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에는 캐쉬 라인들로 이루어진 저장영역과 어드레스 할당영역을 포함하는 캐쉬 메모리; 각각의 캐쉬 라인 인덱스가 부여된 복수의 블록들로 이루어 복수의 열들로 이루어지며, 이미지 프레임의 한 열의 데이터가 상기 복수의 열들 중 한 열 내에 저장되는 외부 메모리; 상기 외부 메모리의 각 블록들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캐쉬 라인 인덱스가 지정하는 캐쉬 라인에 저장하고, 지정된 캐쉬 라인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에 의하여 움직임 보정을 수행하는 움직임 보정엔진을 포함하는 움직임 보정장치가 개시된다. 움직임 보정, 캐쉬, 외부 메모리, 움직임 보정 엔진
Abstract:
본 발명은 압타머 리셉터가 부착된 일차원적 전도성 고분자 나노재료를 이용한 비표지식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바이오센서 장치 제작에 관한 것으로, 특정 타겟(target)물질에 높은 친화력을 갖는 압타머(aptamer)가 공유적으로 결합된 일차원적 전도성 고분자 나노재료를 전극 기판 상에 고정시키고, 액체-이온 게이트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배열 내에서 이들의 전류변화를 실시간 모니터링함으로써 단백질과 같은 생체물질들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고 효과적인 역상에멀젼 공중합 방법을 이용하여 제어된 표면 관능기를 지닌 일차원적 전도성 고분자 나노재료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더욱이, 제조된 전도성 고분자 나노재료는 금속 전극과 양질의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기 위해서 전극 기판 상에 화학적 결합에 의해 고정하고, 압타머 리셉터를 공유결합에 의해 화학적/물리적으로 안정하게 고정된 전도성 고분자 나노재료 표면에 도입하였다. 압타머 리셉터는 특정 타겟물질과의 반응을 통해 전도성 고분자 내의 전하 운반체 축적 및 감소를 유도한다. 일차원적인 나노재료는 높은 표면적과 일방향성 전기적 성질로 인하여, 분석물과의 상호작용이 증진되므로 향상된 감도 및 실시간 반응을 제공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일차원적 나노재료, 전도성 고분자, 압타머,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비표지식 바이오센서
Abstract:
PURPOSE: A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prostate cancer are provided to reduce unnecessary tissue test and side effects. CONSTITUTION: A method for diagnosing prostate cancer comprises: a step of putting learning data including clinical information value and cancer progression value in a sorter; a step of generating decision hyperplane in the sorter using learning data; a step of inputting clinical information value in the sorter; a step of outputting cancer progression value of tester using the clinical information value of the tester; a step of classifying output cancer progress based on decision hyperplane; and a step of calculating probability of prostate cancer of tester.
Abstract:
본 발명은 생촉매전기화학적 3차원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질소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다공성 담체에 고정화된 막투과성 미생물 및 전도성 분말로 이루어진 생촉매전기화학적 3차원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질소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3차원 전극은 미생물 연료전지 및 바이오센서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생촉매전기화학적 3차원 전극은 공정비용을 높이는 주요 원인이 되는 외부 탄소원의 공급이 필요 없고, 전자전달 매개체를 사용하지 않아 불필요한 추가 오염을 근원적으로 예방하였다. 나아가, 종래 2차원적인 필름 상의 반응 대신 전극의 체적 전체에서 반응이 일어남으로써 반응속도의 획기적인 증가를 도모할 수 있으며, 이는 생촉매전기화학적 3차원 전극의 대표적 응용분야인 탈질공정에서의 효율증가로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생촉매전기화학적 3차원 전극은 제조가 용이하여 미생물 연료전지나 바이오센서와 같은 타 분야에 쉽게 응용이 가능한 장점도 가지고 있다. 생촉매, 전기화학, 3차원, 전극, 전도성 분말
Abstract:
PURPOSE: A manufacturing method of an operation electrode for a photo electrochemical cell and an electrode structure are provided to improve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by expanding the contact area between a photocatalytic layer and a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CONSTITUTION: A first transparent substrate is provided through a manufacturing method of an operation electrode for a photo electrochemical cell. A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122) is formed on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The second transparent covers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transparent and has a larger surface tha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The photocatalyst layer(130) covers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establishing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from umbilical cord blood is provided to easily obtain mesenchymal stem cells which are not easy to obtain and differentiate the mesenchymal stem cells to osteoblasts, chondrocytes, and adipocytes. CONSTITUTION: A human mesenchymal stem cell is derived from human umbilical cord blood. In order for obtaining the mesenchymal stem cell from the umbilical cord blood, the culture medium is different. A culture medium for primary cell culture is a culture medium of forming colony of endothelial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from the primary culture are established by using culture medium for mesenchymal stem cells.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manufacturing injection molded products with nano-patterns by using nano-pattern insert molding is provided to minimize damage to the pattern in an injection mold separating step. CONSTITUTION: A pattern film in which the nano pattern is formed is manufactured. The same pattern film is installed inside a mold(S14). The pattern film uses the mold and is molded by injection(S15). The pattern film combined in the injection molding compound is removed(S17).
Abstract:
본 발명은 위험 지역을 회피하여 적절한 경로를 선택하고 방향을 제시하는 방향 변경이 가능한 비상 유도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비상 유도등은,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에 있어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와; 복수의 유도 방향 표시가 가능하며,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의 제어 하에 특정 유도 방향을 표시하는 다중방향 표시 장치와; 일정 기준에 따라 유도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다중방향 표시 장치가 해당 유도 방향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 을 포함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Abstract:
PURPOSE: A marker for distinguishing Panax ginseng and Panax quinquefolius is provided to distinguish ginseng having excellent pharmacological efficiency. CONSTITUTION: A marker for distinguishing Panax ginseng and Panax quinquefolius comprises one sequence of sequence numbers 1 to 10. A primer for distinguishing the Panax ginseng and Panax quinquefolius comprises a one sequence of sequence numbers from 11 to 13. A method for distinguishing the Panax ginseng and Panax quinquefolius comprises: a step of isolating genome DNA from a sample; a step of performing PCR reaction and amplifying target sequence; and a step of identifying amplified product.
Abstract:
PURPOSE: A plasma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maintain uniform luminance for the same gradation by compensating the predicted rate of a luminance change after predicting the rate of the luminance change according to a line load rate and load distribution. CONSTITUTION: A controlling unit(200) partitions a frame into a plurality of subfields with each weighted value. The controlling unit decides whether each discharge cell radiates or not by the initial weight value of an i-th subfield and an input gray scale level of each discharge cell. An address electrode driving part(300) applies a driving voltage to a plurality of A electrodes according to a driving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ing unit. A scanning electrode driving unit(400) applies a driving voltage to a plurality of Y electrodes according to a driving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ing unit. A sustain electrode driving unit(500) applies a driving voltage to a plurality of X electrodes according to a driving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ing un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