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Disclosed is a cooperative multip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dividing the inside of a cell area into a cell center area, a cell middle area, and a cell outer area based on the distance from a base station or the strength of a signal; a step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signal through a first frequency band in the cell middle area; a step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signal through a second frequency band in the cell outer area; and a step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signal through the first frequency band or the second frequency band in the cell center area.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can be determined as a frequency band which can be used in the cell is divided based on a range capable of applying a cooperative multip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technique.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provided to allocate a CC set of signal qualification to user device. CONSTITUTION: A serving BS(Base Station) determines resources of neighboring base stations which has a DL(DownLink) quality larger than a reference value through measurement information about neighboring base stations. The serving base station reserves a resource of a neighboring base station of the highest DL(DownLink) quality among the candidate as a resource for a handover of a user terminal(1205~1220).
Abstract:
본 발명은 히스테리시스 범위 결정 방법 및 핸드오버 트리거링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이동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동국은 일정기간 동안 수집된 신호세기 값들을 이용하여 서빙 셀 및 인접 셀 각각 해당하는 선형화된 신호세기의 기울기를 도출하고, 도출된 신호세기 기울기들을 이용하여 각 인접 셀에 해당하는 히스테리시스 범위를 결정한다. 또한, 결정된 히스테리시스 범위를 핸드오버 리포팅 이벤트 공식에 대입하여 핸드오버 트리거링 여부를 결정하고, 그에 따른 타겟 셀을 결정한다. 핸드오버, 히스테리시스 범위, 신호세기 기울기, 핸드오버 리포팅 이벤트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장비로서 서브랙(subrack)에 인쇄회로기판을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시스템의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전자장비 서브랙에서의 확장성을 갖는 모조보강재(Dummy Stiffener)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모조보강재의 형상이 단일형으로 되어 있거나 비어있는 슬롯의 크기에 개별적으로 맞게 제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상태에 따라 균일하지 않은 모양과 형상을 갖게 되어 제작상의 어려움이 있고 설치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또한 각 모조보강재마다 개별적으로 장/탈착기를 장착해야 하므로 작업상의 번거로움과, 제작 단가를 상승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에서는 균일한 형상을 취하므로서 여러개의 모조보강재를 붙여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확장에 제한이 없도록 하며, 특히 단 한 개의 장/탈착기구 만을 사용하여 결합할 수 있는 기능을 갖도록 하므로서 설치 및 손쉬운 유지보수 기능을 갖도록 하여 각 전자장비의 용도에 맞는 기능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유사한 장비에 대체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확장성을 갖도록 한 전자장비 서브랙에서의 확장성을 갖는 모조보강재(Dummy Stiffener)에 관한 것임.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장비에서의 이중 냉각방식의 팬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냉각방식의 팬유니트는 양측단에 사이드 판넬(201,201a)이 부착되고, 전면에는 냉각팬 모듈(202)과 전기한 냉각팬 모듈(202)에 의해 유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공기 여과기(205)가 냉각팬 모듈(202)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부에는 ㄷ자 형태로 하단부 판넬(203a)이 형성되고 상면에 다수의 구멍(203b)이 타설된 팬유니트 상부 편향판(203)이 부설되고, 하부에는 히트파이프(110)의 냉각핀(111)이 장착될 수 있는 냉각핀 장착용 구멍(204a)이 형성된 팬유니트 하부 보조판(204)이 부착되어, 상기한 냉각팬 모듈(202)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부 편향판(203)의 하단부 판넬(203a)에 의해 상부와 하부로 나뉘어져 강제냉각기능과 히트파이프 냉각핀(111)의 특수냉각장치 냉각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장비로서 서브랙(subrack)에 인쇄회로기판을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시스템의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전자장비 서브랙에서의 확장성을 갖는 모조보강제(Dummy Stiffener)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모조보강재의 형상이 단일형으로 되어 있거나 비어있는 슬롯의 크기에 개별적으로 맞게 제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상태에 따라 균일하지 않은 모양과 형상을 갖게 되어 제작상의 어려움이 있고 설치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또한 각 모조보강재마다 개별적으로 장/탈착기를 장착해야 하므로 작업상의 번거로움과, 제작 단가를 상승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에서는 균일한 형상을 취하므로서 여러개의 모조보강재를 붙여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확장에 제한이 없도록 하며, 특히 단 한개의 장/탈착 기구만을 사용하여 결합할 수 있는 기능을 갖도록 하므로서 설치 및 손쉬운 유지보수 기능을 갖도록 하여 각 전자장비의 용도에 맞는 기능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유사한 장비에 대체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확장성을 갖도록 한 전자장비 서브랙에서의 확장성을 갖는 모조보강제(Dummy Stiffener) 에 관한 것임.
Abstract:
an exterior hull of an optical connection having an input/output hole for inputting an optical cable; an optical fiber supporter having a guide hole into which a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optical fiber is fixed, for storing the optical fiber; and an optical fiber protect guide device for operating glide and rotation of the optical fiber protect supporter.
Abstract:
본 발명은 가입자 선로의 변경이나 서비스 요구에 따른 신속한 선로의 배정을 위해, 광커텍터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광분배반용 활주 고정식 광커넥터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광커넥터(2)를 보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광커넥터(2)를 개별적으로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하는 광커넥터 보관장치에 있어서, 그 전측으로부터 후측으로 소정크기의 개구부(4)가 형성된 활주레일판(3) 및 그 몸체(6)의 중앙부에 광커넥터(2)가 상하방향으로 장착되도록 다수의 커넥터 홀더(7)가 형성되고, 그 몸체(6)의 양측면 중앙에는 상기 활주레일판(3)이 끼워져 걸쳐지도록 활주홈(9,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활주레일판(3)의 개구부에 활주되도록 설치되는 보관대로 구성된 것을 일실시예로 하고, 상기 일실시예 구성에 상기 몸체(6)의 양측면에 활주홈(9,10) 각각 형성되고, 그 몸체(6)의 전측 양측면에 손잡이홈(12)이 형성되고, 그 몸체(6)의 후측 양측면에는 고정편(8)이 각각 구비되고, 그 몸체(6)에 2열로 다수의 커넥터 홀더(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활주레일판(3)의 개구부에 활주되도록 설치되는 보관대를 다른 실시예 구성으로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광커넥터만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작업효율 및 실장밀도를 제고시키며, 신속하게 이상유무를 확인하고 선로의 변경이나 서비스 요구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Abstract:
본 발명은 광케이블을 이용한 광선로는 일정한 길이마다 적당한 접속방법으로 광섬유를 접속할 필요성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각종 분배장치가 사용되게 되며 지하 및 공중에서 광케이블을 접속하고 보호하는 장치가 광접속 함체로 광선로 비용 중 접속에 소요되는 비용이 상당 부분 차지하기 때문에 이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광섬유의 접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활주 회전식 광섬유 보호지지대를 이용한 광접속함체를 제공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