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열 차단 지수의 생성 방법은, 열 차단 물질이 도포된 제1 영역 및 상기 열 차단 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제2 영역에 각각 열을 가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 각각의 포화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에 가해진 열에 대응되는 에너지를 상기 제1 영역의 포화 온도로 나누어 제1 에너지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2 영역에 가해진 열에 대응되는 에너지를 상기 제2 영역의 포화 온도로 나누어 제2 에너지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에너지를 상기 제2 에너지로 나누거나, 또는 상기 제1 에너지 및 상기 제2 에너지의 차를 상기 제1 에너지로 나누어 상기 열 차단 물질의 열 차단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bstract:
리핀-1(Lipin-1) 단백질 및 염증 유전자를 함유하는 피부 각질세포에 시험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상기 시험 물질을 처리한 피부 각질세포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 및 상기 자외선 조사 전후의 피부 각질세포의 염증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염증 유전자는 인터루킨-6(IL-6), 인터루킨-8(IL-8)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세포의 항염 물질 스크리닝 방법, 피부 각질세포의 항염 물질 스크리닝 키트 및 피부 각질세포의 항염 조성물을 제공한다.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CARD18 발현 또는 활성 촉진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장벽기능 강화용 조성물 및 CARD18 발현 또는 활성 촉진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CARD18 발현 또는 활성 촉진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 장벽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피부 보습 또는 항산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리닝 방법에 따르면 CARD18 유전자의 상대적 발현 촉진 정도를 확인함으로써, 간편하게 피부 장벽기능 강화 물질을 스크리닝할 수 있다.
Abstract:
여우구슬(Phyllanthus urinaria) 추출물 및 항노화 펩타이드가 내부에 안정화된 폴리머좀(polymersom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성 회복 및 피부 수분 함유량 증대 효능을 포함하여 피부 탄력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 피부 개선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으로서, 후보물질에 의한 블레오마이신 하이드로라제(Bleomycin hydolase)의 유전자 발현 변화량에 기초하여 스크리닝하는 것을 포함하는 건조 피부 개선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스크리닝으로 찾아낸 건조 피부 개선물질을 제공한다. 또한 블레오마이신 하이드로라제(Bleomycin hydolase) 유전자 발현량을 증가시키는 간 X 수용체(Liver X Receptor) 활성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은 효과적인 건조 피부 개선물질을 찾을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고, 상기 조성물은 건조한 피부를 개선시키고, 피부의 수분 손실을 방지하여서, 피부 각질층의 피부 장벽을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다.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LINC00302 발현 또는 활성 촉진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장벽기능 강화용 조성물 및 LINC00302 발현 또는 활성 촉진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LINC00302 발현 또는 활성 촉진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 장벽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피부 보습 또는 항산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리닝 방법에 따르면 LINC00302 유전자의 상대적 발현 촉진 정도를 확인함으로써, 간편하게 피부 장벽기능 강화 물질을 스크리닝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의 태양광 차단 기능 측정방법은 태양광 조사에 의해 감소하는 피부 세포 내 항균성 펩티드(antimicrobial peptides, AMPs)의 발현량 및 S-나이트로실레이션(S-Nitrosylation)된 단백질의 생성량 중 하나 이상의, 대상 물질에 의한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기존에 육안평가를 통해 자외선 차단정도를 평가하던 방법과 달리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태양광 차단 정도를 측정 및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측정방법은 자외선 차단 지수만을 제공하던 기존의 태양광 차단 효능 평가 방법과 달리 가시광선 중 가장 피부 손상을 가장 많이 유도하는 400~500 nm 파장의 블루/바이올렛 라이트의 차단여부까지 판별할 수 있으며, 보다 세분화된 태양광 차단 효능 평가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이를 이용해 태양광 차단 정도를 지수화할 수 있으며, 정상피부를 블루/바이올렛 라이트로부터 보호하는 태양광 차단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