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화면 동기화 가능한 원격 제어 장치가 개시된다. 이 원격 제어 장치는 멀티미디어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 측의 화면으로 출력되는 다수의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출력하며,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시 해당되는 원격 제어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멀티미디어 장치와 원격 제어 장치 간 화면 동기화가 이루어진다.
Abstract:
BIFS(Binary Format for Scenes)나 LASeR(Lightweight application scene representation)와 같은 장면 기술자에서 복수의 MPEG-2 전송스트림을 하나의 미디어로 간주하여 장면을 구성하고, 구성된 장면과 복수의 MPEG-2 전송스트림을 ISO(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포맷 구조의 미디어 파일로 기록하는 콘텐츠 저작장치, 상기 ISO 포맷 구조의 미디어 파일로부터 장면을 추출하여 재생하기 위한 콘텐츠 재생장치를 개시한다.
Abstract:
원 영상과 상기 원 영상에 대한 예측 영상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차분 영상 블록 내에 존재하는 경계선을 기초로 상기 차분 영상 블록을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분리하는 신호 분리기; 상기 제1 영역에 대하여 이산 여현 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 DCT)을 이용하여 변환 부호화를 수행하는 변환 부호화부; 상기 변환 부호화부의 출력을 주파수 영역에서 양자화하는 양자화부; 상기 제2 영역을 공간 영역에서 양자화하는 공간 영역 양자화부; 및 상기 양자화부 및 상기 공간 영역 양자화부의 출력을 이용하여 엔트로피 부호화를 수행하는 엔트로피 부호화부를 포함하는 동영상 부호화 장치가 제공된다.
Abstract:
MDCT 프레임과 이종의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한 윈도우 처리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부호화 장치 및 방법, 복호화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윈도우 처리 방법은 원래 신호를 복원할 수 있는 TDAC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MDCT 프레임과 앨리어싱 구간을 포함하지 않는 프레임 간에 연결할 수 있는 윈도우를 MDCT 프레임에 처리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트랜스포트 패킷의 헤더에 트랜스포트 패킷의 길이를 나타내는 필드 영역을 포함하거나, 트랜스포트 패킷의 동기화 영역을 이용하여 트랜스포트 패킷의 길이를 나타내도록 함으로써 가변적으로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트랜스포트 패킷을 생성하는 트랜스포트 패킷 생성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트랜스포트 패킷의 길이를 나타내는 필드 영역을 해석하거나, 동기화 영역에 대한 소정 규칙에 따라 트랜스포트 패킷의 시작점을 찾아 해석함으로써 가변적으로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트랜스포트 패킷을 역패킷화 하는 트랜스포트 패킷 역패킷화 장치를 제안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랙션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인터랙션 제공 장치는, 사용자에 의한 제어를 입력받는 입력부, 제어를 분석하여 제어의 타입을 나타내는 이벤트 타입 정보 및 이벤트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드래그 이벤트(Drag event)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처리부 및 드래그 이벤트 정보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에 제어에 대응하는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드래그 엘리먼트(Drag element)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처리부를 포함하고, 드래그 엘리먼트 정보는 상기 동작의 모드를 나타내는 동작 모드 정보 및 동작 속성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표준 규격에 정의된 다양한 데이터 포맷들을 다른 표준 규격 및 인터랙션 디바이스들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bstract:
MDCT 기반 음성/오디오 통합 부호화기의 LPC 잔차신호 부호화/복호화 장치가 개시된다. LPC 잔차신호 부호화 장치는, 입력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여 LPC 필터링된 신호의 부호화 방법을 선택하고, 실수 필터뱅크(real filterbank), 복소 필터뱅크(complex filterbank), 및 ACELP(Algebraic 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 중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LPC 잔차신호를 부호화한다.
Abstract:
포스트 다운믹스 신호(103)를 지원하는 다객체 오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100)가 제공된다. 상기 다객체 오디오 부호화 장치(100)는 객체 신호로부터 객체 정보 및 다운믹스 신호를 생성하는 객체 정보 추출 및 다운믹스 발생부(101); 상기 추출된 다운믹스 신호와 상기 포스트 다운믹스 신호를 사용하여 다운믹스 정보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파라미터 결정부(202); 그리고 상기 객체 정보 및 다운믹스 정보 파라미터를 조합하고 객체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비트스트림 발생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Abstract:
MGS(Medium Grained Scalability) 기반 SVC(Scalable Video Coding) 비트스트림에 포함된 키 픽쳐(key picture)의 적어도 하나의 MGS 계층(layer)의 합산된 잔여신호(residual)를 수정하여 상기 MGS 기반 SVC 비트스트림을 AVC(Advanced Video Coding) 비트스트림으로 재작성(rewriting)하는 MGS-to-AVC 변환 장치가 개시된다.
Abstract:
음성 및 음악 신호를 통합적으로 부호화 및 복호화 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부호화 장치(100)는 입력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는 입력 신호 분석부(110); 상기 입력 신호를 주파수 영역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입력 신호가 음성 특성 신호인 경우 상기 입력 신호를 부호화하는 제1 변환 부호화부(120); 상기 입력 신호가 음성 특성 신호인 경우 상기 입력 신호를 선형예측코딩(LPC)에 기반하여 부호화하는 선형예측코딩(LPC) 부호화부; 그리고, 상기 제1 변환 부호화부(120)의 출력 신호 및 상기 LPC 부호화부(130)의 출력 신호를 사용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비트스트림 발생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