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A skin external composition for protecting dermal-epidermal junction is provided to strengthen binding between dermal and epidermal layers in the skin by inhibiting degradation of the dermal-epidermal junction and promoting production of the dermal-epidermal junction without side effects, so that skin aging is prevented. The skin external composition for protecting dermal-epidermal junction comprises at least one component selected from myricetin represented by the formula(1), epigallocatechin gallate(EGCG) represented by the formula(2), gallocatechin gallate(GCG) represented by the formula(3), epicatechin gallate(ECG) represented by the formula(4), catechin gallate(CG) represented by the formula(5), green tea catechin extract and green tea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s, wherein the amount of the effective components is 0.001-1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Abstract:
A skin external composition for skin moisturizing containing gallocatechin gallate is provided to prevent skin dryness and moisturize the skin by activating peroxisome proliferators-activated receptor-alpha(PPAR-alpha) and promoting expression of filaggrin as a skin moisturizing factor. The skin external composition for skin moisturizing contains gallocatechin gallate as an effective ingredient, wherein the composition further contains theobromine and quercetin, wherein the mole concentrations of gallocatechin gallate, theobromine and quercetin are 0.7 or less, 0.4 or more and 0.4 or more, respectively; and each amount of gallocatechin gallate, theobromine and quercetin is 0.001-30.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Abstract: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양지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양지꽃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에 대한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포내 항산화 방어인자 중 카탈라아제의 활성 보호능과 우수한 미백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낸다. 양지꽃 * 카탈라아제 * 미백 * 보습 * 화장료
Abstract:
본 발명은 지모(Anemarrhenae Rhizoma), 원지(Polygalae Radix), 쇄양(Cynomorii Herba) 및 오수유(Evodiae Fructus)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으로서,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1 (Insulin-like Growth Factor-1; IGF-1)의 생체내 분비를 촉진하여 피부노화와 관련된 여러 인자들을 증진 혹은 억제하여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 효과를 나타내어 궁극적으로 피부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는 부작용이 없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검은콩 추출물, 검은깨 추출물 및 검은쌀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는 주름 개선, 탄력 개선의 효과가 뛰어나며, 자외선에 의한 피부의 미세염증 상태를 조절하여 홍반 괴사 등을 방지함으로써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부작용이 없는 장점이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의 주요대사 산물인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F1 (20-O-β-D-글루코피라노실-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 이하'진세노사이드 F1'이라한다) 또는 화합물 K(20-O-β-D-글루코피라노실-20(S)-프로토파낙사다이올; 이하 '화합물 K'라 한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젤라티네이즈의 생합성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우수한 표피진피경계부 분해억제 및 생성촉진효과와 보호효과를 갖는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및 의약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시오가피( Acanthopanacis Cortex ), 강진향( Dalbergiae odoriferae Lignum ), 노근( Phragmitis Rhizoma ), 당귀( Angelicae Gigantis Radix ), 백자인( Thujae Semen ), 백질려( Tribuli Semen ), 백출( Atractylodis Rhizoma alba ), 봉출( Zedoariae Rhizoma ), 부평초( Spirodelae Herba ), 사상자( Torilidis Fructus ) 및 석곡( Dendrobii Herba )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로서, T 임파구 매개성 면역반응 억제능력에 의해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건선 등의 피부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Abstract:
A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 or enhancing skin elasticity is provided, which composition has improved activity for collagen and hyaluronic acid synthesis, skin wrinkle improvement, skin elasticity enhancement and skin moisturing. The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 or enhancing skin elasticity comprises 0.001 to 20 wt.% of optia fiacus midia extract, 0.001 to 20 wt.% of Panax schinseng extract, 0.001 to 20 wt.% of Zinnia elegans extract, 0.001 to 20 wt.% of rasberry extract and 0.001 to 20 wt.% of Crataegi Fructus extract.
Abstract:
PURPOSE: Provided is a skin topical preparation composition which produces a natural moisturizing factor while increasing the lipid synthesis for the skin moisturizing, and prevents skin diseases, such as xeroderma. CONSTITUTION: A skin topical preparation composition comprises 0.0001-20 wt.% of d-fructose 1,6-diphosphate or a derivative thereof. The derivative is formed with barium salt, di-barium salt, sodium salt, di-sodium salt, tri-sodium salt, tetra-sodium salt, potassium salt, calcium salt, di-calcium salt, di-magnesium salt, or cyclohexylamine sa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