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522B1 - Control method of hydroponic nutrient solution by quantity of crop transpiration and rhizosphere EC

    公开(公告)号:KR102234522B1

    公开(公告)日:2021-04-01

    申请号:KR1020180161221A

    申请日:2018-12-13

    CPC classification number: A01C23/007 A01G31/00 Y02P60/21

    Abstract: 본 발명은, 수경재배 양액 제어 방법으로서, (a) 증산량 추정 모듈(110)에서 증산량을 추정하고, 추정된 상기 증산량으로부터 배지에 공급할 양액의 급액량이 미리 설정된 방법에 의해 결정되는 단계(S100); (b) 급액 모듈(120)에서, 배지에 양액을 공급하며, 상기 배지에 공급되는 양액의 전이온농도(Electrical Conductivity, EC)가 측정되는 단계(S110); (c) 배액 모듈(130)에서, 상기 배지로부터 양액을 배출시키며, 상기 배지로부터 배출되는 배액의 전이온농도가 측정되는 단계(S120); 및 (d) 제어 모듈(140)에서, 상기 공급하는 양액 대비 배출되는 배액의 전이온농도(EC) 비율이 연산되며, 상기 전이온농도(EC) 비율에 따라, 상기 급액 모듈(120)을 제어하여 상기 공급하는 양액의 전이온농도(EC) 및 급액량을 제어하는 단계(S130); 를 포함하며, 상기 (d) 단계(S130)에서, 상기 제어 모듈(140)은, 상기 전이온농도(EC) 비율이 미리 결정된 범위일 경우에는 1차적으로 양액의 급액량을 증가시키며, 상기 전이온농도(EC) 비율이 상기 미리 결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2차적으로 상기 배지에 급액되는 양액의 전이온농도를 낮추는, 수경재배 양액 제어 방법를 제공한다.

    KR102234532B1 - Fishing pot
    113.
    发明专利

    公开(公告)号:KR102234532B1

    公开(公告)日:2021-03-31

    申请号:KR1020200146759A

    申请日:2020-11-05

    Applicant: 대한민국

    Inventor: 이건호 김현영

    CPC classification number: A01K69/08

    Abstract: 사각 또는 원형의 상부 및 하부틀이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틀이 일정간격으로 고정하고 연결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가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상하부틀 및 지지부재를 둘러싸며 그물감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를 둘러싸며 형성된 그물감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어구입구와 탈출구가 형성되는 탈출구가 부착된 통발어구를 제공함으로써, 갑장 64mm 이하의 어린 꽃게는 입망하여도 용이하게 탈출이 가능하여 어린 꽃게 보호가 가능함으로 기존의 자원량이 감소하는 원인이었던 무분별한 어획이 어려운 장점이 있다.

    KR102234198B1 - Sealing device for air-vent using magnetic force

    公开(公告)号:KR102234198B1

    公开(公告)日:2021-03-31

    申请号:KR1020190120062A

    申请日:2019-09-27

    Applicant: 대한민국

    CPC classification number: B63J2/10 B63J2/08 F24F13/20 F16B2001/0035 Y02T70/00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저장탱크의 내부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에어벤트를 밀봉하는 장치로서, 내부의 수용공간 중 상부수용공간에 상기 에어벤트의 개구부를 수용하는 밀봉본체; 상기 밀봉본체 내부의 수용공간 중 하부수용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에어벤트의 개구부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상기 밀봉본체를 상기 에어벤트의 개구부에 고정시키는 자력부재; 및 상기 상부수용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에어벤트의 개구부와 밀착됨으로써 상기 에어벤트를 밀봉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에어벤트 밀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밀봉본체에 자력부재를 구비하여, 에어벤트의 개구부에 밀봉본체의 고정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선박에 대한 해양사고 등이 발생하였을 때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에어벤트를 밀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보강부재를 더 구비하여 밀봉본체와 에어벤트의 개구부 사이의 고정상태를 강화시킴으로써, 에어벤트의 밀봉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KR20210034317A - Facility equipment remote sustem of miniature greenhouse

