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전기화학반응에 대한 내구성을 높이고 전극 슬러리 제조가 용이한 고체 알칼리 연료전지용 음이온 바인더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A)양이온기를 가지는 4가 암모늄염의 전해질 모노머, 3차 아민작용기를 가지는 비스아크릴아미드계 가교제, 및 물을 혼합교반하는 단계; (B)상기 혼합물에 광개시제를 혼합하는 단계; (C)상기 용액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사이에 넣어 자외선을 조사하여 가교중합하는 단계; 및 (D)가교중합이 완료된 수지를 나노크기로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체 알칼리 연료전지용 음이온 바인더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ly conductive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filled with crosslinked polymer electrolytes for an alkali fuel cell and a nov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nion-conducting composite membrane filled with crosslinked polymer electrolytes, comprising the steps of: (A) mixing and churning (vinylbenzyl)trimethylammonium chloride, 1,3,5-triacryloylhexahydro-1,3,5-triazine, and a solvent, which is made by mixing deionized water and dimethylformamide in a weight ratio of 1:1, in a weight ratio of 60-75 : 5-16 : 20-25; (B) mixing 0.5 to 2 parts by weight of a photoinitiator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ed solution; (C) permeating a porous support with monomer solution by impregnating the support with the solution; (D) crosslinking an electrolyte-impregnated membrane by inserting the electrolyte-impregnated membrane in a polyethylelenterephthalate (PET) film and irradiating the electrolyte-impregnated membrane with ultraviolet rays at an intensity of 30 to 150 mJ/cm^2; and (E) removing the PET film, removing byproduct on the surface of the membrane and washing the membrane after the crosslinking step. The anion-conducting composite membrane filled with crosslinked polymer electrolyt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idely in the industrial field of fuel cells including solid alkali fuel cells as the composite membrane has excellent hydroxide ion conductivity.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efficiently managing fuel cell system for a vehicle. More particularly, the prev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efficiently managing fuel cell system for a vehicle which optimally can maintain a driving method based on product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The apparatus for efficiently managing fuel cell system for vehicle includes an information input step (S10); a control method determination step (S20) for determining the control method of the fuel cell system (40) for a vehicle for improving driving efficiency; and a control step (S30). [Reference numerals] (AA) Start; (BB) End; (S10) Information input; (S20) Control method determination; (S30) Control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용 촉매는 15 중량% 이상의 전극촉매용 활성금속이 담지된 매그넬리상 타이타늄 산화물( ) 지지체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으며, 우수한 전기전도도를 가지며, 부식 저항성이 높고, 연장된 촉매 수명을 가지며, 기체 확산 저항이 낮은 특징이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교육용 연료전지 발전 시연 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소의 발생 원리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각종 교육 및 전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연료전지 및 수전해조를 이용한 교육용 연료전지 발전 시연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이 교육용 연료전지 발전 시연 키트는, 물 저장조; 상기 물 저장조로부터 공급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 가스를 생성하는 연료 공급부; 생성된 수소 가스를 저장하며 상기 물 저장조와 개방된 연결관으로 연결되는 수소 저장조; 상기 수소 저장조로부터 수소 가스를 공급받아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연료전지; 및 상기 연료전지로부터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작동기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 저장조와 수소 저장조를 구비시킴으로써 외부 전원을 수전해 장치인 연료 공급부에 지속적으로 공급하지 않아도 되므로 연료 전지의 원리를 명확하게 설명하는 것이 가능하다.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 스택의 전압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고정수단이 기판을 관통하여 분리판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간단한 방법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연료전지 스택의 개별 전압을 측정할 수 있는 연료전지 스택의 전압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수소이온전도성 멤브레인을 사용하는 연료전지의 막전극 접합체(membrane-electrode-assembly; MEA)의 개선된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연료전지 MEA에 관한 것으로, 상기한 본 발명의 연료전지 MEA의 제조 방법은 수소이온전도성 폴리머를 멤브레인으로 사용하는 연료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a) 촉매, 수소이온전도성 폴리머, 및 상기 촉매 입자 및 상기 수소이온전도성 폴리머를 분산 또는 용해할 수 있는 용매 시스템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촉매 슬러리는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촉매 슬러리를 연속 코터(Coater)를 사용하여 나이프(Knife) 방식에 의하여 고분자 기재 위에 롤 상태로 코팅을 하는 단계: 및 c) 상기 촉매가 코팅된 기재의 촉매층과 롤 상태의 멤브레인이 접하도록 한 후 프레스를 통하여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촉매층을 상기 멤브레인 상으로 전사시켜 전극을 제조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수소이온전도성 멤브레인을 사용하는 연료전지 MEA의 제조 방법은 기재 위에 코팅된 촉매 필름을 롤 프레스를 사용하여 수소이온전도성 멤브레인에 연속적으로 전사시키는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연료전지 MEA를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게 하여 연료전지 MEA의 양산화를 가능하게 하고, 나아가 이들의 생산설비의 자동화를 가능하게 하는 유익한 작용효과를 갖는 것이다. 데칼공정, 수소이온전도성, 멤브레인, 연료전지, 롤 프레스, M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