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비고갈에너지에 의해 개폐되는 수도꼭지나 수압에 의한 양수장치 등 절수설비의 개폐밸브나 탁상드릴 또는 인터폰 등의 각종 전기 전자용품 등의 스위치가 자동 개폐되도록 하는 절수설비나 전기용품의 자동개폐 방법 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도꼭지는 자동개폐 기능이 없어 사용할 때마다 여닫는 불편과 함께 90%이상의 많은 물이 유실(流失)되며 토수구로 나오는 물에 기포가 없고 전기용품이나 전자용품은 사용할 때마다 스위치를 여닫는 불편과 함께 많은 전력소모 및 고장의 원인 되었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 발명한 것인데 그 주요 구성은 제한판(17)이 형성된 수도꼭지몸통(1)의 구멍(46)에 손잡이(21)의 윗턱(12)과 걸림턱(13)을 삽입하고, 토수관(6)내벽의 턱(19)위에 갈구리(18)가 얹히게 하고 기포기(11)를 끼운 볼트관(16)을 나합하거나 또는 구멍(48)에 연질관(15)을 씌운 손잡이(9)를 삽입하여 축(47)에 괘설하고 연질관(15)을 볼트관(7)으로 나합고정시킨 다음 수도꼭지 몸통(1)의 환형턱(2)의 좌측평면에 바킹(3)이 끼워진 자석밸브(4)의 자루(5)를 삽설하여 그 끝이 손잡이상단(20)(10)에 얹힌 수도꼭지(52)를 결합하는 물통(49)의 개폐밸브(75)에 밸브(76)와 바킹(85)을 삽입후 볼트관(86)을 나합하고, 자루(74)에 연결한 밀대(80)에는 얇은 뜸통(79)을 나합하며, 오폐수통(61)의 배수관(90)에 나합된 개폐밸브(62)에 바킹(63)과 밸브(64)를 삽설하고 그 자루(65)에 관삽된 볼트관(84)을 나합한 다음 자루(65)에 뜸통(66)을 결� ��한 수압 양수장치의 자동개폐장치와 탁상드릴(22)의 몸통(23)에 장착된 핸들뭉치(24)에 밀대(25)를 고정시키고 이 밀대(25)가 부도체틀(29)에 있는 전선(30)(31)을 연결시키는 단자(28)상단에 캡(34)을 씌운 탄성편(33)을 고정시킨 스위치(26)의 캡(34)에 접하도록 하며, 발신기(40)와 인터폰(35)에 개폐보턴(36), 녹음보턴(37), 재생보턴(38)을 장착하여 인터폰(35) 및 녹음기, 발신기(40)로 구성하는 개폐밸브와 스위치의 자동개폐를 특징으로 하는 절수설비나 전기용품의 자동개폐 방법
Abstract:
본 발명은 수돗물을 사용하는 용도에 맞게 수질을 개선하고, 그 수온을 높이며, 물이 나올 필요가 없을 때는 수도꼭지가 자동폐쇄 됨으로써 많은 물이 절수되고, 수도꼭지에 입을 대고 물을 마시는 비위생적인 행위를 할 때는 물이 얼굴에 아지게 하여 이러한 행위는 하지 못하게 할 목적을 발명한 수질을 개선하는 절수용 수도꼭지 에 관한 것이다. 그 주요 구성은 수평관(2)이 형성된 수직관(1)하단의 토수관(3)과 외관(4)을 연결하는 수평판(5)상면에 패킹(7)를 끼우고 그 위에서 밸브(13)의 자루(14)를 토수관(3)의 배수구(26)에 삽입하여 이 배수구(26)를 관통한 자루(14)끝에 밀대(12)가 결합된 유도관(8)의 고정관(10)을 끼운 다음 밸브집(23)위에 패킹(18)과 공지의 맥반석(27)이나 정수용 휠터(28), 가열장치(29) 및 소독약(30)이 내장된 수질개선장치(17)를 장착하고, 턱(19)에 패킹(20)을 깨우고 나서 절연체(22)로 절연된 전선(24)(24')이 관통하는 뚜껑(21)을 상향관(15)에 나합하여 전선(24)(24')이 가열장치(29)의 양단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을 개선하는 절수용 위생 수도꼭지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관이나 송유관, 개스관으로부터 나오는 공기보다 무거운 유체가 이유체를 받아서 고이게 하는 용기에 일정량의 유체가 고이면 자동으로 멎게 하는 유체 자동 정지기(流體 自動 停止機)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관(1)의 