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UBAP2를 포함하는 골다공증 진단 및 치료효과 평가용 바이오 마커 조성물, UBAP2를 이용한 골다공증 유발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골다공증 치료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및 골다공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UBAP2의 발현량에 따른 골다공증 발생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골다공증 세포모델, 골다공증 유발 마우스 모델, 및 환자의 혈액 세포 내에서 UBAP2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각각의 모델 및 환자에서 UBAP2의 발현량이 매우 증가되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UBAP2는 골다공증의 발생을 예측, 또는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 마커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실험대상에 피검물질을 처리하기 전, 후의 UBAP2 발현량의 증감을 측정함으로써 골다공증의 유발, 또는 예방 또는 치료용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환자로부터 채취한 혈액에서 UBAP2의 발현량을 측정함으로써 골다공증의 진단 및 골다공증 환자의 치료에 따른 예후를 분자 수준에서 판단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lleviating osteoporosis containing a mixed extract of Mori fructus and Aralia continentalis. The composition containing a mixed extract of Mori fructus and Aralia continental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motes proliferation of cells which affect bone metabolism, activates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 and improves bone density in an animal test with ovariectomized mice which is an animal model of osteoporosis, thereby having an effect of preventing and treating diseases related to bone formation. Accordingly, the composition containing a mixed extract of Mori fructus and Aralia continentali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pharmaceutical medicine or a functional food for preventing bone metabolism-related diseases such as osteoporosis, osteopenia, osteomalacia, and calcium dysregulation, in other words, hypercalcemia or hypocalcaemia, and alleviating bone function.
Abstract:
PURPOSE: A biomarker composition for diagnosing osteoporosis and evaluating treatment effect is provided to diagnose osteoporosis and to determine treatment effect for a patient with osteoporosis at a molecular level by measuring ubiquitin-associated protein 2 (UBAP2) expression level. CONSTITUTION: A biomarker composition for diagnosing osteoporosis and evaluating treatment effect contains UBAP2 gene. A method for screening a material causing osteoporosis comprises the steps of: treating a subject to be tested with test materials; measuring the expression level or the activation level of UBAP2 in the subject; and selecting a test material by which the expression level or the activation level of UVAP2 is incr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