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Sodium Polyacrylate)를 함유함으로써 꿀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꿀과 유사한 외관 및 물성을 가지는 수중유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꿀 추출물과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더 함유하여 피부에 보습, 유연 또는 각질 제거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꿀 팩, 꿀 추출물, 프로폴리스 추출물, 보습
Abstract:
본 발명은 판상의 산화알루미늄 표면에 무정질 이산화티탄이 코팅되어 있는 복합분체를 메이크업 화장료에 함유함으로써, 손상된 피부 장벽의 회복을 촉진시켜 안티에이징 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허옇게 들뜸현상이 없는 자연스러운 피부결점 보정효과 및 밀착감과 퍼짐성 등이 사용감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합분체, 메이크업 화장료, 무정질 티타늄옥사이드, 산화알루미늄, 피부손상 회복, 안티에이징
Abstract:
A quantitatively analyzing method of melanin in a corneocyte for visually expressing distribution of melanin in the skin surface is provided to express melanin amount visually and quantitatively by quantification of melanin spot area per corneocyte, so that a user confirm the efficacy of skin whitening cosmetics easily. A quantitatively analyzing method of melanin in a corneocyte for visually expressing distribution of melanin in the skin surface comprises the steps of: (a) collecting a horny layer from the skin surface; (b) dyeing melanin in the collected horny layer; and (c) observing the dyed horny layer sample with a microscope, picturing the image of dyed horny layer sample, and quantifying the melanin spot area per corneocyte, wherein the melanin amount is classified into 5 grades; and a first grade corresponds to 0-5% melanin distribution per corneocyte, a second grade corresponds to 5-10% melanin distribution per corneocyte, a third grade corresponds to 10-20% melanin distribution per corneocyte, a fourth grade corresponds to 20-40% melanin distribution per corneocyte, and a fifth grade corresponds to more than 40% melanin distribution per corneocyte.
Abstract:
A sebum secretion inhibiting cosmetic composition is provided to be effective for inhibiting the sebum excessively secreted from skin by inhibiting the activity of 5alpha-reductase which is an enzyme for catalyzing the formation of dehydrotestosterone known to be inducing the sebum secretion. A cosmetic composition for inhibiting sebum secretion comprises an extract of Crataegus pinnatifida(hawthorn), an extract of Parthenocissus tricuspidata(Ivy) and an extract of Syzygium aromaticum(clove), where the total content of extracts regarding the weight of the composition is 0.001-10 wt.%.
Abstract: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acchromyces polypeptides and beta-1,3-glucane for moisturizing the skin is provided to increase water content in the skin horny layer, reduce water evaporation from the skin horny layer and prevent decrease of skin transparency, skin roughness, decrease of skin gloss and fine wrinkles caused by water deficiency in the skin horny layer. A cosmetic composition for moisturizing the skin contains 0.001-10 wt.% of Sacchromyces polypeptides and 0.001-10 wt.% of beta-1,3-glucane as effective ingredients and is formulated as soft lotion, nutrition lotion, massage cream, nutrition cream, pack, gel, essence, lipstick, makeup base, foundation, lotion, ointment, cream, patch or spray, wherein the Sacchromyces polypeptide is an oligopeptide fraction isolated from cytosol in the cultured medium of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the beta-1,3-glucane is obtained by liquid culture of Schizophyllum commune mycelium.
Abstract:
본 발명은 키토산-리파아제 접합체가 포집된 메조포러스 실리카 복합 분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지를 다량 흡수하며 키토산-리파아제 접합체가 더욱 안정화된 키토산-리파아제 접합체가 포집된 메조포러스 실리카 복합 분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키토산-리파아제 접합체가 포집된 메조포러스 실리카 복합 분체는 피지를 분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해된 산출물인 지방산에 흡착하여 자극원인을 제거할 수 있다. 리파아제, 키토산, 효소안정화, 메조포러스 실리카
Abstract:
본 발명은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Sodium Polyacrylate)를 함유함으로써 꿀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꿀과 유사한 외관 및 물성을 가지는 수중유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꿀 추출물과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더 함유하여 피부에 보습, 유연 또는 각질 제거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꿀 팩, 꿀 추출물, 프로폴리스 추출물, 보습
Abstract: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풍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풍란 추출물에 부가적으로 글루코만난(Glucomannan, 곤약) 및 자란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풍란 초임계 추출물 및 자란 초임계 추출물은 수분 보유력이 우수하고, 글루코만난은 각질층에서 수분을 다량 함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각질층에서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수분 증발을 감소시키며, 인체실험에서도 피부 수분량을 크게 증가시키고 우수한 피부 회복력 향상 효과를 나타내므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로써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를 투과할 수 없는 큰 분자량을 갖는 양친성 고분자를 유화 안정화제로 사용하여 제조한 에멀젼 타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오일과 물로 구성된 에멀젼을 저분자량의 계면활성제 또는 유화제의 사용을 배제하고 오직 폴리카프로락톤을 소수성 세그먼트로 갖는 양친성 고분자로 안정화할 수 있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양친성 고분자는 1) 피부에 투과되지 않아 보다 피부에 안전하고, 2) 오일성분 중 짧은 시간 안에 피부에 자극을 유발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는 오일을 피부에 흡수되는 속도를 지연시켜 오일에 의한 자극을 완화하고, 3) 고분자 사슬 간의 응집력(cohesive force)이 매우 우수한 반면, 피부와의 상호작용이 적기 때문에 끈적임이 없어 보다 산뜻한 느낌을 피부에 부여하는 기능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