    公开(公告)号:KR20210034317A

    公开(公告)日:2021-03-30

    申请号:KR1020190116116A

    申请日:2019-09-20

    CPC classification number: G06Q50/02 A01G9/24 G06Q50/10 H04M1/72403

    Abstract: 본 발명은 소량의 전자 및 전기 설비를 운용하는 소형 온실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하게는 소형 온실 내 환경조절장치를 쉽고 간편하게 운용하기 위한 소형 온실의 시설 장비 원격관리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소형 온실의 시설 장비 원격관리 시스템은 소형 온실의 원격관리 장치와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소형 온실의 원격관리 장치는 통신 관리부, 제어부 및 시설 관리부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의 화면은 MCU상 APACHE 등의 웹서버 서비스를 운용함으로 구현할 수 있고, 목표의 사용자 화면으로의 접속 방법은 라우터가 WWW에 연결되어 있을 경우에는 DNS를 이용한 도메인네임접속을 시도하고, WWW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웹서버의 로컬 IP접속으로 호출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소형 온실의 시설 장비 원격관리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에는 도시 농업인들이 주로 이용하는 소형온실에서 사용자가 온실 내 환경조절장치를 언제든지, 어디서든지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시간 절약 및 노동력 절감 효과, 편의성 증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KR20210032676A - System and method for recognizing chemical accident and incident

    公开(公告)号:KR20210032676A

    公开(公告)日:2021-03-25

    申请号:KR1020190114000A

    申请日:2019-09-17

    CPC classification number: G06Q50/26 G06F40/284 G06Q10/0635 G16C99/00

    Abstract: 화학사고 인지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화학사고 인지 시스템은, 사고 발생 신고를 접수하여 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상기 키워드를 이용하여 화학사고를 인지하고 전파하는 화학사고 인지부, 및 상기 화학사고 인지부로부터 상기 화학사고를 전파받는 관리자 클라이언트를 포함한다.
    상기 화학사고 인지 방법은, 사용자 클라이언트, 화학사고 인지부, 및 관리자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화학사고 인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화학사고를 인지하는 방법으로서, 사고 발생 신고를 접수하여 상기 사고와 관련된 키워드를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입력하는 키워드 입력 단계, 상기 화학사고 인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키워드로부터 화학사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화학사고 판단 단계, 및 상기 화학사고를 상기 관리자 클라이언트에 전파하는 화학사고 전파 단계를 포함한다.

    KR102230868B1 - a kit for sterilization cotton bar having multi function

    公开(公告)号:KR102230868B1

    公开(公告)日:2021-03-23

    申请号:KR1020200133221A

    申请日:2020-10-15

    Applicant: 대한민국

    Inventor: 김준수

    CPC classification number: A61B10/0096 A01N1/0215 A61B10/02 C12M1/30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증거물을 신속 정확하게 채취 및 보관하되, 채취과정에서 증거물의 무결성을 확보하기 위한, 복합기능을 갖는 멸균 면봉이 수용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멸균 면봉이 수용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키트;
    상기 덮개 일측에 형성되고, 증거물을 채취하기 위한 낱개로 밀봉처리된 복수개의 멸균 면봉을 수용하는 제1수용부;
    상기 본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멸균 면봉을 낱개로 보관하기 위한 복수개의 보관용기가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수용부;
    상기 본체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증거물이 채취된 상기 멸균 면봉이 기밀상태로 수용된 상기 보관용기가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제3수용부;
    상기 멸균 면봉의 솜에 공급되는 멸균수가 임의량만큼 수용되는 카트리지형태의 복수개의 멸균수 용기가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제4수용부;
    상기 멸균수 용기의 멸균수를 상기 멸균 면봉의 솜에 임의량 공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주사기 형태의 멸균수 공급구가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제5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멸균 면봉이 수용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를 제공한다.

Patent Agency Ran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