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고안은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내용물보관부에 수용된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보관부에 수용된 제2내용물이 분리 보관되어 사용시 제1내용물보관부와 제2내용물보관부를 연결해주는 혼합부재를 사용자가 꺾어 혼합부재 내부의 분리판을 파손하여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을 손쉽게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제1접착부(12)로 형성되는 제1내용물보관부(10); 상기 제1내용물보관부(10)와 접하며, 제2접착부(22)로 형성되는 제2내용물보관부(20); 상기 제1내용물보관부(10)와 제2내용물보관부(20)를 관통 연결하는 혼합부재(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혼합부재(30)는 중공이 형성된 관체로 내부에 연결통로(36)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통로(36) 내부는 분리판(32)으로 격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혼합부재(30)는 꺾임홈(3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bstract:
본 고안은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내용물보관부에 수용된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보관부에 수용된 제2내용물이 분리 보관되어 사용시 제1내용물보관부와 제2내용물보관부를 연결해주는 혼합부재의 손잡이부를 꺾어서 분리하여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을 손쉽게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제1접착부(12)로 형성되는 제1내용물보관부(10); 상기 제1내용물보관부(10)와 접하며, 제2접착부(22)로 형성되는 제2내용물보관부(20); 상기 제1내용물보관부(10)와 제2내용물보관부(20)를 관통 연결하는 혼합부재(30); 상기 혼합부재(30)는 손잡이부(32)와 토출부(34)가 일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혼합부재(30)는 손잡이부(32)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중공이 형성된 관체로 내부에 연결통로(36)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손잡이부(32)는 토출부(34)의 끝단에 형성되어 연결통로(36)를 막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혼합부재(30)는 토출부(34)와 손잡이부(32) 사이에 꺾임홈(38)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제1내용물보관부(10)와 제2내용물보관부(20)는 절취선(40)에 의해 분리가 가능하며, 혼합부재(30)가 위치하는 부분은 컷팅홈(4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bstract:
내용물 배출구가 형성된 브러시를 구비하는 도포구가 제공된다. 상기 도포구는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는 저장 몸체, 상기 저장 몸체의 하부에서 공회전하도록 장착된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내측에서 상기 저장 몸체의 내측을 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손잡이가 공회전하는 동안 상기 저장 몸체의 상하로 이동하는 피스톤, 상기 저장 몸체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피스톤의 상승에 의해 상기 저장 몸체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내용물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내용물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내용물이 도포되는 브러시를 구비하는 브러시 몸체 및 상기 브러시 몸체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브러시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안내공을 개폐하는 개폐 밸브를 구비한다.
Abstract:
본 고안은 듀얼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상의 내용물을 수집하는 수집부에 고상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요입구를 형성하여 하나의 용기에 두 가지 종류 이상의 내용물을 수용하고 동시에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듀얼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액상의 내용물이 수용되며 상방으로 입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에 수용된 액상의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부; 상기 토출부에서 토출된 액상의 내용물을 수집하도록 구비된 수집부; 및 상기 수집부에 상기 액상의 내용물과 성상이 다른 고상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요입부;를 포함하는 듀얼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품용 듀얼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 단위용기의 가압부 연장면을 동시에 누를 수 있도록 구비하여 버튼부나 확장버튼부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된 화장품용 듀얼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부에 병렬로 설치되는 복수의 단위용기; 상기 단위용기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싱; 상기 각각의 단위용기에 설치되어 내용물을 상부로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된 내용물을 상방으로 안내하며 외주면의 중간에 걸림턱이 형성된 안내관; 상기 안내관이 삽입되는 원통관과 상기 안내관의 걸림턱에 안착되도록 상기 원통관의 하단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면으로 이루어진 가압부; 상기 가압부의 원통관이 삽입되며 상호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내통관과, 상기 내통관과 연통되는 배출관으로 