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의 기준 영상과 부가 영상간의 동기화 방법은 기준 영상의 시작 시점을 수신기에 미리 알려주기 위한 소정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소정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수신측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는,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의 기준 영상과 부가 영상간의 동기화 방법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의 기준영상과 연동되는 부가영상을 수신측에서 미리 준비하도록 하기 위하여 송신측에서 부가영상 연동 정보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실시간 방송프로그램의 3D 기준 영상과 수신기에 저장된 3D 부가영상 또는 스트리밍되는 3D 부가 영상간의 동기화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Abstract:
비실시간 3D 방송 콘텐츠를 시그널링 할 수 있는 방송 서비스 송신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방송 서비스 송신 장치는 기준 영상(Reference image) 및 부가 영상(Additional image)을 포함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콘텐츠를 인코딩하여 비실시간(Non-Real-Time, NRT) 스트림을 생성하는 NRT 콘텐츠 인코더와 상기 콘텐츠와 상응하는 서비스 맵 테이블(Service Map Table, SMT) 및 비실시간 정보 테이블(Non-Real-Time-Information Table, NRT-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NRT 시그널링 정보를 생성하는 NRT 시그널링 정보 인코더 및 상기 비실시간 스트림 및 NRT 시그널링 정보를 다중화하여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다중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기준 영상 및 부가 영상이 듀얼 스트림 형태로 인코딩된 경우에도 콘텐츠의 제공이 가능하다.
Abstract:
디지털방송에서 방송 프로그램 연동형 3D 비디오 서비스에 관한 내용이 개시된다. 예컨대, 브로드캐스팅되는 기본 콘텐츠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부가 콘텐츠를 연동하여 3D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그널링 기술 방법 및 동기화 방법이 구체적으로 정의된다.
Abstract:
프로그램 연동형 스테레오스코픽 방송 서비스를 위한 송신 장치 및 방법, 및 수신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송신 장치는 프로그램 연동형 스테레오스코픽 방송 서비스를 위한 송신 장치에 있어서, 기준 영상을 인코딩하여 실시간 스트림을 생성하는 실시간 스트림 인코더; 부가 영상을 기반으로 비실시간 스트림을 생성하는 비실시간 스트림 인코더; 3D 콘텐츠 동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준 영상과 상기 부가 영상의 동기화를 위한 서비스 시그널링 및 영상 동기화 정보 - 서비스 시그널링 및 영상 동기화 정보는 이벤트 정보 테이블 및 프로그램 맵 테이블을 포함함 - 스트림을 생성하는 영상 동기화 정보 생성기; 및 상기 실시간 스트림, 상기 비실시간 스트림 및 상기 서비스 시그널링 및 영상 동기화 정보 스트림을 다중화함으로써 프로그램 연동형 스테레오스코픽 방송 스트림을 생성하는 재다중화기를 포함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의 기준 영상과 부가 영상간의 동기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명세서는 프로그램 레벨의 서술자에 포함되고 기준 영상에 관한 프레임의 시작시간을 지시하는 기준시간 스탬프를 기반으로, 기준 영상의 현재 프레임과 기준시간 스탬프간의 시간차이를 계산하고, 시간차이를 이용하여 기준 영상에 관한 프레임과 부가 영상에 관한 프레임의 동기를 맞추는 동기화 방법을 개시한다. 실시간으로 송출되는 스트림과 함께 동기 시간 정보를 시그널링함으로써,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서비스가 시작되는 시점의 첫 PMT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패킷에러가 발생했을 때에도 저장된 부가 영상과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기준 영상간의 동기화가 가능하다. 이로써 안정적으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기준 영상과 상기 기준 영상과 별도로 전송되는 부가 영상 및 콘텐츠를 연동하여 3D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송 방법에 있어서, 기준 영상을 기반으로 실시간 기준 영상 스트림을 생성하여 실시간으로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실시간 기준 영상 스트림 생성 단계; 및 상기 기준 영상과 연동하여 3D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 영상 및 콘텐츠를 상기 기준 영상 스트림과 별도로 상기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부가 영상 및 콘텐츠 전송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실시간 기준 영상 스트림은 상기 기준 영상과 연동될 부가 영상 및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인 연동 정보 및 상기 기준 영상과 상기 부가 영상 및 콘텐츠와의 동기를 맞추기 위한 동기화 정보를 포함하는 3D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Abstract:
초고화질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는 DVB-SI(Digital Video Broadcasting- Service Information)에서 비어 있는 영역의 값을 토대로 초고화질 방송 스트림을 정의한다. 그리고 초고화질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는 초고화질 방송 스트림을 부호화하여 기본스트림을 생성하고, 상기 초고화질 방송 스트림을 나타내는 서비스 타입의 필드값과 상기 초고화질 방송 스트림을 구성하는 컴포넌트에 대한 스트림 컨텐츠 및 컴포넌트 타입의 값을 포함하는 SI를 생성한 후에, 기본스트림과 SI를 다중화하여 전송한다.
Abstract: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사용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제어 서버를 사용하여 방송 콘텐츠 및 방송 서비스 제공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방송사에 의해 운영되는 통신망 및 방송망을 통해 방송 서비스 제공 정보 및 방송 콘텐츠가 제공됨으로써, 방송 콘텐츠 수신 장치에게 다양한 방송 콘텐츠가 효율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방송 콘텐츠가 저장됨으로써 방송 콘텐츠에 대한 보안성이 향상되고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송 콘텐츠 수신 장치는 대용량의 로컬 스토리지를 저장 장치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Abstract:
PURPOSE: A receiving device for receiving multiple signals through different paths and a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receive multiple signals transmitted through different networks and to synchronize the multiple signals. CONSTITUTION: A first receiving unit (210) receives a first signal through a radio frequency (RF) broadcast network. A second receiving unit (220) receives a second signal through an internet protocol (IP) communications network. A signal processing unit (230) detects synchronization type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signal of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The signal processing unit selects synchroniz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ynchronization type information in th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The signal processing unit synchronizes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according to selected synchronization information. [Reference numerals] (100-1) Transmitting unit 1; (100-2) Transmitting unit 2; (210) First receiving unit; (220) Second receiving unit; (230) Signal processing unit; (AA) RF broadcast network; (BB) IP communication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