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착용자의 머리에 착탈가능하게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착용자의 두뇌피질부 영역에 대응되게 결합되어 상기 두뇌피질부 영역으로 자기자극을 인가하는 자기자극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며 착용자의 귀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착용자의 뇌로 청음자극을 인가하는 청음자극부와; 상기 자기자극부로 인가하는 자기자극과 상기 청음자극부로 인가하는 청음자극이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신경전달물질 분비를 담당하는 목표위치로 시간적으로 가중되어 인가되도록 상기 자기자극부와 상기 청음자극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bstract:
PURPOSE: A waste battery disassembling apparatus comprising a lead smelting device for lead extracted from waste battery is provided to automate the whole process, including a lead refining process, for obtaining lead and paste through decomposition of waste batteries. CONSTITUTION: A waste battery disassembling apparatus comprises a waste acid extracting part, a grinding part, a screen part, a first separation part, a second separation part, a neutralizing part, and a smelting part. The waste acid extracting part cuts the bottom surface of a waste battery and discharges waste acid from the battery. The grinding part grinds the waste battery without waste acid into pieces. The screen part separates the grinded waste battery material into paste and the other grinded materials through a filter net. In the first separation part, the paste passing through the screen part is extracted by the specific gravity difference from the water. In the second separation part, the other grinded materials passing through the screen part are transferred and PP and lead are extracted by the specific gravity difference from the water. The neutralizing part neutralizes the paste extracted through the first separation part. The smelting part smelts the paste neutralized through the neutralizing part and the lead extracted through the first separation part. The smelting part includes a smelting device, which comprises a mixing part(210), a melting part(220), and a refining part(230).
Abstract:
본 발명은 혐기 처리조와 호기 처리조를 다수 분활하여 구성하고, 오존을 이용하여 병원성 세균을 비롯한 잡균을 살균한 후 혐기 처리조에서 유용미생물을 공급하여 축산 분뇨를 분해하여 메탄가스를 수거한 후 다시 호기 처리조에서 재 분해시켜 악취를 제거함은 물론 유용미생물이 함유된 액비를 얻을 수 있게 한 축산 분뇨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분뇨로부터 돌이나 모래 등을 침전시켜 배출시키는 1차침전조와 ; 산소가 공급되지 않는 혐기 처리조로서, 오존공급기에 의해 공급된 오존에 의해 그 내부의 분뇨 중 유해 미생물을 살균한 후, 후속하는 처리조에 공급하는 유량조절조와 ; 혐기 처리조로서 분뇨 중의 유해 혐기성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미생물 배양기로부터 공급된 혐기성 유용미생물에 의해 분뇨를 분해하는 무산소조와 ; 외기의 흡입이 가능한 호기성 처리조로서 그 일측에 설치된 미생물 배양기로부터 공급된 호기성 유용미생물에 의해 분뇨를 분해하는 미생물조와 ; 상기 각 처리조들에 의해 분해된 분뇨로부터 찌꺼기를 걸러내기 위한 2차침전조 및 ; 상기 2차침전조에 의해 슬러지가 침전된 분뇨가 방류되는 방류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혐기, 호기, 액비, 축산 분뇨, 폐각층
Abstract:
본 고안은 유용미생물 배양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분에 의해 부식되지 않으므로 내구성이 강하고 온도조절은 물론 순환 기능을 갖으며, 미생물이 번식하기에 용이한 기압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배양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유용미생물 배양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소정의 배양액 수용공간을 갖고, 그 일측에 밀폐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바닥면을 관통하여 배양액 배출관이 설치된 배양탱크와 ; 상기 배양탱크의 내부 일측에 설치된 전열기와 ; 상기 배양탱크의 중단과 상기 배출관의 중단에 설치된 3방향밸브 사이에 연결된 관의 중단에 설치되어 배양탱크 내부의 배양액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와 ; 상기 배양탱크의 일측에 설치되어 배양탱크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 및 ; 상기 각 전기, 전자 기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bstract:
