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가변 프레임 길이를 이용한 전송 포맷 판정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복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주파수 오차가 존재하는 경우 PLSC 복호 이전에 파일럿 존재 유무와 프레임당 비트수, 전송 변조 방식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전송된 프레임의 구조별 길이(즉, 길이 차이)를 활용한 상관도 분석을 통하여 전송 프레임의 구조 정보를 획득하여 PLSC 복조 및 복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변 프레임 길이를 이용한 전송 포맷 판정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복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가변 프레임 길이를 이용한 전송 포맷 판정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전송 프레임에 대하여 프레임 동기를 획득하기 위한 프레임 동기 획득 수단; 상기 프레임 동기 획득 수단에서 동기를 획득한 전송 프레임에 대하여 프레임 구조별 프레임 길이를 고려한 상관도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상관도 분석 수단; 및 상기 상관도 분석 수단에서 분석한 상관도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전송 프레임의 구조를 결정하기 위한 전송 프레임 구조 결정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위성 통신 시스템 등에 이용됨. 위성 방송 시스템, DVB-S2, 전송 포맷 판정, 복호, 가변 프레임 길이, 상관도 분석, 전송 프레임 구조 정보
Abstract:
본 발명은 정밀 검색시 근사화된 2차 비선형 함수를 이용하여 반송파 또는 도플러 주파수 오차를 추정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오차를 추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력스펙트럼 밀도 함수의 최대값에 가장 근접하는 순서대로 3개 이상의 이산 샘플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이산 샘플을 이용하여 2차 비선형 함수를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비선형 함수의 극점으로부터 상기 주파수 오차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반송파 및 도플러 주파수 오차를 추정하는데 있어 하드웨어 복잡도 증가없이 주파수 오차를 정확히 추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반송파, 도플러, 주파수 오차, 추정, 2차 비선형 함수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비터비 복호기를 이용한 위상 동기 획득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최적 경로 메트릭값과 다른 경로 메트릭값과의 차이값을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선택한 생존 경로를 통해 위상 추정값을 산출하고 그 이외의 경로에 대해서는 최상위 생존 경로의 위상 추정값을 적용하는, 비터비 복호기를 이용한 위상 동기 획득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비터비 복호기를 이용한 위상 동기 획득 장치에 있어서,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된 수신값과 위상 저장수단에 기 저장되어 있는 위상 추정값을 입력받아 다수의 경로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다수의 경로 중 생존 경로를 선택하거나 탈락시키기 위한 비터비 복호수단;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된 수신값과 상기 위상 저장수단에 기 저장되어 있는 위상 추정값 및 상기 비터비 복호수단에서 선택한 생존 경로의 임시 결정값을 입력받아 오류값을 산출하기 위한 오류 계산수단; 상기 오류 계산수단에서 산출한 오류값과 상기 위상 저장수단에 기 저장되어 있는 위상 추정값을 입력받아 새로운 위상 추정값을 산출하기 위한 위상 업데이트수단; 및 상기 위상 업데이트수단에서 산출한 새로운 위상 추정값을 저장하기 위한 상기 위상 저장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위상 업데이트수단은, 상기 오류 계산수단에서 산출한 오류값과 상기 위상 저장수단에 기 저장되어 있는 위상 추정값을 입력받아 상기 비터비 복호수단에서 선택한 생존 경로의 새로운 위상 추정값을 산출하여 상기 위상 저장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비터비 복호수단에서 선택한 생존 경로 중 가장 최적 경로에 상응하는 생존 경로(최상위 생존 경로)에 대한 새로운 위상 추정값을 상기 비터비 복호수단에서 탈락시킨 경로의 새로운 위상 추정값으로 정하여 상기 위상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위성 접속 시스템 등에 이용됨. 위성 접속 시스템, 비터비 복호기, 위상 동기 획득, 경로 메트릭, 생존 경로, 최적 경로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TDMA 통신 시스템에서의 반송파 및 도플러 주파수 오차 추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잡음이 부가된 신호를 이동평균 필터링하여 지터를 완화시킴으로써, 자기상관기 수의 증가없이 정확한 주파수 오차 추정을 위한, 반송파 및 도플러 주파수 오차 추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버스트 신호로부터 주파수 오차를 추정하는 장치로서, 상기 버스트 신호의 지터(jitter)를 완화시키기 위한 이동평균필터 수단; 필터링된 신호와 켤레 복소수 연산된 파일롯 신호를 곱하기 위한 곱셈 수단; 심볼 지연 및 자기상관 함수를 이용하여 곱셈 연산된 신호로부터 위상 회전량을 계산하기 위한 위상 회전량 계산 수단; 및 스무딩 함수(smoothing function) 곱을 통하여 상기 위상 회전량으로부터 주파수 오차를 추정하기 위한 주파수 오차 추정 수단을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TDMA 통신 시스템에 이용됨. TDMA, 이동평균필터, 자기상관, 주파수 오차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다중레벨 변조 기법을 위한 타이밍 동기루프 제어 장치를 이용한 심볼 타이밍 동기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입력 신호가 다중레벨이고 영점교차 천이가 불규칙적인 고차 변조방식의 특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신호대 잡음비에 따른 타이밍 오차값들의 분산을 줄이고 추적시 정상상태 지터량을 감소시킬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중레벨 변조 기법을 