이루어진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내통관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각 단위용기의 가압부 연장면을 동시에 누를 수 있도록 구비된 확장버튼부;를 포함하는 화장품용 듀얼 용기를 제공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 구조체의 인서트 사출 금형장치 및 그를 이용한 포장용기 제조방법과 그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리 소재의 구조체가 합성수지 소재의 보호틀에 지지되어 이를 매개로 금형에 견고히 지지되는 동시에, 그 내면의 주변 영역에 형성되는 에어층을 통해 완충 작용 및 보호막 기능을 제공받으면서 합성 수지와 인서트 사출되어 단일의 이중용기를 형성할 수 있는 인서트 사출 금형장치 및 그를 이용한 포장용기 제조방법과 그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인서트 사출 금형장치는 일면에 유리 구조체가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유리 구조체 주변에 제1 케비티가 형성되는 제1 금형과, 제2 케비티가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케비티와 상기 제1 케비티의 연결된 케비티에 상기 유리 구조체를 수용하는 제2 금형과, 상기 � ��1 금형에 설치되어 그 일측이 상기 유리 구조체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유리 구조체의 내면 주변에 에어층을 형성시키는 에어주입수단과, 상기 제1 금형에 상기 유리 구조체의 외부 결합부위를 따라 장착되어 그 내면에 상기 유리 구조체의 외부 결합부위가 접하는 외부 보호틀과, 상기 제1 금형에 상기 유리 구조체의 내부 결합부위를 따라 장착되어 그 외면에 상기 유리 구조체의 내부 결합부위가 접하는 내부 보호틀과, 상기 제1 금형에 상기 외부 보호틀의 내면 방향으로 탄성을 가하도록 설치되는 탄성지지부와, 상기 제1 케비티와 제2 케비티의 연결된 케비티에 성형원료를 주입하는 원료주입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bstract:
PURPOSE: An insert injection molding device of a glass structure, a packaging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the packaging container are provided to form a single double container through insert injection with a synthetic resin using an air layer formed around the inner surface of the glass structure while supporting the glass structure firmly to a mold. CONSTITUTION: A glass structure is detachably fixed to one side of a first mold(110). A first cavity(111) is formed around the glass structure. A second cavity(121) is formed in one side of a second mold(120). The second mold accommodates the glass structure to the connected cavity between the second cavity and the first cavity. An air injection unit(130) is installed in the first mold. The air injection unit forms an air layer around the inner side of the glass structure. A raw material injection unit(160) injects molding material into the connected cavity between the first cavity and the second cavity.
Abstract:
본 고안은 힌지개폐구조를 갖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본체와 덮개가 힌지로 결합되어, 용기본체에 대해 덮개가 회전 개폐되는 화장품용 콤팩트 케이스와 같은 힌지개폐구조를 갖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용기본체(11)의 일측에 마련된 힌지홈(13) 부분과 상기 힌지홈(13)에 대응하는 덮개(12)의 일측에 마련된 힌지돌기(14)를 힌지핀(15)이 관통하여서 된 힌지개폐구조를 갖는 용기(10)에 있어서, 상기 힌지홈(13)과 힌지돌기(14)가 대응되는 면에 각각 걸림 동작되게 마련되어, 상기 덮개(12)의 최대 오픈 각도를 제한하는 한편, 오픈된 상태의 각도를 유지시키는 힌지제어부(20)를 마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힌지부분을 중심으로 용기본체(11)에 대해 덮개(12)가 회전하여 완전 오픈되면, 상기 힌지제어부(20)에 의해 덮개(12)의 최대 오픈 각도가 제한되어 더 이상의 회전 오픈을 방지하고, 그 상태에서 오픈 각도를 유지시킴으로써, 사용도중 덮개(12)가 닫치는 것을 방지하는 사용성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힌지제어부(20)가 힌지홈(13) 부분에서 회동하는 힌지돌기(14)의 회전 각도를 다단으로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각도로 덮개를 오픈시킨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역시 사용성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bstract:
본 고안은 분말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덮개가 오픈 됨과 동시에 용기본체의 수용공간으로부터 분말화장품이 일정량만큼 상승 인출되어지는 분말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덮개(12)가 오픈 됨과 동시에 덮개(12)에 의해 밀려서 압축되어진 인출수단(13)이 용기본체(11)의 수용공간(111) 내측으로부터 개방홀(112) 상방으로 상승하면서 분말화장품(1)을 일정량만큼 인출시키는 분말화장품용기(10)에 있어서, 상기 덮개(12)의 하부면 중앙에 마련되어, 상기 인출수단(13)을 수용공간(111) 내측으로 밀어서 압축시키는 가압수단(121); 중앙부분은 상기 가압수단(121)에 의해 관통되어지고, 외주연은 상기 덮개(12) 내주면에 마련된 승강홈(123)에 끼워져, 덮개(12)가 열렸을 때, 덮개(12)와의 사이에 내재된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하강하고, 덮개(12)가 닫혔을 때, 상기 용기본체(11)의 상단주연부의 가압에 의해 상승하면서 상기 가압수단(121)을 숨기거나 외부로 노출시키는 차단수단(122)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