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기 화학식 1의 글루타밀아미도에틸 인돌(glutamylamidoethyl indole) 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로, 글루타밀아미도에틸 인돌(glutamylamidoethyl indole)성분은 노화, 스트레스 또는 외부유해인자 등에 의해 감소되는 피부 신경조직을 재생하고 활성화시켜 궁극적으로 피부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화학식 1]
Abstract:
PURPOSE: A cosmetic composition which is made like an extracellular matrix is provided to maintain homeostasis and to effectively regenerate skin cells. CONSTITUTION: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s glycine-proline-hydroxyproline(Gly-Pro-Hyp) contains 0.001-3 weight% of tripeptide, 0.001-50 weight% of low molecular hyaluronic acid, 0.001-3 weight% of mineral, and vitamin as an active ingredient. The mineral is magnesium chloride, calcium chloride, potassium chloride, magnesium fluoride, sulfate zinc, or magnesium sulfate. Vitamin is inositol, ascoarbic acid, pantothenic acid, niacin, thiamine, riboflavin, or derivative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생물학적 접착 시스템을 모사한 미세돌기를 가져 피부 외용제 유효성분의 피부흡수를 증진시키는 미용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나노/마이크로 패터닝 기술로 제작된 미세돌기가 물체와 접촉하였을 때 강한 반데르발스 힘을 나타내어 효과적인 물리적 스트레스를 부여하며 이를 피부 마사지에 이용하였을 때 각질층 연화효과를 유도함으로써 피부를 통한 피부 외용제 유효성분의 흡수를 증가시키는 미용기구에 관한 것이다. 생물학적 접착 시스템, 미세돌기, 물리적 스트레스, 미용기구
Abstract:
PURPOSE: A microcapsule having stabilized natural ingredient and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re provided to prevent natural oil from discoloration by high temperature and suppress initial burst. CONSTITUTION: A microcapsule contains 10-40 weight parts of natural ingredient, 2-8 weight parts of collagen or gelatin, 1-4 weight parts of acacia gum, and 0.02-0.07 weight parts of cross-linking agent. The natural ingredient is natural oil. The natural oil is olive oil, sunflower oil, camellia oil, meadowfoam seed oil or Abyssinian oil.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s 0.01-99.9 weight% of microcapsule based on total weight.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 functional cosmetic composition for moisturization.
Abstract:
Provided is a method for stabilizing benzamide compounds to manufacture skin medicines for external use, including the benzamide compounds as an active ingredient without any structure changes. A composition of skin medicines for external use has pH of 5 or less. Benzamide compounds of which a substituted group is not decomposed exists within the composition. The benzamide compounds a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3,5-dihydroxy-N-(4-hydroxyphenyl)benzamide, N-Phenylbenzamide, t-butylbenzamido hydroxybenzamide, 2-hydroxy-N-phenylbenzamide, and t-butylbenzamido methylhydroxybenzamide.
Abstract:
A physiologically active effective ingredient or a drug delivery carrier comprising an AP-GRR peptide is provided to exert the cell permeation property of the AP-GRR peptide effectively by exposing the AP-GRR peptide portion on the surface thereof, thereby increasing the bioavailability of the physiologically active effective ingredient. An AP-GRR peptide as a cell permeation peptide includes a sequence of Gly(Arg)n Gly Tyr Lys Cys(n is 1 to 20). A drug delivery carrier comprises a lipid structure or a polymeric particle which is covalently bonded to the peptide or a peptide chain including the peptide. The carrier further comprises a stabilizer.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es the drug delivery carrier with 0.01-30 wt.% of a physiologically active effective ingredient regarding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ic particle of liposome dispersion or an emulsion.
Abstract:
본 발명은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1종 이상의 유용성(oil-soluble) 활성성분을 안정화한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한 나노입자는 (1) 유용성 활성성분과 생분해성 고분자를 물과 섞이는 휘발성 유기용매에 용해시키는 단계; (2) 상기 용액을 물에 분산, 교반시킨 후, 나노입자를 형성하는 단계; 및 (3) 상기 나노입자 용액 중 휘발성 유기용매를 증발을 통하여 제거하는 단계;로 제조한다. 상기의 단계로 제조한 나노입자는 2종 이상의 생분해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고분자 캡슐화제의 농도를 동일하게 유지시키면서 입자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아울러 유용성 활성성분의 농도를 유지시키면서 화장품 제형내에 결정석출 없이 안정하게 존재하게 함으로써 제형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생분해성 고분자 * 나노입자 * 활성성분 * 안정화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온도 변화 및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도를 결정하여 유효성분의 변성 거동을 예측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장기간 동안 실제 안정도 측정 실험을 하지 않고서도 손쉽게 유효성분의 변성 거동을 예측할 수 있으므로, 비용 및 시간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유효성분, 안정도, 상태방정식, 아레니우스식, 열역학적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