내벽면에 형성된 환형턱(2) 평면에 바킹(3)을 끼우고 밸브(4)의 자루(5)를 삽설한 다음 스프링(7)을 탄지시킨 다음 관(1)의 양단음나사에 마개(9)(12)를 나합하되 마개(12)의 배수구(6)과 수도꼭지(30)를 호스(18)로 연결하며, 관(1) 하부의 입수구(8) 암나사에 호스(16)를 결합하고, 관(1) 하부의 배수구(39) 암나사에 유통구(32)가 있는 물통(24)을 나합하되 이 물통(24) 안에는 고리(40)에 후렌지(37), 공간(11)이 있는 뜸통(10)이 고리(40)를 자루(5) 끝에 괘설하고 물통(24)의 유통구(32)와 씽크대나 욕조 또는 세면대(26)의 유통구(33)를 호스(25 )로 연결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씽크대나 욕조 또는 세면대(26), 물통이나 물탱크 또는 논 저수지(23) 등에 물을 공급할 때 일정량의 물이 고이면 자동으로 멎고 그 사용으로 인하여 수위가 내려가게 되면 물이 자동으로 나오면서 보충해 주므로 급수에 관련되는 신경을 쓸 필요가 없으며 그 수위의 조절도 극히 용이하여 그 조작으로 인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고, 물을 사용하는 모든 곳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송유관으로 공급되는 유류나 개스관으로 공급되는 공기보다 무거운 개스에서도 물에서와 동일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수압고 자력(磁力)에 의하여 물이 공급되거나 멎게 하는 새로운 목돌림꼭지부, 레버용개폐부, 자동호스부의 개발과 함께 이들을 필요할 때 교체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이 좋가헨 부품에 의하여 밸브가 여닫히는 수도꼭지, 수세식소변기, 분수대, 화재진압, 수위조절 등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 『수압과 자력, 부력을 응용한 호환성 급지수 장치의 밸브를 개폐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도꼭지중에는 목돌림꼭지가 있었으나 이는 목돌림관을 돌려가며 토수의 위치를 정해주는 단순 기능뿐으로 물이 나오거나 멎게 할 때는 별도의 핸들을 조작해야 하는 불편과 함께 구조의 복잡으로 고장의 빈발등 많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를 개선 보완키 위한 것으로서 "수도꼭지(1)에 나합한 돌출링(2)의 단면밑에 바킹(3)을 끼우고 밸브(4)의 자루(5)를 배수관(176)안으로 삽설한 자루(5)의 끝에 자석(45)을 고정시키며, 스프링(175)으로 밸브(4)를 탄지시키고, 배수관(176)을 변기(97)에 연결하며, 보호통(102) 내부에서 축(65)으로 축설한 수로(91)위에 자석(47)이 결착된 레버(67)를 고정시키고, 두 입수구(99)(101)가 배뇨구(98)밑에 근접하며 수로(91)의 좌측에는 자루(93)있는 밸브(92)가 배수구를 막는 물통(64)을 연결하고, 그 우측에는 자루(96)있는 밸브(95)가 배수구를 막는 물통(94)이 연결된 자력에 의해 개폐되는 자동급지수방법 및 그 장치" 등 인데 비고갈에너지에의해 자동개폐되는 특징이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토수구쪽의 수입에 의하여 토수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한 토수입을 응용한 토수량 조절방법 및 이를 응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도꼭지나 후래시 밸브는 토수량 조절기능이 없거나 복잡하고 수세식변기는 물이 고여있는 상태에서 용변을 보아야 하기 때문에 대변시에는 물이 튀어오르는 문제가 있었고, 소변시에는 폭포같은 소음으로 민망하며, 대소변을 볼때마다 많은 