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公开(公告)号:KR1019960016255A
公开(公告)日:1996-05-22
申请号:KR1019940027027
申请日:1994-10-21
IPC: H04L12/28
Abstract: 본 발명은 셀 손실 우선순위를 이용한 셀 간격 조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셀 손실 우선순위(CLP)비트를 이용하여 CLP=0 및 CLP=0+1의 셀흐름 각각이 인접한 셀간격에서 협약된 간격을 유지하도록 전송 형태를 변경할 수 있는 셀 손셀 우선순위를 이용한 셀 간격 조정 방법을 제공하기 의하여, 예상 출발 시간을 CLP=0+1 셀의 최근 도착 시간에 CLP=0+1의 최대 전송 속도의 간격을 합하여 구한 후에 CLP=0 또는 CLP=1인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31,32,33); CLP=1이면 최근 도착 시간으로 CLP=0+1 셀의 예상 출발 시간과 셀 전송 시간중 큰값을 등록하는 제2단계(34); CLP=0이면 CLP=0에 대한 예상 출발 시간을 CLP=0 셀의 최근 도착 시간에 CLP=0의 최대 전송 속도의 간격을 합하여 구한 후에 CLP=0 셀의 최근 도착 시간과 CLP=0+1 셀의 최근 도착 시간으로 CLP=0 셀의 예상 출발 시간, CLP=0+1 셀의 최근 도착 시간 및 셀 전송 시간중 가장 큰값을 등록하는 제3단계(37,38); 및 셀을 삽입하기 위한 슬롯큐(SQ)(23)의 타임 스케듈러(TS)(26)에서의 위치를 계산하고 종료하는 제4단계(35,36)를 포함하여 군집성 셀에 의한 망스위치의 폭주를 예방하게 되며, 다음에 발생할 수 있는 셀지연변이에 대해서도 협상된 트래픽 파라메타를 준수하는 셀로 판정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
-
-
-
公开(公告)号:KR100976439B1
公开(公告)日:2010-08-18
申请号:KR1020080016139
申请日:2008-02-22
Applicant: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센서망에서의 이동 노드의 위치 추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TWR(Two-Way Ranging) 및 SDS-TWR(Symmetric Double Sided - TWR) 방식에 따라 TOF(Time of Flight)를 추정하는 종래 방법과는 달리, 무선 센서망에서 유선 케이블을 통한 망동기 클럭 공급 장치와 같은 별도의 동기화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노드간의 주파수 오차를 추정하고, 이동노드의 신호가 두 고정노드에 수신된 시각의 차이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추정된 수신 시각 차이는 직접적으로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알고리즘에 적용되어 이동 노드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는 것이다.
무선 센서망(Wireless Sensor Networks), 고정 노드(Base Node), 이동 노드(Mobile Node)-
公开(公告)号:KR100597592B1
公开(公告)日:2006-07-06
申请号:KR1020050047222
申请日:2005-06-02
Applicant: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C: B07C3/18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기능 카드를 이용한 순로 구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기능 카드를 이용하여 우편물의 순로를 구분함으로써 순로 구분 작업 시간을 최소화하고, 작업자의 실수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능 카드를 이용한 순로 구분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순로 구분 장치에 있어서, 우편물과 함께 투입되는 기능 카드를 판독하기 위한 기능 카드 판독 수단; 상기 기능 카드와 순로 구분 계획과의 매칭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연결 정보 저장 수단; 순로 구분 계획을 저장하기 위한 순로 구분 계획 저장 수단; 상기 기능 카드 판독 수단의 기능 카드 판독 결과 및 상기 연결 정보 저장 수단의 매칭 정보에 따라 상기 순로 구분 계획 저장 수단으로부터 해당하는 순로 구분 계획을 추출하기 위한 순로 구분 계획 제어 수단; 상기 투입되는 우편물을 구분하기 위한 우편물 구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우편물 구분 정보 획득 수단; 및 상기 순로 구분 계획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순로 구분 계획 및 상기 우편물 구분 정보 획득 수단으로부터의 우편물 구분 정보에 따라 상기 투입된 우편물을 해당하는 구분칸으로 할당하기 위한 구분칸 할당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우편물의 순로 구분 분야 등에 이용됨.
