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안구를 추적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 장치는 제어신호에 따른 위치, 배율 또는 회전각을 가지고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안구 추적 모드의 실행 여부를 판단하는 모드전환 판단부, 사용자의 안구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부, 카메라 모듈부가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상기 사용자 안구의 운동 변화를 분석하는 안구 운동 분석부 및 안구 운동 분석부로부터 분석 결과 신호를 받아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위치, 배율 또는 회전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bstract:
A stereo matching apparatus which generates a displacement map based on stereo image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isplacement map calculation unit for generating a full-scale displacement map regarding the stereo images in a predicted search area for a current frame generated from a previous frame; an effective search area calculation unit which sets an object area extracted by comparing a histogram log scale of the full-scale displacement map with a threshold value as an effective search area of the current frame; and an predicted search area calculation unit which generates the predicted search area for the next frame based on at least one linear transformation element extracted among the histograms of the effective search areas of the previous frame and the current frame. [Reference numerals] (AA) Start; (BB) k=1 or M; (S10) Each receive stereo images of left and right components from a current frame; (S11) k = 1,2 or M?; (S20) Generate a full-scale displacement map and an effective search area by a simple search area method(SSR); (S30) Generate a full-scale displacement map, an effective search area, and a predicted search area in the effective search area; (S40) Generate a full-scale displacement map, an effective search area, and a predicted search area in the predicted search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서 파워 시뮬레이션 수행 방법은 대상 프로세서의 명령어에 대한 소비 전력 룩업 테이블이 생성되는 S1 단계, 소비 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대상 코드가 입력되는 S2 단계 및 S1 단계의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S2 단계에서 입력된 대상 코드에 대한 소비 전력을 측정하는 S3 단계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각 명령어에 대한 소비전력을 사전에 룩업 테이블로 만들어 명령어로 구성된 특정 코드에 대한 소비 전력을 빠르게 연산한다.
Abstract:
UWB 및 MIMO 안테나를 이용한 무선전력공급장치(100)는 데이터 신호 및 전원이 포함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신호 수신부(110), 무선 신호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전원의 전력을 저장하고, 무선 단말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복수 개의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부(160), 무선 신호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무선 신호에서 데이터 신호를 추출하거나, 전원을 유도하는 신호 변환부(120) 및 무선 단말기의 동작 및 배터리부(160)의 정보에 따라 배터리부(160) 또는 신호 변환부(120)를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무선 단말기로 데이터가 전송이 필요한지 여부에 따라 배터리 충전 여부를 제어하여 무선 신호 안테나 간 간섭을 막고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3D 카메라에서의 자동 주시각 제어 장치(100)는 3D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 대한 깊이 맵(Depth Map) 이미지를 생성하는 깊이 맵 생성부(110), 깊이 맵 생성부(110)에서 생성된 깊이 맵 이미지에서 자동 주시각 제어 대상인 피사체를 선택하는 피사체 선택부(120), 초기 영상 프레임(d)과 완료 영상 프레임(d+2)에서 선택된 피사체의 중심점(Centroid)을 검출하는 중심점 검출부(130), 초기 영상 프레임(d)과 완료 영상 프레임(d+2) 사이의 예측 영상 프레임(d+1)에서 선택된 피사체의 중심점 위치를 분석하는 중심점 예측부(140) 및 중심점 예측부(140)에서 분석된 중심점 위치를 이용하여 초기 영상 프레임에서 완료 영상 프레임까지 주시각 제어를 수행하는 주시각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Abstract:
PURPOSE: A devic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convergence angle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predict movement of a subject between frames, thereby controlling the convergence angle. CONSTITUTION: A subject selecting unit(120) selects a subject in a depth map image. A centroid detecting unit(130) detects the centroid of the subject. A centroid predicting unit(140) analyzes the centroid of the subject in a prediction image frame(d+1) between an initial image frame(d) and a complete image frame(d+2). A convergence angle control unit(150) controls a convergence angle from the initial image frame to the complete image frame. [Reference numerals] (100) Convergence angle control in 3D camera; (110) 3D depth map generating unit; (111) Difference error correction unit; (112) Depth map image generating unit; (113) Noise removal unit; (120) Subject selecting unit; (130) Centroid detecting unit; (140) Centroid predicting unit; (150) Convergence angle control unit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과 카메라를 장착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진촬영을 할 때 외부의 촬영버튼(셔터)을 조작하지 않고 터치 스크린에 터치 패턴을 입력하는 형태에 따라 카메라가 지원하는 다양한 형태의 촬영모드를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 오른손잡이를 기준으로 하여 왼쪽 영역(3)에는 줌인/아웃모드 스크롤 모양(5) 및 메뉴 기능을 하는 메뉴버튼(4), 가운데 영역(2)에는 촬영 전/후의 영상, 오른쪽 영역(1)에는 특정패턴을 입력할 수 있는 직사각형의 영역 등과 같이 영역을 분할하고, 각 영역의 터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사용자는 터치 패턴을 1초 이상 누르거나 직사각형 영역(1)의 윗부분에서 아랫부분까지 터치하는 등의 행위를 통해 다양한 촬영모드, 즉 야간모드 촬영, 동영상 촬영, 연속모드 촬영, 파노라마 촬영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줌인/아웃 기능도 실현가능한데, 줌인/아웃 기능은 왼쪽의 줌인/아웃모드 영역의 가운데 직사각형 형태의 스크롤 버튼(5)을 누르고 위쪽 혹은 아래쪽으로 움직임으로써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유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회선의 상태에 따른 절체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선 네트워크에서 회선의 품질에 따른 절체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동영상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유선 케이블로 송신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으로, 동영상을 제공하는 동영상 제공 시스템에서 네트워크와 둘 이상의 유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제1회선 절체 장치와, 상기 동영상을 수신하는 수신 시스템에서 상기 네트워크와 둘 이상의 유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제2회선 절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선 절체 장치 및 제2회선 절체 장치는 각각, 둘 이상의 회선들 중 하나의 회선을 DSL 모뎀 형식으로 연결하며, 각 회선들 중 하나를 네트워크와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회선 연결부와, 초기 동작 시 상기 회선들의 전송 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회선의 전송 속도를 근거로 하여 상기 회선들 중 가장 빠른 전송 속도를 갖는 회선과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정수 변환 장치는 입력 원소들을 2x2 행렬로 묶을 수 있도록 입력의 원소의 순서를 바꿔주는 제1데이터 순서 변환기와, 4x4 입력을 2x2 행렬로 묶어 감산 및 가산을 행하는 1차 정수 감산 및 가산기와, 4x4 입력을 각각의 원소끼리 감산 및 가산을 행하는 2차 정수 감산 및 가산기와, 정방향 정수 변환시에는 상기 2차 정수 감산 및 가산기의 출력값들을 그대로 출력하고, 역방향 정수 변환시에는 상기 2차 정수 감산 및 가산기의 출력값들에 대해 역방향 정수 변환을 위한 연산이 수행된 결과값들이 출력되도록 하는 정/역방향 쉬프트 보정기를 포함하는 수정된 2차 정수 감산 및 가산기와, 제1데이터 순서 변환기에서 바뀐 원소들을 위해 다시 데이터 순서를 바꿔 주는 제2데이터 순서 변환기를 포함한다. 정수 변환, H.2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