물을 소비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 이를 근본적으로 개선키 위하여 발명한 것인데 그 주요구성은 "토수관(11)의 구멍(11′)에 삽설된 머리(12)있는 자류(10)에 구멍(9)(9′)을 천공한 저항판(8)(8′)을 관삽고정시킨 다음 이 저항판(8)(8′)을 수평관(7)에 삽설하고 수평관(7)에 토수관(11)을 나합하며 수직관(2)의 상단(3) 수평면위에 바킹(4)을 얹고 그 위에 밸브(5)가 접하도록 자루(6)를 삽설하여 그 하단이 자루(10)의 구멍(13)에 삽설된 수직관(2)을 나사관(15)이 형성된 입수관(1)에 나합시킨 토수량조절장치(53)의 토수 (11)을 물받이 (25)와 물돌림판(26)이 형성되고 S자형의 배수관구멍(29)이 있는 수세식변기(54)의 축받이(31)에 수직간(32)이 있는 비대(34)를 축설한 다음 상기 토수량조절장치(53)의 토수관(11)을 수세식변기(54)의 물받이(25)위에 고정시키되 수직간(320이 머리(12)에 접하고 케이스(42)의 축받이 (43)에 축설한 레버(44)(51)의 상하단은 각각 보턴(47)과 머리(12) 및 받침대(36)에 연계되거나, 수직간(32)이 머리(12)안에 접하고 비대(34)와 발판(40)우측, 받침대(36)와 발판(40)좌측을 끈(39)와 막대(38)로 연결한 수세식 변기 및 토수량조절장치(53′)의 토수관(11)을 배수구(56)에 연결한 소변기(55)와 토수량조절장치(53)(53′)의 토수관(11) 끝에 레버(62)를 축설하여 그 상단이 머리(12)의 안에 접하게 한 수도꼭지의 토수압을 응용한 토수량 조절방법 및 그 응용 장치.”로 본 발명의 작 효과는 토수압에 의하여 토수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그 구성이 간단하고 넓은 토수관(11)의 배수구로 물이 나오기 때문에 고장이 없고 생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이를 응용한 수세식변기는 물탱크가 없어 공간의 점유가 적고 절수효과가 뛰어나며 변기의 부품에 손을 대지 않고 사용할 수 있어 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변기내에 고여있는 물이 없기 때문에 대변을 볼때는 물 튐이 없고 소변을 볼 때는 폭포같은 소음이 없어 여러 가지 유익한 작용효과가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에 장착한 수도전의 레버를 밀면 물이 나오고 놓게 되면 물이 멎으며, 걸림대를 밀면 물이 계속 나오다가 일정량의 물이 고이면 자동으로 멎는 수도전이 장착된 자동싱크대 및 자동욕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수도전 몸통(1)의 배수관(2)에 오링(3)을 끼운 연결관(4)를 나합하고 배수관(52)끝에 밸브관(9)을 나합하되 이밸브관(9)의 내벽에 형성된 돌출링(5)의 평면에 바킹(6)을 끼우고 밸브(7)의 자루(8)를 물이 나가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삽설하며 토수구(10)의 양측내벽면의 요홈(11)에 삽착한 n자형의 못(12)에 괘설된 레버(13)의 상단(14)이 자루(8)를 받혀주도록 하며, 토수구(10)의 나사에 레버(13)가 작동할 작동공(58)과 배수공(59)이 천공된 겁품발생판(57)을 나합하고 배수관(52)의 공간(21)에 구멍(22)이 있는 당김판(23)을 끼운 다음 공간(19)에 삽설하며 이 걸림대(17)는 레버(13)의 하단 축받이홈에 축(18)으로 축설하며, 당김판(23)에 연결된 줄(26)에 스프링(25)을 끼워서 걸림턱(24)에 걸리게 하고 조임나사(60)을 나합하며 줄(26)을 축받이(29)에 축(28)으로 축설한 축바퀴(27)를 통해 싱크대(31)에 호스(32)로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싱크대 및 