기능 카드, 순로 구분, 순로 구분 계획, 구분칸, 주소 판독, 순로 구분 장치-
公开(公告)号:KR100576549B1
公开(公告)日:2006-05-03
申请号:KR1020040068312
申请日:2004-08-28
Applicant: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한글 주소 문자열의 고속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한글 주소를 전산화하기 위한 수작업 입력 과정에서 사용자가 입력할 데이터를 모두 입력하는 종래의 방식에서 벗어나, 입력하려는 한글 주소를 상위 주소와 하위 주소로 구분하고 한글의 특징을 이용한 자음과 몇 개의 숫자를 통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키입력 횟수를 최소화하여 한글 주소를 고속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글 주소 문자열의 고속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한글 주소 문자열의 고속 입력 방법에 있어서, 주소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주소 영상에 상위 주소 입력창 및 하위 주소 입력창을 부가하여 상위 주소와 하위 주소를 입력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한 상위 주소 입력창을 통하여 상위 주소를 입력받는 상위 주소 입력 단계; 상기 출력한 하위 주소 입력창을 통하여 하위 주소를 입력받는 하위 주소 입력 단계; 상기 입력받은 상위 주소와 하위 주소를 병합하여 하나의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병합한 주소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한글 주소 문자열의 고속 입력 시스템 등에 이용됨.
한글 주소, 고속 입력, 상위 주소 입력, 하위 주소 입력, 주소 병합, 한글 초성자음-
公开(公告)号:KR100540173B1
公开(公告)日:2006-01-10
申请号:KR1020030071032
申请日:2003-10-13
Applicant: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C: G06K9/00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주소기입형식 구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다수의 문자열로 구성된 무제약 주소 영상이 주어질 때 인쇄체 주소 영상인지 또는 필기체 주소 영상인지를 구분할 수 있는 주소기입형식 구분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주소 인식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주소기입형식 구분 장치에 적용되는 주소기입형식 구분 방법에 있어서, 영상 입력기로부터 획득된 영상에 존재하는 명도 레벨의 주소 영상을 이진 주소 영상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이진 주소 영상에서 방향 연결성을 갖는 연결요소를 추출하여, 상기 연결요소에서 잡영으로 추정되는 연결요소를 제거하고, 잡영이 제거되고 남아있는 연결요소 중에서 최상위 문자열에 속하는 연결요소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최상위 문자열에 속하는 연결요소를 문자단위로 병합하여, 문자단위로 병합된 연결요소의 최소인접사각형으로부터 분류를 위한 특징을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폭 크기 및 위치 특징 벡터를 입력으로 받는 다층 신경망을 사용하여 주소 영상의 기입형식을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주소 인식 시스템 등에 이용됨.
주소기입형식, 연결요소, 최상위 문자열, 주소 영상, 인쇄체 영상, 필기체 영상-
公开(公告)号:KR1020050062356A
公开(公告)日:2005-06-23
申请号:KR1020040068312
申请日:2004-08-28
Applicant: 한국전자통신연구원
CPC classification number: G06F3/0233 , G06F3/018 , G06F17/3064 , G06Q50/32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한글 주소 문자열의 고속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한글 주소를 전산화하기 위한 수작업 입력 과정에서 사용자가 입력할 데이터를 모두 입력하는 종래의 방식에서 벗어나, 입력하려는 한글 주소를 상위 주소와 하위 주소로 구분하고 한글의 특징을 이용한 자음과 몇 개의 숫자를 통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키입력 횟수를 최소화하여 한글 주소를 고속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글 주소 문자열의 고속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한글 주소 문자열의 고속 입력 방법에 있어서, 주소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주소 영상에 상위 주소 입력창 및 하위 주소 입력창을 부가하여 상위 주소와 하위 주소를 입력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한 상위 주소 입력창을 통하여 상위 주소를 입력받는 상위 주소 입력 단계; 상기 출력한 하위 주소 입력창을 통하여 하위 주소를 입력받는 하위 주소 입력 단계; 상기 입력받은 상위 주소와 하위 주소를 병합하여 하나의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병합한 주소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한글 주소 문자열의 고속 입력 시스템 등에 이용됨.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