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A PPARs(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s) active material derived from green tea leaves is provided to suppress MMP-1 through activation of PPARs-beta and PPAR-gamma and improve skin moisturization. A PPARs(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s) active material derived from green tea leaves comprises astragalin-2'-galactosyl-6'-rhamnoside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and astragalin-2'-xylosyl-6'-rhamnoside represented by the formula 2. The contents of the astragalin-2'-galactosyl-6'-rhamnoside and astragalin-2'-xylosyl-6'-rhamnoside are 0.0001-10wt% on a total weight basis of a moisturizing-purposed composition.
Abstract:
A whitening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s to the skin, containing kaempferol-3,7-o-alpha-l-dirhamnopyranoside is provided to suppress melanogenesis and to ensure excellent anti-freckles and skin whitening effect. A whitening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s to the skin comprises a kaempferol -3,7-O-alpha-L-di rhamnopyranoside as an active ingredient. The kaempferol-3,7-O- alpha-L-di rhamnopyranoside is derived from the kenaf. The kaempferol-3,7-O- alpha-L-di rhamnopyranoside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0.001~20.0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Abstract:
A 3,5-dihydroxybenzoic acid derivative compound having anti-obesity activity is provided to obtain a pharmaceutical agent for preventing and treating diseases caused by abnormal fat metabolism, including obesity, hyperlipidemia, diabetes by inducing activation of IDH3-alpha and CPT1 promoters. A 3,5-dihydroxybenzoic acid derivative compound having anti-obesity activity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wherein R is adamantyl, cyclohexyl or hexyl. The 3,5-dihydroxybenzoic acid derivative compound includes N-adamantyl-3,5-dihydroxybenzamide, N-cyclohexyl-3,5-dihydroxybenzamide or N-hexyl-3,5-dihydroxybenzamide.
Abstract:
A method for preparing astragalin is provided to mass-produce the astragalin from a plant by selectively removing saccharide from a plant extract containing kaempferol glycosides using an enzyme. A method for preparing astragalin represented by a formula(1) comprises the steps of: (a) extracting a plant with water or an organic solvent to obtain a plant extract comprising camelliaside A or camelliaside B; and (b) isolating the astragalin from the extract using an enzyme capable of removing saccharide selectively such as rhamnosidase, galactosidase, pectinase, xylosidase, hesperidinase, naringinase, and cellulase. Further, a reaction time of the enzyme is 10 to 60 hrs and a reaction pH of the enzyme is 4.0 to 9.0.
Abstract:
본 발명은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탄소수 16 내지 22의 고급알콜 또는 폴리올;이 다공성 실리카에 흡착 및 포집되어 발수력 뿐만 아니라 보습력, 수분 보유력과 수분 함유력을 동시에 가지는 다공성 실리카 복합분체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공성 실리카에 피부 각질층의 수분 유지 능력을 향상시키며, 특히 건조환경에서도 높은 수분 보유력을 보이는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발수력을 가지는 고급알콜 또는 보습력을 가지는 폴리올을 많은 세공을 가지는 다공성 실리카에 흡착 및 포집하여 보습력, 수분 보유력과 수분 함유력을 동시에 가지는 복합 분체에 관한 것이다.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고급알콜, 2-옥틸도데카놀, 폴리올, 1,3-부틸렌글리콜, 수분유지능력, 보습력, 다공성 실리카, 발수력, 복합 분체
Abstract:
본 발명은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이 다공성 실리카에 흡착 및 포집되어 보습력 및 수분 보유력을 가지는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에 관한 것으로, 높은 수분 보유력과 수분함유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또는 글리세린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건조환경에서도 높은 초기 보습감, 높은 보습력 및 높은 수분 보유력을 보이는 상기 복합 분체의 수분 보유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복합 분체의 표면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을 흡착하여 높은 초기 보습감, 보습력, 높은 수분함량, 높은 수분 보유력 및 높은 수분함유력을 동시에 가지는 복합 분체에 관한 것이다.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고급알콜, 글리세린, 2-옥틸도데카놀, 물, 수분 보유력, 수분 함유력, 보습력, 다공성 실리카, 복합분체
Abstract:
본 발명은 녹차로부터 수득한 캄페롤 배당체를 함유하는 녹차 추출물을 효소 또는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분해 반응을 통해 얻어진 녹차 유래의 캄페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및 피부 탄력 향상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그 중 캄페롤 함량이 9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방법으로 수득한 녹차 유래의 캄페롤은 지질 과산화 억제 효과,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를 가지며, 이를 통해 자외선(ultraviolet rays; UV)에 의해 생성된 지질 산화물인 스쿠알렌 모노퍼옥시드로부터 유도된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며, 엘라스타아제 및 콜라게나아제의 발현 억제 효과를 통해, 이 두 가지 활성의 복합 상승 작용으로 피부 탄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주름 개선용 및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녹차, 캄페롤 배당체, 효소, 노화, 지질 과산화, 콜라겐, 스쿠알렌 모노퍼옥시드, 주름, 개선, 엘라스타아제, 콜라게나아제, 탄력,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
Abstract:
본 발명은 캄페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피부 장벽 기능 강화용 및 피부 각질형성세포 분화 유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캄페롤은 캄페롤 배당체로부터 산, 염기, 효소, 또는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분해반응을 통해 캄페롤을 분리시켜 얻어진 것으로, 상기 캄페롤 배당체는 식물, 특히 녹차 유래인 것으로, 캄페롤 함량이 9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캄페롤은 피부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촉진, 손상된 피부 장벽기능의 회복 및 피부 보습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캄페롤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 피부 장벽기능 강화용 및 피부 각질형성세포 분화 유도용으로, 표피 분화가 불완전함으로서 생기는 피부건조증, 아토피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또는 건선 등을 예방 또는 개선하며, 피부 보습용, 피부 장벽기능 강화용 및 피부 각질형성세포 분화 유도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캄페롤, 피부, 보습, 외용제, 배당체, 산, 염기, 효소, 미생물, 식물, 녹차, 장벽기능, 각질형성세포, 아토피, 화장료, 약학, 조성물.
Abstract:
본 발명은 카멜리아시드 A(camelliaside A) 또는 카멜리아시드 B(camelliaside B)를 포함하는 캄페롤 배당체로부터 효소 또는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캄페롤(kaempferol)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방법을 이용하면, 식물 특히, 녹차 씨와 녹차 잎으로부터 주요한 생리활성물질인 캄페롤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캄페롤, 배당체, 식물, 추출물, 산, 염기, 효소, 미생물, 카멜리아시드, 녹차 씨, 녹차 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