본 고안은 주조명등외에 보조조명 등을 구비하여 주조명등이 고장이나 수명을 다하여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 현장에서 곧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 조명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카메라 케이스로 전도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관로 탐색용 자주차의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 케이스(46)의 좌우양측에 보조조명등(32a)(32b)을 설치하고, 그 주조명등(30)으로 공급되는 주전력 공급라인(34)과 별도의 보조전력공급라인(36)을 형성하여 보조조명등 스위치(38)와 함께 상기 보조조명등(32a)(32b)에 접속하여 개폐회로를 구성하는 한편, 조명등 케이스(40)의 상면에 형성된 단열판 삽입홈(42)에 단열판(44)을 설치하여 상기 주조명등(30)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카메라 케이스(46)로 전도되려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로 또는 사람이 출입할 수 없는 좁은 곳이나 유독가스가 있을 가능성 있는 위험한 곳에서 그 내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무인 원격조정이 가능한 카메라 탑재 자주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진입된 관로의 환경에 따라 자주차의 차고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갖은 자주차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관로에는 하수가 흐르거나 지반의 변화로 인하여 찌그러지거나 하여 자주차가 주행하기에 여러 가지 장해 요인이 산제함으로서 자주차가 원활히 관로를 주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관로의 장해요인을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자주차의 차고를 높여줌으로서 장해물을 넘어가거나 하수의 수심이 자주차의 주행을 방해하는 경우 차체가 물에 잠기지 않도록 하며, 관로의 상측이 찌그러져서 자주차의 상부가 걸리는 경우 차고를 낮추어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과 예기치 못한 고장으로 인하한 회수가 불가한 경우 용이하게 회수가 가능한 기능을 부여한 관로조사용 카메라 탑재 자주차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절연된 상태로 설치되는 내측 고정형 통전링과 외측 회전형 통전링의 사이에 수은을 위치시킴으로써 윈치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는 전선 케이블과 고정된 상태로 있는 전선다발간에 전력이나 전기적인 신호를 주고 받을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고, 이때에 발생할 수 있는 채터링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관로 탐색용 자주차의 전력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지체(30)(31)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는 중공파이프(40)의 안쪽을 통하는 고정측 전선다발(50)로부터 인출된 여러 가닥의 고정측 전선가닥(52)을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인출하기 위한 다수개의 전선인출공(42)을 그 중공파이프(40)의 외주면 상측에서 축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고, 그 전선인출공(42)을 통해 인출된 각각의 고정측 전선가닥(52)에 접속되는 내측 고정형 통전링(60)을 상기 중공파이프(40)의 외주면에서 축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며, 상기 내측 고정형 통전링(60)을 기밀하게 수용하도록 서로 대합되면서 이루는 수은수납부(72)를 가지는 회전절연체(70)를 상기 중공파이프(40)의 외주면에서 축방향을 따라 적층배열하여 그 둘레에서는 전선 케이블(80)이 권취되도록 하는 한편,그 회전절연체(70)의 양단에 위치되는 엔드 플레이트(90)(91)와 고정수단(100)에 의해 그 회전절연체(70)의 양단을 압박하도록 설치하고, 그 엔드 플레이트(90)(91)를 베어링(110)(112)을 통해 상기 중공파이프(40)에서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하며, 상기 전선 케이블(80)로부터 인출된 여러가닥의 가동측 전선가닥(82)을 상기 수은수납부(72)로 인입시키는 전선삽입홀(74)을 상기 회전절연체(70)의 원주면에 형성하고, 상기 가동측 전� �가닥(82)과 접속되고 상기 내측 고정형 통전링(60)과 간격을 이루는 외측 회전형 통전링(120)을 상기 각 수은수납부(72)의 내주면에 설치하여 이 수은수납부(72)의 바닥에 잔류하는 수은(130)에 의해 내측 고정형 통전링(60)과 외측 회전형 통전링(120)이 통전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