위한 타이밍 동기루프 제어 장치를 이용한 심볼 타이밍 동기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다중레벨 변조 기법을 위한 타이밍 동기루프 제어 장치를 이용한 심볼 타이밍 동기 장치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A/D(Analog/Digital) 변환수단; 상기 A/D 변환수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의 입력 타이밍과 상기 A/D 변환수단의 샘플링 타이밍간의 타이밍 오차를 산출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의 부호변화 및 영점교차를 검출하기 위한 타이밍 오차 검출수단; 상기 타이밍 오차 검출수단의 검출 결과에 따라, 부호 변화시 영점 교차지점에서 상기 타이밍 오차를 출력 제어하고, 부호 변화가 없어 영점 교차지점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타이밍 오차를 이득 조정을 통해 출력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오차 출력 제어수단; 상기 타이밍 오차 출력 제어수단을 통해 제어된 타이밍 오차의 잡음을 제거하고 오차의 평균값을 구하는 필터링 수단; 및 상기 타이밍 오차 검출수단에서 산출된 오차값에 대응하여 위상을 천이시켜 상기 A/D 변환수단의 샘플링 타이밍을 변화시키기 위한 샘플링 타이밍 조정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심볼 타이밍 동기 장치 등에 이용됨.
Abstract:
An apparatus for compensating the imbalance of the phase and the gain between I channel and Q channel by using the variable loop gain in an orthogonal demodulator is provided to prevent the performance deterioration of demodulator due to the imbalance between I channel and Q channel by supplying the function to detect and compensate the imbalance between the I channel and the Q channel. An apparatus for compensating the imbalance of the phase and the gain between I channel and Q channel by using the variable loop gain in an orthogonal demodulator includes a phase imbalance detection unit and a phase imbalance compensation unit. The phase imbalance detection unit calculates the phase error signal by multiplying the reference channel by the target channel and detects the phase imbalance between the reference channel and the target channel by using the phase error signal and the selected variable loop gain according to the average value of the phase error signal. The phase imbalance compensation unit removes the phase imbalance of the target channel based on multiplying the phase imbalance value detected by the phase imbalance detection unit and the reference channel.
Abstract:
본발명에서는 TDM/TDMA 형태의위성전송및 접속시스템에서데이터패킷수신시 프리엠블과포스트엠블을이용하여초기위상의시작지점과종료지점을계산하고, 파일럿심볼을이용하여초기위상의포워드매트릭및 백워드매트릭연산을수행하여간단히위상오차를계산함으로서위상잡음에강인하게하여위성통신/방송시스템에서위상잡음으로인한성능열화를개선시킬수 있다. 또한, 개선된위상오차계산으로위상잡음을줄여수신단에서신호를보다간단히복원할수 있다.
Abstract:
PURPOSE: An iterative detection and decoding method and an apparatus thereof are provided to reduce a required operation amount for detecting a reception signal and to reduce an output latency time. CONSTITUTION: An update control unit(110) determines a predetermined group to be updated in a first soft decision sequence and transmits detection control information in a determined group. A detecting unit(120) performs an independent detection operation about each extracted reception signal group. A deinterleaver(130) performs deinterleaving about a second soft decision sequence. A decoding unit(140) generates a third soft decision sequence by decoding using a predetermined decoding algorithm in the second soft decision sequence which performs deinterleaving. A repetition control unit(150) controls whether detection and decoding are repetitive by determining whether the number of iterative detections satisfies the predetermined number. An interleaver(160) performs interleaving for the third soft decision sequence. A hard decision unit(170) calculates a hard decision value about a final soft decision sequence transmitted from the repetition control unit. [Reference numerals] (110) Update control unit; (111) Dividing unit; (113) Determining unit; (115) Transmitting unit; (120) Detecting unit; (121) Reception signal extracting unit; (123) Partial update unit; (124) Soft determination value calculation unit; (125) Update unit; (130) Deinterleaver; (140) Decoding unit; (150) Repetition control unit; (160) Interleaver; (170) Hard decision unit; (AA) Reception sig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