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분산 시스템에서의 시각 일치성 점검 방법에 관한 것으로, 운용 보전 프로세서에서 신호용 시그널 송신 시각차와 평균 전송 지연시간, 시스템 시각을 각각 산출하고 이중 시스템 시각을 호 접속 제어 프로세서에서 수신하여 자신이 운용중인 시각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한계치 이상의 시간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운용 보전 프로세서로 시스템 재전송 요구를 송신하고, 이에 따라 운용 보전 프로세서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시스템 시각으로 자신의 운용시각을 변경하여 신뢰성 있는 시각 운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분산 시스템에서의 시각 일치성 점검 방법이 개시된다.
Abstract:
1.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데이타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디스크 운영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데이타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스크를 덤프영역과 저장영역으로 분할하여 덤프 수행시에도 디스크에 데이타 수록이 가능하도록 운영할 수 있는 디스크 운영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디스크 영역을 덤프영역과 저장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데이타 덤프 요구시 저장영역을 덤프영역으로 덤프영역을 저장영역으로 절체한 후에 저장영역의 데이타를 덤프하는 단계; 및 데이타 저장 요구시 덤프수행중이라도 저장영역에 데이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데이타 덤프 수행중에도 새로 생성되는 데이타를 디스크에 저장할 수 있도록 디스크 영역을 운영함으로써, 덤프수행시 발생할 수 있는 데이타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에서 과금 데이타의 유실 방지에 이용됨.
Abstract:
본 발명은 ATM(Asyncronous Transfer Mode: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시스템과 같은 분산교환 시스템에서 운용중에 발생하는 가입자 및 서비스의 추가로 인한 교환기 구성 변경이 필요할 때에 각 자원의 구성변경을 효율적으로 진행하는 형상관리 및 구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원의 구성에 대한 정보는 교환기 내부에서 데이타베이스로 구성되어 관리되고 이러한 자원의 구성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교환기 기능인 운용관리와 호처리 기능이 동작한다. 자원의 구성이 변경될 때에 내부의 형상 정보의 구성 방법에 따라서 자원의 구성 변경은 교환기능의 일시적인 중단 형상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형상 정보는 물리적인 형상과 기능적인 형상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물리적인 형상은 기구물상에 특정 자원이 위치하고 있는 형상을 말하고 기능적인 형상은 물리적인 형상에서 나타나는 회로들이 담당하는 교환기능을 말한다. 이러한 물리적인 형상과 기능적 형상에는 구성하여야 한다. 또한 자원들 사이에는 기능상에 계층적인 관계성도 표현될 수 있으며 형상의 변경시 이 관계성이 손상되어서는 안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형상정보의 구성 방법과 일관된 형상관리 기능 구성 방법을 제시한다.
Abstract: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and maintenance subsystem having a knowledge base process in the access switching system(ASS). A system in order to achieve the said method having a telephony device maintenance handling block of access switching maintenance subsystem, a telephony common device test block, a line peripheral audit block, a interconnection network maintenance handling of the interconnection network maintenance subsystem, a interconnection network supervision and test block, a switch network audit block, a operation and maintenance device supervision test of central control maintenance subsystem.
Abstract: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에서 다중 메모리 버퍼를 이용한 적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프로세서 적재 절차중 가장 오랜 시간이 소비되는 하드디스크에서 메모리로 읽어 들이는 절차의 시간을 줄이고 적재 절차의 다중 실행 정도를 높이기 위하여 다중 메모리 버퍼와 적재 절차를 3개의 프로세스로 나누어 수행하는 적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운용 보전 프로세서가 시동될때 관리자 프로세스(202), 소비자 프로세스(204), 공급자 프로세스(203)가 시작되는 제1단계(301,308,314); 상기 관리자 프로세스(202)가 시동되면, 요구 큐(206)로 부터 적재 요구를 수신하여 메모리 버퍼(208)에 소프트웨어 블럭이 존재하면 준비 큐(207)에 소프트웨어 블럭의 정보를 넣고, 상기 메모리 버퍼(208)에 소프트웨어 블럭이 존재하지 않으면 대기 큐(205)에 소프트웨어 블럭의 정보를 넣는 제2단계(302 내지 307); 소비자 프로세스(204)가 시동되면 상기 준비 큐(207)로 부터 소프트웨어 블럭의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 버퍼(208)의 소프트웨어 블럭을 읽어 전송하는 제3단계(309 내지 313); 및 공급자 프로세스(203)가 시동되면 상기 대기 큐(205)로 부터 소프트웨어 블럭의 정보를 수신하여 빈 메모리 버퍼(208)로 읽어오는 제4단계(315 내지 320)를 포함하여 프로세서의 정지(down) 시간이 줄어들며, 시스템의 전체적인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ABT 서비스 제공시 셀 헤더 내의 VPI/VCI(Virtual Path Identifier /Virtual Channel Identifier)값을 이용하여 발생된 과부하 상태를 신속히 해소하고, 낭비되는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비동기 전달방식 교환기에서의 지능적 셀폐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셀이 진입되면 셀진입율이 초과되었는지 또는 현재 교환기가 과부하 상태인지 확인하는 제 1 단계; 상기 셀진입율 또는 현재 교환기의 과부하 상태에 따라 셀을 통화시키거나 진행중인 서비스가 ABT인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판단결과, 진행중인 서비스가 ABT 서비스가 아니면 해당 셀을 태깅시키거나 폐기히고 ABT 서비스이면 회선연결을 해제시키거나 해당 블럭을 폐기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서비스를 주로 이용하는 지역의 과부하 방지 및 해소에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분산 제어 환경에서의 이벤트 기반의 가용성 보장 운용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운용 단말 또는 망 관리부로부터 품질 보장형 서비스 라우터(QSR:QoS Service Router) 내의 응용 프로세서로 운용 서비스가 요청되면 품질 보장형 서비스 라우터 내의 제어 프로세서의 가용성 상태를 파악하고, 가용성 상태 파악 결과에 따라 가용 가능한 제어 프로세서를 선정하여 운용 서비스를 운용 단말 또는 망 관리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운용 시스템 또는 망 관리시스템의 운용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 분산 제어 환경에서 제어 프로세서의 가용성 상태를 파악하여 가용 가능한 제어 프로세서에 운용 서비스를 전달함으로써 시스템의 운용 안전성을 높일 수 있으며, 더 나은 운용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운용 서비스, 분산 제어 환경, 가용성
