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력 및 맥파에 기반한 평균동맥압 추정 방법 및 장치

    公开(公告)号:WO2021132853A1

    公开(公告)日:2021-07-01

    申请号:PCT/KR2020/012934

    申请日:2020-09-24

    Inventor: 신항식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 및 맥파에 기반한 평균동맥압 추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및 맥파에 기반한 평균동맥압 추정 방법은 (a)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압력을 측정하고, 상기 손가락의 맥파를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압력에 따른 상기 맥파에 대한 진폭의 최대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최대값에 대응하는 압력을 평균동맥압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 마이크로스캐폴드 대량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량 제조방법

    公开(公告)号:WO2021060622A1

    公开(公告)日:2021-04-01

    申请号:PCT/KR2019/016366

    申请日:2019-11-26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적이며 균일한 입자를 제작 가능하게 하며, 오랜 시간동안 대량으로 마이크로스캐폴드드(micro-scaffold)를 제조하는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분자 지지구조체 용액을 저장하는 제1 용액저장부와, 유화제 용액을 저장하는 제2 용액저장부와, 상기 제1 용액저장부 및 상기 제2 용액저장부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지지구조체 용액 및 유화제 용액을 이송시키는 이송가스(transporting gas)를 제공하는 가스저장부와, 상기 제1 용액저장부 및 상기 제2 용액저장부에 제공하는 상기 이송가스에 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에서 상기 제1 용액저장부 및 상기 제2 용액저장부에 유입하는 상기 이송가스의 압력을 각각 제어하는 압력 제어부와, 상기 이송가스에 의해 각각 제공되는 상기 고분자 지지구조체 용액 및 유화제 용액을 각각 공급받고, 상기 고분자 지지구조체 용액 및 유화제 용액의 결합으로 스캐폴드 분산액을 생성하여 배출하는 스캐폴드 인젝터부 및 상기 스캐폴드 인젝터부를 통해 배출하는 상기 스캐폴드 분산액을 공급받고, 상기 스캐폴드 분산액에 포함된 유기용매 및 분산매를 제거한 후 고분자 마이크로스캐폴드를 생성하는 스캐폴드 생성부를 포함한다.

    이중 3차원 박막 구조체로 이루어진 조직공학용 스캐폴드 및 이를 포함한 생체반응기

    公开(公告)号:WO2020251281A1

    公开(公告)日:2020-12-17

    申请号:PCT/KR2020/007592

    申请日:2020-06-11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직공학용 스캐폴드는, 내부가 2개의 계면에 의해 분리 구획되어 서로 꼬인 형태의 3개의 부공간을 갖는 3차원 박막 구조체를 이용한 조직공학용 스캐폴드로서, 상기 3개의 부공간은 제1 공간, 제2 공간 및 제3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계면은 선택적 투과성을 갖는 다공성 박막 재질로 구성되며 서로 접촉하지 않는 제1 계면 및 제2 계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계면은 상기 제1 공간과 제2 공간 사이를 분리 구획하고, 상기 제2 계면은 상기 제1 공간과 제3 공간 사이를 분리 구획하고, 상기 제1 공간은 세포가 배양되는 공간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2 공간은 상기 세포 배양시 사용되는 대사유입물을 위한 통로로 제공되며, 상기 제3 공간은 상기 세포를 배양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대사폐기물을 위한 통로로 각각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스캐폴드를 그 내부에 수용하고 물질대사물의 입구 및 출구가 구비된 하우징을 포함하여 생체반응기를 구성할 수 있다.

    전면볼록곡률 변형 특성을 갖는 샌드위치 판재 및 그 제조방법

    公开(公告)号:WO2020036302A1

    公开(公告)日:2020-02-20

    申请号:PCT/KR2019/007494

    申请日:2019-06-21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 착용 기기(wearable device)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는 샌드위치 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샌드위치 판재의 경우, 보통의 심재 양면에 2차원 팽창성 재료가 면재로 부착된 형태를 가져, 경량/박형 제작이 가능하고 소정의 강도 및 강성도 부여할 수 있고 또한 3차원 팽창성 재료에 준하여 굽힙 모멘트에 대한 전면볼록곡률 변형 거동을 부여하여 피착물과의 밀착성이 개선됨으로써 신체 착용 기기의 구조재로 유리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2차원 팽창성 재료를 면재 형태로 선가공한 후 보통의 심재에 단순 부착하는 방식으로 저비용으로 간단히 제조되면서도 3차원 팽창성 재료에 준하는 거동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3차원 팽창성 재료를 이용한 얇은 판상 구조재로의 단순 구성시 제조 난이도가 높아지고 구조재의 강도가 지나치게 낮아져 신체 착용 기기에 적용하는 데 있어 장애가 되는 실용상의 한계가 용이하게 극복할 수 있다.

Patent Agency Ran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