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인간 도파민 수용체를 포함하는 나노베지클, 및 이를 포함하는 도파민 수용체 및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기반 도파민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파민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도파민 수용체를 포함하는 나노베지클을 제조하고, 이를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 적용하여 상기 도파민과 도파민 수용체의 결합에 의한 컨덕턴스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도파민의 농도와 전달 이상을 감지하여 질환을 진단할 수 있는 인간 도파민 수용체를 포함하는 나노베지클, 및 이를 포함하는 도파민 수용체 및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기반 도파민 센서에 관한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파민 수용체를 포함하는 나노베지클 및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기반의 도파민 바이오 센서는 도파민 물질의 신호 전달 기작과 유사하게 민감도 및 선택도가 우수하여 실시간으로 pM 범위까지 고특이적으로 도파민을 검출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전도성이 높은 그래핀을 이산화티타늄 나노섬유에 도입하여 이산화티타늄-그래핀 다공성 나노섬유를 제조하였다. 이는 기존의 이산화티타늄 나노섬유보다 전자 전달 속도가 더 빨라질 뿐만 아니라, 산화그래핀 내의 수산기, 카르복실기에서의 이산화티타늄의 추가적인 결정핵 생성에 의해 이산화티타늄의 낱알의 개수가 증가하고 이산화티타늄의 낱알 크기가 감소함으로써 나노섬유의 표면적이 획기적으로 향상되어 염료의 흡착량이 증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적용시 광전극의 태양광 이용률과 광전환 효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하였다.
Abstract:
본 발명은 균일한 표면 저항을 갖는 그래핀/폴리아닐린/폴리스타이렌술포네이트 하이브리드 박막 제조와 다이폴 태그 안테나 응용에 관한 것으로서, 흑연에 산화제인 과황산칼륨과 진공 여과법 및 초고주파를 도입하여 다층 구조 그래핀을 제조하고, 상기 다층 구조 그래핀에 전도성 고분자인 폴리아닐린 나노충전제와 상용화제 및 바인더로써 폴리스타이렌술포네이트을 첨가하여 스크린 프린팅용 전도성 잉크를 제조하며, 스크린 프린팅을 이용하여 유연성 필름 위에 그래핀/폴리아닐린/폴리스타이렌술포네이트 하이브리드 박막을 형성하여 다이폴 태그 안테나 전극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균일한 저항 특성을 갖는 그래핀/폴리아닐린/폴리스타이렌술포네이트 하이브리드 잉크를 제조하였고, 스크린 프린팅의 미세메쉬를 이용하여 원하는 모양, 크기와 균일한 두께를 갖는 그래핀/폴리아닐린/폴리스타이렌술포네이트 하이브리드 박막을 유연성 필름 위에 손쉽게 형성하는 기술을 제공하였으며, 가격 경쟁력이 우수한 흑연을 활용함으로써, 저가로 대량 생산하는데 유리함을 제공하였다. 또한, 상기 기술에 의해 제조된 그래핀/폴리아닐린/폴리스타이렌술포네이트 하이브리드 박막은 접힘이나 벤딩시 우수한 기계적 물성으로 인해 높은 유연성 특성을 유지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다이폴 태그 안테나용 전극으로 사용했을 때, 높은 전송 전력의 효율을 갖는 안테나 특성을 갖는다.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 노즐에 의한 금속 이온을 포함한 고분자 혼합용액 전기방사를 이용한 금속산화물이 부착된 삼차원적 극미세 혼합 탄소 나노섬유 제작에 관한 것으로, 금속이온을 포함한 고분자와 포함하지 않는 고분자가 용매에 분산되면서 점도차이에 의한 상 분리가 일어나 혼합 고분자 용액이 전기방사가 되면서 나노섬유가 코어-셀 구조로 상 분리가 일어나는 것을 활용하여 이를 열처리를 이용하여 극미세 탄소 나노섬유를 제조하고 이 표면에 금속 산화물이 뭉치는 현상 없이 고르게 부착시켜 1차원이 아닌 3차원을 구조를 가지고 또한 극대화된 표면적을 가지고 있는 혼합 탄소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고 저렴한 단일 노즐 전기방사에 의해 지름이 40나노미터인 극미세 혼합 탄소 나노섬유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 제조될 수 있는 극미세 혼합 탄소 나노섬유는 금속산화물 전구체의 종류, 양에 제한 없이 제조가 가능하다.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에 금속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빛의 산란과 표면 플라스몬 효과를 동시에 이용하여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극의 태양광 이용률과 광전 변환 효율이 향상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production of an SNO2 nanofiber composite with nitrogen-doped zinc oxide protrusion attached on the surface thereof and the application into a photocatalyst for decomposing organic pollutant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nanofiber composite comprises a step of manufacturing a core-shell nanofiber by electrospinning with a mixed solution including a metal oxide precursor by a single nozzle and a step of manufacturing the nanofiber composite by heat-treating the same and forming a nitrogen-doped zinc oxide protrusion on a cell part with a zinc oxide fiber. When the composite is used as a visible light photocatalyst for decomposing organic pollutants, the decomposition efficiency is excellent. BY the present invention, inorganic nanofiber composites are easily manufactured by a simple nozzle electrospinning method with low costs. Besides, the inorganic nanofiber manufactur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fluenced by the density of protrusion, size, and the diameter of a fiber and regardless of the kinds of organic materials, has effective photocatalyst performance. [Reference numerals] (AA) Nanoparticles; (BB) Nanofibe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roduction of porous titanium dioxide nanofibers having various sizes of pores using electricity spinning, and application of the same as transparent anode material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duces titanium dioxide/silicon dioxide mixed fibers having crystallizability through electric radiation of a titanium dioxide precursor/a silicon dioxide nanoparticle/a silicon dioxide/a polymer solution and a heat-treatment process. Then, etching the silicon dioxide using HF is performed to finally produce titanium dioxide nanofibers. According to the amount of precursors,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regulate pore sizes of titanium dioxide nanofibers and mass-manufacture due to the simple manufacturing method. Moreover, the porous titanium dioxide nanofibers having various sizes of pores produced using the method provide space for improving a surface area, enhancing electron movement speed, maximizing a scattering effect, and smooth flow of an electrolyte so as to improve efficacy of the dye-sensitized solar cells and to be able to be used next-generation energy material having excellent competence in industrie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