Abstract:
A method for constructing a tunnel network interface in a server of an IPv4 network and transmitting/receiving packets by using a tunnel network interface are provided to transmit/receive packets to/from each terminal by using a single tunnel network interface established in an OS(Operating System) of a server. When a new terminal attempts a connection(201), a server establishes information for the new terminal in a single tunnel network interface(202). The server sets an output network interface with respect to an IPv6 address of the new terminal as the tunnel network interface(203), and establishes a tunnel for the new terminal(204). The server checks whether there is a request for transmission of an IPv6 packet from an application program(205). If there is a request for transmission of an IPv6 packet, the server searches an IPv4 address and UDP port information by using destination IPv6 information as a key value(206), establishes an IPv4 or IPv6_UDP header by using the searched IPv4 information and transfers it to an IPv4 stack(207). The server transmits the packet transferred via the IPv4 stack to a corresponding terminal(208). The server checks whether an IPv4 packet has been received from an arbitrary terminal located in an IPv4 network(209). If an IPv4 packet has been received, the server checks whether the received packet is an IPv6 or UDP_IPv6 tunneling packet(210). If the received packet is the IPv6 or UDP_IPv6 tunneling packet and if the received packet has been tunneled to an IPv4 header, the server removes the IPv4 header, and if the received packet has been tunneled to an IPv4_UDP, the server removes a UD P header from a UDP stack(212). The server sets a packet reception interface as a tunnel network interface(213) and transfers the IPv4 header or IPv4_UDP header-deleted IPv6 packet to a reception processing routine of the tunnel network interface(214).
Abstract:
본 발명은 MPLS(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 네트워크 상에서 OAM (Operation & Maintenance) 성능 감시 패킷을 이용한 LSP(Label Switch Path)의 성능 파라미터 측정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MPLS OAM 패킷을 이용하여 두 LSR(Label Switch Router)간에 설정된 LSP의 패킷 손실률과 패킷 전달 지연 및 발생되는 지터를 측정할 수 있는 성능 측정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 MPLS OAM 기술이 LSP의 장애를 판단하는 데에만 국한되어 있는 한계를 극복하여 최근에 이슈가 되고 있는 SLA(Service Level Agreement)에 관련된 파라미터(패킷 손실률, 패킷 전달 지연 및 지터)를 필요한 새로운 필드들로 MPLS OAM 패킷의 페이로드 내에 추가하여 상기 추가된 새로운 필드들을 기반으로 SLA 성능 파라미터를 측정할 수 있는 성능 측정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MPLS(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 OAM(Operation & Maintenance), 성능 감시 패킷(performance monitoring packet), LSP(label switch path)
Abstract: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performance parameter of an LSP(Label Switch Path) using an OAM(Operation and Maintenance) performance monitoring packet in an MPLS(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 network are provided to calculates the value of an SLA(Service Level Agreement) performance parameter by calculating the packet loss rate of an LSP using the Tx counter field of an MPLS OAM packet and the packet delay and jitter of the LSP using the time stamp field of the MPLS OAM packet. A line interface unit for MPLS OAM packet processing consists of a packet transceiver part(710), a frame multiplexing/demultiplexing part(720), a network processor part(730) and a switch fabric interface part(740). The packet transceiver part(710) converts a plurality of data packets and OAM packets, which are optical signals, into electrical signals. The frame multiplexing/demultiplexing part(720) multiplexes the electrical data and OAM frames inputted from the packet transceiver part(710) and transfers them to the network processor part(730). Also the frame multiplexing/demultiplexing part(720) demultiplexes a plurality of packets, processed through the network processor part(730), and transfers them to the packet transceiver part(710). The network processor part(730) classifies inputted frames into data packets and OAM packets and processes them. The switch fabric interface part(740) delivers generic data packets to another line interface unit, based on forwarding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