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서브 프로세서 장치,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 및 이를 구비한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통신부에서 수신된 네트워크 신호의 처리를 위한 프로토콜 스택, 상기 네트워크 신호에 대해 이벤트로 발생시키기 위한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서브프로세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프로세서부는 폴링 기능을 수행하여 특정 이벤트 발생 시에만 메인 프로세서 장치를 동작하게 하여 상기 메인 프로세서 장치가 저전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서브 프로세서 장치,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 및 이를 구비한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본발명은사이드홀시스템에서셀간간섭을제어하기위한하이브리드수신기및 그수신기에서의셀간간섭을제어하기위한방법에관한것으로서, 수신기에서수신된신호의 SIR(Signal to Interference Ratio)을계산하고, 계산된 SIR 값이 0을초과하면 IRC(Interference Rejection Combining) 복호방식을통해자기신호를검출후 SIC(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복호방식을통해자기신호를검출하고, 계산된 SIR 값이 0이하이면 IRC 복호방식을통해자기신호를검출하고,SIC 복호방식을통해간섭신호를검출한후 검출된간섭신호를수신신호에서제거하기위하여최종적으로 SIC 복호방식을통해자기신호를검출하는과정을포함하는것을특징으로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태그를 이용한 단말의 위치 측정 방법 및 그 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제1 단말이 위치가 정해진 태그를 읽어 제1 위치를 측정하고, 센서를 이용해 위치 변경을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변경된 제2 위치를 측정한 후, 제1 단말 또는 제2 단말이 서로 간에 무선 통신을 함에 있어, 통신 전력의 강도를 점진적으로 변경하여, 통신 가능한 최소 전력의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제1 단말 또는 상기 제2 단말이 제2 위치를 기준으로, 해당 최소 전력의 강도에 따른 통신 가능 범위를 고려하여, 제2 단말의 제3 위치를 측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단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removing signal interference in a multiuser MIMO network and provides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effectively removing signal interference by detecting the signal with one detection method among a zero forcing (ZF) method, a minimum mean square error (MMSE) method, a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SIC) method and an ordered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OSIC) method by receiving a data stream pre-coded with a thomilson harashima precoding (THP) or dirty paper coding (DPC), and the relay node of an LT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operated as an amplify and forward (AF) or a decoded and forward (DF) mode. [Reference numerals] (10) Base station;(20) Relay node;(30) User terminal 1;(AA) Data stream;(BB) User terminal 2;(CC) User terminal K
Abstract:
PURPOSE: A portable terminal device supporting a distributed interface is provided to utilize a camera mounted on an external device thereby enabling a high-performance camera mounted on an external device to be used for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without replacing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CONSTITUTION: A hardware abstraction layer module (200) includes an external device hardware abstraction layer module to support access to an external device other than a portable terminal device. An application framework (400) includes an external device management module to manage the external device. An application layer module (500) includes a distributed device control application to enable a user to control external devices. A wireless communications supporting module (600) supports wireless communications such as a wireless modem or Wi-Fi. The external device hardware abstraction layer module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eternal device by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s supporting module. [Reference numerals] (210) External device HAL; (410) External device management module; (510) Disperse device removal application; (600) Wireless modem; (AA) Application 1; (BB) Management module 1; (CC) Management module 2; (DD) Other library module; (EE) Modem API; (FF) Driver HAL; (GG) Existing driver
Abstract:
본 발명은 지그비 시스템에서의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신 장치에서 수신된 신호 처리 시 에러율을 감소시키고, 송신 장치에서 전송할 신호 처리시 전송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그비 시스템에서의 송/수신 장치 및 송/수신 장치에서의 신호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 장치는, 전송할 데이터의 이진 데이터를 데이터 심벌로 매핑시키고, 심벌을 칩 값으로 매핑하고, 칩 코드를 이용해 신호를 전 대역폭으로 확산시킨 후 미리 설정된 복조 방식을 이용하여 변조를 수행하고, 심볼간 간섭을 차단하고 주파수 대역폭을 증가시킨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 수신된 신호에 대해 왜곡을 보상한 후 심볼간 간섭을 차단하고, 주파수 대역폭을 증가시킨 후 상기 미리 설정된 복조 방식을 이용하여 복조를 수행하고, 미리 설정된 확산 요소를 이용하여 확산시킨 후 출력되는 데이터 심벌을 이진 정보로 매핑시켜 바이너리 데이터로 출력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송수신되는 신호의 에러율 및 전송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Abstract:
본 발명은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네트워크의 이종 네트워크(HetNet: Heterogeneous) 환경에서 다중 포인트 협력 통신 기반으로 다양한 스케줄링 및 프리코딩을 적용한 후 성능 분석을 통해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하기 위한 이종 네트워크에서 다중 포인트 협력 통신 기반의 셀간 간섭 제어에 따른 성능 분석 방법에 관한 것으로, CoMP 통신 기술의 CB(Coordinated Beamforming)방식에 다양한 스케줄링 및 프리코딩 기술을 적용하며, 스케줄링 기술로 CS 기법, 프리코딩 기술로 QR, THP, PD, SVD 기법 중 하나의 기법을 적용하고, 이에 대한 성능을 매크로셀만 존재하는 경우 또는 매크로셀의 가장자리에 피코셀이 존재할 경우에 대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이득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