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미생물 용해 시스템과 ATP발광을 이용한 기상 중 부유 미생물 실시간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부유 미생물이 포집되며, ATP 반응 발광제가 도포되는 입자분류장치; 미생물을 용해하여 ATP(adenosine triphosphate)를 추출하는 미생물 용해 시스템; 및 미생물 용해 시스템에 의해 추출된 ATP가 입자분류장치에 도포된 ATP 반응 발광제와 반응하여 발생된 빛을 검출하도록 하는 수광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ATP 생물 발광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기상 중에 존재하는 부유미생물을 신속하게 측정하면서도 일련의 수작업을 거칠 필요가 없어 실시간 자동 측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안전화, 저가화를 함께 구현 가능한 기상 중 부유 미생물 실시간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사용자의 감정에 기반한 콘텐츠 수집 및 공유 서비스의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a) 생체 정보 수집기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사용자 단말의 공유요청에 따라, 기 수신된 복수개의 모니터링 데이터를 결합한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고,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이 접속할 수 있는 플랫폼 서버에 생성된 영상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모니터링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에서 표시되고 있는 텍스트, 이미지 및 비디오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으로 구성된 콘텐츠를 캡쳐한 데이터 또는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에너지를 이용한 에어컨디셔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이 남아도는 심야시간대에 장치의 내실에 채워둔 액냉매(liquid refrigerant)를 냉각시켜 관체를 통해 상기 내실을 통과하는 기체가 냉각된 찬공기로 외부 배출될 수 있도록 한 냉각에너지를 이용한 에어컨디셔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박스형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세로로 내재설치된 상태로, 기체의 주입 및 이동 그리고 이동 중 냉각된 기체의 배기 흐름을 관장하는 관체;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하여, 상기 관체의 경로를 따르는 기체가 냉각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공간을 냉각시키게 된 냉각기; 및, 상기 관체에 구비된 채로, 외기의 유입 및 유입량 조절을 통해 상기 관체에 의해 냉각된 기체의 온도가 변화되도록 한 냉기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bstract:
구동 명령 기반의 비젼 장치(vision device) 제어 시스템은, 이동 가능한 몸체; 상기 몸체에 연결되어 구동되며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비젼 장치; 구동 명령에 따라 상기 몸체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 명령을 이용하여 상기 몸체의 구동 정보를 산출하며, 산출된 구동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의 구동으로 인한 영향을 보상하도록 상기 비젼 장치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명령 기반의 비젼 장치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동 로봇 등의 물체가 이동 중인 경우에도 물체에 포함된 비젼 장치가 소정의 타겟을 주시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영상 정보를 얻을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판유리 사이의 공간이 진공상태가 되도록 복수의 판유리를 겹쳐서 만든 진공유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진공유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판유리를 저 융점 프릿(frit) 유리를 사용한 밀봉 접합시킴에 있어 수축 팽창이 자유로운 형상의 금속 박판을 삽입함으로써 복수의 판유리 양단의 온도차이에 의해 양단의 판유리가 서로 달리 수축과 팽창을 하더라도 stress가 발생치 않아, 진공 유리 양단에서의 온도 차이가 크더라도 양단 유리의 수축과 팽창 stress를 금속박판이 흡수함으로써 진공 유리의 휨(deflexion) 및 깨짐(crack)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저 융점 유리의 밀봉접합을 고 진공 분위기에서 수행함으로 산화에 의해 기능이 쉽게 상실되는 소프트 로이유리(soft type low-E glass), 반사유리, 색 변환(electrochromatic) 유리, 또는 태양전지기판이 형성된 유리 중 어느 하나의 기능성 판유리를 적용하여도 기능이 상실되지 않는 진공유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진공유리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공사에서 외벽 또는 내벽을 치장하기 위한 블록 및 조적공사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보와 슬래브 및 기둥과 일체를 이루어 골조 역할을 하는 프레임을 고정하여 장착하고, 장착된 프레임 내면에 이등변삼각형 형상의 쐐기형 오목홈 또는 오목돌기를 형성하며, 프레임에 이등변삼각형 형상의 쐐기형 오목홈 또는 오목돌기가 형성된 블록과 중간블록을 조적함으로써, 수평방향의 진동에 취약한 조적공사의 단점을 개선하여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고, 외부충격에 의해 블록간 또는 블록과 프레임간 어긋남이 발생하더라도 블록이 원위치로 복구될 수 있도록 하는 쐐기형 결합부가 형성된 블록과 프레임을 이용한 벽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웨어러블 컨트롤러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는 본체부; 외부기기를 조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에 의한 제어정보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본체부는 사용자의 손목 하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손목 하단을 지지하는 하단지지부; 사용자의 손목 상단 내지 손등 중 어느 일 영역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상단지지부; 사용자의 손바닥을 지지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손바닥지지부; 및 상기 웨어러블 컨트롤러가 상기 사용자의 손 부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하단지지부, 손바닥지지부, 및 상단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Abstract:
카메라, 내비게이션, 거리뷰 수신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미지 검출부가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 주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차량이 주행함에 따라 차체에 가려져 운전자의 시야 확보가 어려운 차량의 전방, 후방 및 측면의 사각 지대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사각 지대 표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bstract:
본 발명의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는 용접형 판형 열교환기가 지니고 있던 열충격에 의한 응력집중과 피로응력을 완화시켜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열교환기가 이용 되어지는 각종 산업시스템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으로서, 프레임의 내부에 적층되는 다수개의 전열판과, 상기 전열판의 상하면에 상하부 라이닝을 각각 구비하여 유체 간의 열교환을 이루는 판형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측 네 모서리에 각각 결합되고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전열판과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모서리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거되어 완충면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 라이닝과 상기 하부 라이닝 사이에 용접 접합되는 칼럼과; 상기 칼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일측은 다수개의 홈이 형성되어 적층된 전열판의 꼭지점이 상기 홈에 삽입 결합되며, 타측은 양측으로 벌어져 상기 칼럼의 양측 면에 결합되되 상기 칼럼의 완충면과는 서로 이격되도록 하여 그 사이에 완충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칼럼라이너와; 상기 전열판이 열에 의하여 팽창시에 발생하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라이닝과 하부 라이닝의 판면에 각각 형성되는 응력분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Abstract:
박막형광체 제조방법과 박막형광체 및 이를 이용한 제품이 개시된다. 박막형광체는 형광체 구성원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재 표면으로부터 내부로 원료물질을 확산시킨 형광체층을 합성하기 위하여 원료물질을 모재에 흡착시킴과 동시에 확산시키거나, 모재에 증착한 후 열처리함으로써 제조된다. 이에 의하여 제조된 박막형광체의 형광체층은 모재 내부로 갈수록 모재 구성원소 조성에 점차 접근하도록 구성원소의 조성이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특히 모재 물질, 원료물질, 형광체층 물질의 구조가 동일하거나 유사하고, 형광체층 물질의 구조가 비등방성 텍스쳐 구조인 경우 그 발광휘도가 극대화되고, 그 잔광시간이 극소화된다. 이로부터 분말형광체의 발광 휘도에 근접한 다양한 종류의 박막형광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분말형광체에 비하여 열적,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박막형광체와 모재 사이에서 간섭무늬 또는 반사 현상이 없어 투과도가 우수하며, 대면적의 디스플레이소자 등에 적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