자동욕조"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물을 간편하게 사용하면서 낭비를 없애며 넘침으로 인한 물의 유실을 막고 싱크대(31)나 욕조 물탱크와 분리된 물통(30)을 호스(32)로 연결함으로써 넘침의 방지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반구형프리즘이나 프리즘갓, 샨델리아의 알을 통과한 백색광의 굴절분산으로 인하여 주변의 물체를 아름다운 무지개 색으로 조명하며, 등(煊)자체을 들여다보면 무수히 많은 점이 보석처럼 다채롭게 반짝이고, 등의 주변이나 상단부에서는 예쁜 장식품이 회동케 한 보석등의 제작방법 및 그 구성과 다양한 프리즘류나 렌즈 등 광학용품의 표면의 열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투명체에 V자형의 요홈을 직선이나 원형, S자형곡선으로 파서 산맥(3)(3′)이나 월뿔(7)이 서로 연접되도록 하며, 각 산맥(3)(3′)의 단면이 삼각형이나 오각형이 되도록 하고, 월뿔(7)이 단면도 삼각형이나 오각형이 되도록 하며 산맥(3)(3′)의 바깥쪽 비탈면(4)(4′)과 안쪽 비탈면(5)(5′), 밀면(6)(6′)그리고 월뿔(7)의 비탈헌(8), 밀면(9)을 공지의 기술로 요철없이 연마하거 나 열선(49)과 온도조절계기(50), 케이블선(55)과 콘베이어(57)의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계기(54)가 있는 공지의 전기로(51) 또는 화염분사구(52)와, 온도조절계기(50), 케이블선(55)과 컨베이어(47)의 속도조절계기(54)가 설치되어 있는 전기로(51)나 깨스로(53)를 점화시키고 그들 내부에 설치한 케이블선(55)과 콘베이어(57)에 장착한 개설구(59)와 재치대(58)로 반구형프리즘(1)<구멍있는 반구형프즘(I′), 프리즘갓(2)(2′), 공지의 샨델라에 다는 다양한 프리즘류(61), 일반 광학용 프리즘(62), 렌즈(63)등의 피가열물(56)을 이송시키며 그 재질이 융해된 분자가 피가열물물(56)의 표면에 요철없이 배열응고케 하는 표면처리 방법으로 표면에 쵸철없이 기공된 프리즘류를 결합판(12)에 결합하고 전구(21)(21′)(21′′)를 끼울 소켓(20)(20′)(20″)과 연장회전축(13)(43)이 연결되 모터(11)와 조광기(22), 변압기(24)를 밀판(10)과 결합판(12)의 여러 구멍에 장착하며 연장회전축(13)(43)과 축바퀴(33)(44)(39)와 걸합판(12)에 구멍(14)(14′)(14″)이 천공된 슬릿(15)(15′)(15″)으로 구성하는 보석등의 제작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인데 그 작용효과는 어둠을 밝히는 일반조명과 아름다운 색광으로 조명하는 륵수조명 및 장식품(28)이 작용하는 조명과 장식을 겸용할 수 있으며, 프리즘류나 렌즈류의 표면의 열처리로 양질의 광학용품을 만들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순간온수기나 싱크대 샴푸대 욕조 수도전에서 물이 자동으로 공급되거나 자동지수가 되도록 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순간온수기나 싱크대 샴푸대 욕조에 물을 공급하거나 멎게 하려면 수도전의 핸들이나 밸브의 핸들 또는 보단 혹은 전자수도전인 경우에는 센서가 감지하도록 그 앞에 손을 가져가야 하는 등의 조작이 없이는 불가능하였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인데 그 요지는 "배구관쪽 결착관(11)하단 나사에 호스(10)와 걸착관(5), 오링 (9), 바킹 (6) 장착된 밸브(4)을 나합하고 레버 (22)양단에는 급수관(17)에 내장된 피스톤(18)의 자루(18')와 탄성도체(19)가 접하게 한 순간온수기나 스프링 (28)으로 탄지된 물통(27)의 구멍(29)을 관통하는 수도관(44) 상단에 고정볼트관(41)을 나합하고 그 위에 자동샤워기가 있는 수도전(31)의 수직결합관(42)을 