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PURPOSE: A snore prevention apparatus is provided, which reduces snoring or sleep apnea and enables a user to obtain an optimal sleep position. CONSTITUTION: A snore prevention apparatus comprises: a back support surface(110); a right support surface(120), and a left support surface(130) which are extended from both side corners of the surface of the back support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seat back(101) equipped with a bottom plane(140) formed in a triangle end face. The seat back has a trigonal pyramid shape.
Abstract:
Receiving equipment with a power-driven door opener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a door easily, and to prevent people from getting hurt by accidental collision. Receiving equipment with a power-driven door opener includes a door(110), a hinge shaft and a power-driven door opener. The door is used to open and close a receiving space. The hinge shaft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door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power-driven door opener opens and closes the receiving space by pivoting the door based on the hinge shaft. The power-driven door opener includes an electric motor(124) and an electric mechanism. The electric motor generates pow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The electric mechanism pivots the door based on the hinge shaft.
Abstract:
본 고안은 광고음향제공귀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피(11)와 상기 내피(11)의 내부에 삽입되며 형태를 지지해주는 지지와이어(12)와 상기 지지와이어(12)가 내장된 내피(11)에 봉합되는 외피(13)로 구성되는 귀마개에 있어서, 감지스위치(111a)가 형성되며 광고내용이 저장된 광고제공부재(111)와; 상기 광고제공부재(111)의 양측으로 전선(112)으로 연결되며 귀접촉부(113)에서 광고내용을 전달하는 스피커(114)가 부착된 내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고안은 사용자가 본 고안의 귀마개를 착용했을시 귀마개의 내측에 부착된 광고제공부재의 감지스위치를 누르게 되어 저장되어 있는 광고내용이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의 귀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광고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bstract:
PURPOSE: A contact/luminous coupling device using a dew condensation contact terminal is provided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thereof by making a luminous device automatically actuated according to the contact of a contact brand terminal, and to eliminate a limitation of design that the terminals have to be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a product. CONSTITUTION: The contact/luminous coupling device comprises a dew condensation contact terminal(2) attached to the surface of a beverage container(6) so as to utilize a dew condensation phenomenon as a contact sensor; a contact brand terminal(3) into which a certain brand(5) is inserted; a contact terminal(7); and a luminous device(1) separably coupled to the beverage container. All of the terminals ar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uminous device. When the contact brand terminal and the dew condensation contact terminal are electrically connected, light emitting diodes operated by a circuit of the luminous device generates light, while when the contact brand terminal and the contact terminal are in contact with the hands or the skin of a user, the other light emitting diodes are operated.
Abstract:
PURPOSE: A cognition advertising apparatus using lip contact luminescence is provided to maximize an effect of advertisement by endowing a user with a real experience chance, and to reduce troubles of the apparatus due to a poor contact or wear. CONSTITUTION: The cognition advertising apparatus using lip contact luminescence comprises a beverage container(6); an inner terminal(2) attached to the beverage container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tact connection part(3) out of the beverage container f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variation from the inner terminal to a luminous device(1); a conductive outer terminal(4) attached to the surface of a coupling device(5) for actuating the luminous device, the outer terminal containing a brand symbol; the luminous device constructed to emit a light during a user drinks a beverage by virtue of the formation of an electric loop between the inner terminal, the beverage, the lip and the hand of a user, and the outer terminal.
Abstract:
본 고안은 학습전달모양에 손 또는 신체가 직접 접촉되거나 근처에 존재할 때 학습 전달모양의 정보를 음성으로 전달하는 손 또는 신체에 존재하는 전기를 이용한 의학용 터치부위 음성정보 습득장치를 개시한다. 손 또는 신체의 일부가 접촉할 때 동작하는 접촉부(1)와 손 또는 신체의 일부가 근처에 존재하고 있을 때 동작하는 센서부(2)와 발광부(3)로 구성된 학습전달 모양을 갖는 터치부(13)와; 터치부(13)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손 또는 신체의 일부가 접촉할 때 동작하는 접촉부(1)와; 터치부(13)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손 또는 신체의 일부가 근처에 존재하고 있을 때 동작하는 센서부(2)와; 터치부(13)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접촉부(1)와 센서부(2)의 상태에 따라서 디코더(5)의 신호에 의하여 동작하는 발광부(3)와; 접촉부(1)와 센서부(2)의 각각의 신호선을 CPU(6)가 제어가 가능하도록 2진수로 변환하여주는 엔코더(4)와; CPU(6)로부터 입력받은 디지털 신호를 각각의 발광부(2)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로 변환하는 디코더(5)와; 디코더(5) 그리고 엔코더(4) 그리고 VOICE레코더(7) 그리고 KEY(9) 그리고 통신부(10)의 제어를 하기 위한 CPU(6)와; CPU(6)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로서 사용되는 KEY(9)와; CPU(6)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동작되며 음성정보를 담고 있는 VOICE레코드(7)와; VOICE레코드(7)에서 출력되는 음성정보를 스피커(12)에서 동작이 가능하도록 증폭시켜주는 AMP(8)와; AMP(8)에서 출력되는 음성정보의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12)와; KEY(9)의 조작에 의하여 CPU(6)의 제어를 받아서 VOICE레코드(7)에 사용자의 음성녹음이 가능하도록 외부의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부(19)와; 무선제어장치(15)와 양방향 통신을 하는 통신부(10)와; CPU(6)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11)와; 터치부(13)와 엔코더(4)와 디코더(5)와 CPU(6)와 VOICE레코드(7)와 AMP(8)와 KEY(8)와 마이크부(19)와 통신부(10)와 디스플레이(11)와 스피커(12)를 안착하는 외관판(18)과; 통신부(10)와 양방향 통신을 하는 무선제어장치(15);로 구성된 의학용 터치부위 음성정보 습득장치를 만드는데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