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접촉 전력전달 장치, 자기유도 방식의 급전장치 및 자기유도 방식의 집전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동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집전코어와, 상기 집전코어의 둘레에 감기는 집전케이블을 포함하는 집전장치를 포함하되, 급전부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중심부 및 상기 받침부의 둘레에 돌출부를 갖는 급전코어; 및 돌출된 상기 중심부를 중심으로 양측이 서로 다른 방향의 전류가 흐르도록 감기는 급전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집전장치는 상기 돌출부에 대향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전력전달 장치, 자기유도 방식의 급전장치 및 자기유도 방식의 집전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동체를 제공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분할 다중 급집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수중 이동체 또는 로봇 등의 다양한 이동체에 대한 비접촉 방식의 급전 및 집전을 위해, 이동체의 진행방향을 따라 위상분할, 시간분할 또는 주파수분할 등에 의한 다중급전 방식의 선로로 구성하고 이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게 하는 공간분할 다중 급집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I형 급전선로에 이동체 진행방향을 따라 이와 같은 공간 분할 다중급전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이동체의 진행방향으로 발생하는 규칙적인 출력전압의 변동을 최소화하여 거의 일정한 출력전압을 얻을 수 있으며, 2차측으로 전달되는 평균출력전력을 향상시키고, 인접한 자극 간에 발생하는 누설자속을 감소시켜 줌으로써 공극간격을 크게 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급전 세그먼트를 공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 밑에 매설된 하나이상의 급전 세그먼트 블록에 의해 자기유도 방식으로 전기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에 있어서, 세그먼트 블록과 이에 전력을 공급하는 주전력 공급수단을 커넥터를 이용하지 않고 비접촉 방식으로 구현한 전기자동차용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비접촉 급전 세그먼트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급전장치에 있어서, 인버터와 연결되어 차량의 주행 인지시 자기장을 발생하는 주전력선 세그먼트 블록; 및, 도로밑 상기 주전력 세그먼트 블록의 상부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자기장에 대응하는 전력을 상기 차량에 공급하는 급전 세그먼트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세그먼트 급전블록과 주전력선을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주전력 세그먼트 블록을 형성함으로서, 고객의 요구에 따라 급전세그먼트 블록을 다양한 사이즈별로 공장에서 대량 제작이 가능하고 컨넥터와 같은 기계적 연결수단을 최소화할 수 있어 설치가 간단하고 고장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용비용절감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의 전자유도를 이용한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자기장 통신장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에 설치되어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전자유도시키는 전자유도장치; 급전레일이 설치된 도로의 하부에 매설되어 상기 전자유도장치로부터 전자유도된 에너지에 의해 자기장 통신을 제공하는 공진부하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온라인 전기자동차가 급전레일을 통과하거나 정차중인 경우 온라인 전기자동차와 급전레일 및 인버터 간의 통신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온라인 전기자동차에서 감지할 수 있는 위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스위치, 센서 등을 통하여 2차 회로에 신호를 주게 되면 인버터가 신호를 받아 급전레일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bstract:
본 실시예에 의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전원부, 레이더 모듈, 제어부, 고전압원 생성기, 위상 제어부, RF 전력 회로부 및 복수의 부배열 송신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다 센서를 이용하여 송수신 시스템의 자동 캘리브레이션, 포커싱 빔포밍 및 적응적 빔 정렬을 수행한다.
Abstract: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복수의 송신 코일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송신 코일부 각각은 입체 구조의 다차원 평면을 갖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한다. 복수의 안테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송신 전력을 송신하기 위해 상기 다차원 평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면을 관통하는 자기장을 생성한다. 실시예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배치 위치나 배치 방향에 관계 없이 전력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자유도를 확대할 수 있다.
Abstract:
듀얼 편광 안테나를 포함하는 UCA 안테나를 사용하는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는 제1 신호들 및 제2 신호들에 OAM 변조를 수행하는 변조기와, OAM 변조된 제1 신호들을 송신하는 복수의 수평 편광 안테나를 포함하는 H-pol UCA 안테나와, OAM 변조된 제2 신호들을 송신하는 복수의 수직 편광 안테나를 포함하는 V-pol UCA 안테나를 포함한다.
Abstract: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이동성 지원 방법은 단말이 복수의 AP 장치로부터 각각 전달되는 빔섹터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복수의 AP 장치 중 현재 서비스를 제공하는 AP 장치인 서빙 AP 장치에 상기 신호 세기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서빙 AP 장치가 상기 복수의 AP 장치 중 상기 신호 세기에 기반하여 결정된 AP 장치인 타깃 AP 장치에 상기 단말에 대한 정보, 상기 타깃 AP가 제공하는 빔섹터 중 상기 신호 세기에 기반하여 결정된 타깃 빔섹터에 대한 정보를 상기 타깃 AP 장치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타깃 AP 장치가 상기 타깃 빔섹터로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bstract:
일실시예에 의한 패턴/편파 안테나 장치는 1차원 또는 2차원 배열 구조를 가지는 복수의 단위 패턴/편파 안테나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단위 패턴/편파 안테나들은 반파장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단위 패턴/편파 안테나들 중 각 단위 패턴/편파 안테나는 3개 이상의 안테나들을 구비하며, 상기 안테나들의 주된 모드들의 합집합의 개수가 상기 안테나들의 개수 이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