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PURPOSE: A composition for a three dimensional matrix containing collagen 4, laminin, nidogen, and proteoglycan is provided to study cancer mechanism or treatment. CONSTITUTION: A composition for a three dimensional matrix contains each 0.001-30wt% of collagen IV, liminin, nidogen, and proteoglycan in a proportion. The three dimensional matrix includes a matrix for suppressing cell division or cell dedifferentiation. The cell is human pigmentary skin cells. The three dimensional matrix is prepared using the composition.
Abstract:
PURPOSE: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Phyllanthus urinari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is provided to promote collagen synthesis and to suppress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 and cyclooxygenase-2 synthesis. CONSTITUTION: A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aging, anti-oxidation, and anti-wrinkle contains 0.001-10 weight% of Phyllanthus urinari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The extract is obtained using ethanol, methanol, butanol, ether, etheracetate, or chloroform. The cosmetic composition is used in the form of skin softener, astringent, nutrition lotion, nutrition cream, massage cream, essence, eye cream, eye essence, cleansing cream, cleansing foam, cleansing water, pack, powder, body lotion, body cream, body oil or body essence.
Abstract:
본 발명은 노화된 피부에서 많이 생성되는 피부 부착단백질의 분해 산물들이 피부세포에서 콜라겐 분해 효소인 메탈로프로티아제(metalloprotease)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사실로부터 부착단백질의 분해 억제를 통해 메탈로프로티아제의 발현을 막을 수 있는 카텝신 G 저해제를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및 상기 카텝신 G 저해제, 즉 항노화 물질을 개발하기 위한 스크리닝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피부세포의 부착력 증가 및 부착 단백질의 분해억제를 통해 메탈로프로티아제의 발현과 활성을 막아 피부노화 방지, 피부 주름살 증가 억제, 탄력성 증가 및 피부 처짐 방지 개선물질 개발을 할 수 있는 새로운 스크리닝 방법의 개발에 관한 것이다. 부착단백질*파이브로넥틴*카텝신 G*주름개선*탄력개선*피부처짐*피부노화
Abstract:
A cosmetic composition is provided to improve the skin winkle without the side effect by producing procollagen and by inhibiting MMP-1.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s 0.001-10 wt% of a biflavonoid derivative as an active ingredient. Preferably the biflavonoid derivative is extracted from Selaginella tamariscina, Ginkgo biloba, Cephalotaxus koreana, Nandina domestica, and Lonicera japonica. Preferably the biflavonoid derivative is represented by the formulas 1 to 7.
Abstract:
본 발명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프럭토스 1,6-디포스페이트(D-fructose 1,6-diphosphate)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미백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세포를 이용한 실험 결과 프럭토스 1,6-디포스페이트가 자외선에 의한 글루타치온 생성감소를 억제하였고, 멜라닌 색소의 합성양을 감소시켰으며 동시에 자외선에 의한 세포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증가를 방지하는 효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동물시험을 수행한 결과 프럭토스 1,6-디포스페이트가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색소침착을 개선하는 효과를 확인하였고, 인체시험에서 자외선에 의한 색소침착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프럭토스 1,6-디포스페이트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을 줄이고, 자외선이나 염증에 의한 색소 침착을 차단할 수 있다. 프럭토스 1,6-디포스페이트, 미백제,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바륨염, 마그네슘염, 트리사이클로 헥실아민염
Abstract:
본 발명은 콜레스테릴 헤미숙시네이트가 도입된 지질-기반 나노전달체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콜레스테릴 헤미숙시네이트 또는 그의 염을 사용하여 제조한 리포좀 또는 나노에멀젼으로서, 산성도 변화에 대한 민감한 감응성을 지님으로써, 내상에 함입되는 생리활성성분을 세포내에서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어 전달체로서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지질-기반 나노전달체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나노전달체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생리활성성분의 효능을 최대한으로 살릴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