한 요청(request) FIFO 메모리 및 응답(response) FIFO 메모리를 포함하는 저장수단; 상기 관리수단의 관리하에, 상기 일 직렬버스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헤더부분을 분리하여, 제어 및 상태 저장수단에 보관하고, 나머지 데이터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디프레머수단; 상기 관리수단의 관리하에,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한 다중화수단; 상기 관리수단의 관리하에, 상기 결정된 데이터에 헤더부분을 추가하여, 타 직렬버스 인터페이스부로 전송하는 프레머수단; 상기 관리수단의 관리하에, 상기 브리지 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의 상태 및 제어 정보와, 상기 일 직렬버스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헤더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상기 제어 및 상태 저장수단; 상기 브리지 장치의 스트림 처리와, 라우트 맵의 생성과, 네트의 생성 및 제거와, 전역 노드 아이디(ID)를 관리하는 관리수단; 및 상기 관리수단의 관리하에, 상기 직렬버스 인터페이스부와의 순환(cycle) 동기를 맞추기 위한 동기화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등에 이용됨.
IEEE1394, 고속직렬버스, 브리지, 홈네트워크, AV기기-
公开(公告)号:KR1020050065066A
公开(公告)日:2005-06-29
申请号:KR1020030096822
申请日:2003-12-24
Applicant: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C: G06F13/14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고속직렬버스 브리지 장치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고속직렬버스를 통하여 IEEE1394 장치의 수를 확장할 수 있으면서도, 전송선의 길이 제한을 없애고, 아울러 장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고속직렬버스 브리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직렬버스 브리지 장치에 있어서, 관리수단의 관리하에, 일 직렬버스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타 직렬버스 인터페이스부로 전송하기 위해 임시 저장하고 있는 저장수단; 상기 관리수단의 관리하에, 상기 일 직렬버스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헤더부분을 분리하여, 제어 및 상태 저장수단에 보관하고, 나머지 데이터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디프레머수단; 상기 관리수단의 관리하에,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데이터를 멀티플렉싱하여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한 멀티플렉싱수단; 상기 관리수단의 관리하에, 상기 결정된 데이터에 헤더부분을 추가하여, 타 직렬버스 인터페이스부로 전송하는 프레머수단; 상기 관리수단의 관리하에, 상기 브리지 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의 상태 및 제어 정보와, 상기 일 직렬버스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헤더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상기 제어 및 상태 저장수단; 상기 브리지 장치의 스트림 처리와, 라우트 맵의 생성과, 네트의 생성 및 제거와, 전역 노드 아이디(ID)를 관리하는 관리수단; 및 상기 관리수단의 관리하에, 상기 직렬버스 인터페이스부와의 순환(cycle) 동기를 맞추기 위한 동기화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등에 이용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