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PURPOSE: An advanced biological nitrogen and phosphorous treatment method in SBR(sequencing batch reactor) process and a sludge non-discharging system thereof are provided to reduce maintenance cost and solve problems related with secondary pollution of sludge treatment. CONSTITUTION: Inflow reaction, biological reaction, sludge settlement, treatment water discharge and cessation processes are reiterated continuously in an SBR pre-reaction tank(14) and an SBR main reaction tank(15).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bacteria, polyphosphorous bacteria and bacteria producing biopolymer cohesive agent are inoculated and activated in the BR pre-reaction tank(14) and the SBR main reaction tank(15). A fuzzy and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unit controls a pump, a blower, an air valve and a decanter automatically to remove various organic pollutants, nitrogen and phosphorous. A sludge selector transfers sludge generated during the treatment to a sludge selection basin(17) to dissolve it. Sludge formation is prevented by activation of self-oxidation of cytoplasm in the SBR main reaction tank(15).
Abstract:
본 발명은 환경오염원으로서 큰 부분을 차지하는 음식물 쓰레기 및 각종 유기성 폐기물을 주원료로서 이용하는 유기질 비료 및 사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악취 발생이 없이 속성으로 제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농법이나 토양개량제 또는 사료로 재활용하는 퇴비화와 사료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은 발효숙성시키기까지 긴 시간을 요하고 제조공정에 있어서 악취발생이 크기 때문에 공장의 입지 선정에서도 문제가 따랐다. 본 발명은 발효조에 있어서 온도검출센서, 습도검출센서, 산소검출센서 등을 이용하여, 설정된 최적의 조건으로 유기성 폐기물 또는 음식물 쓰레기를 속성발효하기 위해, 각각 검출된 값에 따라 즉시 대응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전력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로부터 인가되는 전력펄스신호에 따라 정해진 각각의 제어시스템을 운영하는 데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Abstract:
PURPOSE: A sorting device and a stabilizing method for consolidating a waste burying place and recycling are provided to prevent an environment pollution and to recycle the processed land as a useful land. CONSTITUTION: A sorting and stabilizing method for consolidating a waste burying place and recycling is composed of the steps of: sorting and removing a rough particle and a polymer waste material by digging the contaminated land within a waste reclaiming place; dividing and removing a vinyl element with a wind force after sorting the contaminated land by particle through a screen; dissolving an organic substance among land by injecting a germ in the land after regulating the pre-processed land pH to 7 to 8, temperature to 30 to 50 deg.C and humidity to 40 to 50 %.
Abstract:
이 발명은 수질오염원으로서 큰 부분을 차지하는 생활하수 및 유기성 오·폐수를 산화구법에 처리하여 방류수 수질기준에 적합한 처리수가 되도록 처리함에 있어 질소 및 인화합물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입되는 하수 및 유기성 오·폐수중의 고형 협잡물으 제거하고 균등화를 기준하는 전처리 공정과, 산화구에서 생물학적 반응으로 질산화 반응과 탈질, 탈인반응의 각 공정을 동시에 수행하는 오·폐수를 침전조로 유입 일정시간 정지하여 침전분리시킨 후 상당수는 소득 방류하고 침전된 슬럿지는 탈수기에서 고액 분리하여 발생된 슬럿지 케이크는 부분적 미생물제제를 투입하여 퇴비화하도록 하여 산화구의 부분적 생물학적 질소 및 인 제거방법으로서 BOD 제거반응과 탈질, 탈인반응이 단일조에서 달성할 수 있으며, 설비구성이 단순하� � 운전관리비가 저렴한 것이다.
Abstract:
이 발명은 환경오염원으로서 큰 부분을 차지하는 사람의 분뇨 및 가축의 분뇨 등 기타 고농도 유기성 오·폐수를 액상 부식법의 처리과정에서 처리되지 않는 TN, TP, BOD, COD 제거 수질검사기준에 적합한 처리수가 되고 여기에서 발생된 탈수 케이크는 양질의 유기비료로 만들어 유기농법이나 토양개량제로 재활용하도록 하는 액상부식법에 의한 고농도 유기성 오·폐수의 TN, TP, COD 제거방법 및 퇴비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입된 유기성 오·폐수를 일정기간 동안 액상부식조내에 체류시키면서 반응시키므로 유입수량, 수질 등의 부하 변동에 민감하지 않고 고농도 유기성 오·폐수를 일정기간 동안 폭기하여 함유된 각종 오염물질을 산화분해시키고 일정시간 동안 수중 교반하는 동시에 산화질소 또는 질소가스로 환원시켜 대기중에 방출한 후 다음공정으로 이송하여 PH조정과 응집제를 투입 응집반응시켜 TP와 잔존 COD를 제거하고 멸균처리 방류하는 과정을 1일 주기로 반복하도록 하는 것이다.
Abstract:
A method for producing bio-diesel with improved low temperature fluidity and esterification effect of fat and alcohol is provided to promote esterification rate and increase productivity and yield of products by adding at least one copolymer of specific ethylene and vinyl ester capable of inhibiting behavior of wax dispersion and low temperature fluidity.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recycling 10-30wt.% of ester product obtained from esterification in presence of fat and alcohol; blending the fat and alcohol together with the recycled ester product into single liquid mixture; and adding 10-1,500ppm of copolymer of 60-90wt.% of ethylene and 10-40wt.% of long branched chain type of vinyl ester relative to weight of bio-diesel oil to the mixture. The bio-diesel includes bio-diesel oil and at least one copolymer comprising: (b) ethylene monomer having bi-valent units; (c) ethylene monomer having another bi-valent units; and (d) 5-12mol.% of monomer having another bi-valent un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