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A mobile terminal handover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a step of a first mobile terminal connection gateway generating a data communication tunnel with respect to a second mobile terminal connection gateway, which is a handover target, according to a handover condition of the mobile terminal; (b) a step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connection gateway transmitting packet data received from an external node to the mobile terminal, particularly transmitting the packet data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connection gateway through the tunne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e terminal is separated from the first mobile terminal connection gateway by a critical distance or a distance longer than the critical distance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c) a step of the second mobile terminal connection gateway transmitting the packet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mobile terminal connection gateway to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ly, handover delay and packet data los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Reference numerals] (1) First mobile terminal connection gateway; (2) Second mobile terminal connection gateway; (3) Mobile terminal; (4) External node; (AA) L2 trigger; (CC) Location information; (EE) Packet buffering; (FF) Mobile terminal connection; (S110) Bi-directional tunnel; (S120,S140,S150,BB,DD,GG,HH) Packet transmission; (S130) Determine the degree of separation based on a critical distance
Abstract: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이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 노드(sensor node)의 설정 방법 및 복수의 센서 노드의 영역당 센싱 에너지 소비량의 계산 방법이 개시된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은 2차원 평면상에서 서로 동일한 거리상에 배치되고, 서로 동일한 크기의 센싱 영역을 가지는 복수의 센서 노드와, 상기 센싱 영역들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갭 영역(gap area)을 센싱하기 위해 상기 동일한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센싱 영역을 갖는 엑스트라 센서 노드(extra sensor node)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복수의 센서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및 복수의 센서 노드의 설정 방법에 따르면, 각 센서 노드의 센싱 영역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갭 영역에 최적의 크기를 가지는 엑스트라 센서 노드를 배치함으로써,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영역당 에너지 소비량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한편, 상기와 같은 복수의 센서 노드의 영역당 센싱 에너지 소비량의 계산 방법에 따르면, 지정된 타일 영역 내에서 각 센싱 영역이 중복되어 발생되는 에너지 소비량을 고려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영역당 센싱 에너지 소비량을 계산하여 최적의 센서 노드 설정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센서 노드, 엑스트라 센서 노드, 센싱 영역, 영역당 센싱 에너지 소비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