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오매( prunus mume )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오매 추출물은 피부가 각질화되어 죽은 세포로 이루어진 각질을 박리시키는 효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는 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 성분으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피부의 각질 제거 효과가 현저한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피부 각질 제거, 오매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measuring an effect of skin elasticity maintenance and improvement is provided to indirectly evaluate skin elasticity by a recovery degree of an artificial wrinkle. CONSTITUTION: Skin is marked based on the outer corner of the eye. Skin wrinkles are caused by compressing the marked skin part using an attaching unit without elasticity. The length of the compressed marked skin part is measured after the attaching unit is removed. The length of the compressed marked skin part is measured after 3 to 10 minutes. [Reference numerals] (AA) Reference of the outer corner of the eye; (BB) Before; (CC) Skin wrinkle induction; (DD) After
Abstract:
유효성분으로서 송절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 방지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세포 증식 및 콜라겐 생합성의 촉진 기능을 통해 피부 주름을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피부 미용 및 화장품 원료 분야에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송절, 주름개선, 피부세포, 콜라겐, 생합성, 피부 노화방지, 주름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