나합하고 수직결합관(42)측면에 밀판(46)과 조정핸들(49)을 협지 축설하며 조정핸들 (49) 양측내벽면 사이에 조정기 (53)가 위치하도록 물통(27)에 고정되어 있는 탄성막대 (30)에 조정기 (53)를 결착한 씽크대와 배수관(64)의 측면 구멍 (65)에 자동호스와 물통(76)이 연결된 연통관(74)을 삽착하고 링(64)위에 바킹(62) 및 속뚜겅 (61)과 겉뚜겅 (59)를 삽착하고 뜸통(77)이 있는 볼트(78)를 나합한 레버 (79)틀 축(80)으로 축설하고 밀대(81)가 호스(81)에 근접하며 밀대(33)를 축설한 팔(72)과 자루(76)를 관삽한 팔 (68)이 회전축(69)에 고정된 자동욕조 그리고 수도전(96)에 호형밸브(98) (102)가 내장된 수도전의 밸브에 의하여 물이 자동 급지수하는 방법과 그 장치"로서 그 작용효과는 물이 자동으로 급수 지수되므로 편리하고 많은 물을 절수할 수 있으며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도록 작용효과가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메모지함에서 메모지를 꺼낼때마다 장식품이 회동하는 함이나 또는 연하장, 전보 카드 등을 개봉할 때 장식품이 회동케 한 카드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제1,2도(가)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모지(4)를 담는 메모지함(1)의 비자성체바닥(2) 중심부에 사면요홈을 파서 그 자리에 자석(3)을 사면으로 고정시키고 메모지함(1)의 하단 공간에 서랍(7)을 만들며, 메모지함(1)위에 메모지(4)를 적재한 다음 그 위에 다양한 장식품(6)이 부착되어 있는 구면자석(5)을 올려 놓는다. 메모지(4) 대신 사진이나 기타 물건을, 메모지함(1)대신 다른 용기를 사용해도 된다. 제1,2도(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투명박스(9)에 임의로 선택한 장식품(12)이 부착된 구면자석(11)을 내장하고, 비자성체바닥(10)이 접착된 투명박스(9)을 봉투(8)의 중심부구멍(16)에 삽착하여 봉투(8)를 완성한다. 상면요홈에 자석(15)이 삽착된 넙적한 핀(14)을 편지(13)에 끼운다음 핀(14)의 자석(15)이 투명박스(9)속의 구면자석(11)에 접하도록 하고, 편지(13)를 봉투(8)에 넣고나서 봉한다. 편지(13)대신 연하카드, 크리스마스카드, 전보카드 등을 사용해도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작용원리는 제3도(가)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모지(4)를 뽑게 되면 자석(3)이 고정된 상태에서 비바성체인 메모지(4)가 이동하므로 구면자석(5)이 일정한 위치에서 회전하면서 장식품(6)이 회전하며, 서랍에는 필요한 물건을 넣는다. 제3도는 (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편지(13)을 봉투(8)에서 뽑게 되면 비자성체(10)는 고정되어 있고 자석(15)이 이동하기 때문에 구면자석(11)이 자석(15)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하므로 장식품(12)도 회동하면서 이용하는데 이 장식품(12)이 유색일때는 혼색의 미가 더욱 아름답게 무지개처럼 변한다. 특허청구 범위는 "자석(3)이 사면으로 삽착된 메모지함(10)의 비자성체바닥(2)에 메모지(4)를 놓고 그 위에 장식품(6)이 부착된 구면자석(5)을 올려놓고 메머지함이나. 장식품(12)이 부착된 구면자석(11)을 내장한다음 비자성체(10)가 접착된 투명박스(9)를 봉투(8)의 중심부 구멍에 삽착한 봉투(8)에 자석(15)이 사면으로 삽착된 핀(14)을 끼운 편지(14)를 넣게한 카드"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