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탄의 직접 전환을 이용한 올레핀 제조 반응 장치 및 제조 공정

    公开(公告)号:WO2023068909A1

    公开(公告)日:2023-04-27

    申请号:PCT/KR2022/016268

    申请日:2022-10-24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급된 탄화수소 피드로부터 메탄 피드와 경질 탄화수소 피드를 분리하는 피드 분리부; 상기 피드 분리부로부터 상기 경질 탄화수소 피드를 공급받아 에탄 크래킹 공정을 수행하여 올레핀 생성물을 제조하는 에탄 크래킹부; 상기 피드 분리부로부터 상기 메탄 피드를 공급받아 플라즈마 반응을 통해 포화 탄화수소 피드 및 불포화 탄화수소 피드를 생성하는 유전체 장벽 반응부; 및 상기 불포화 탄화수소 피드 중 적어도 일부를 수소화하여 올레핀 생성물을 제조하는 수소화부를 포함하는, 올레핀 제조 반응 장치가 제공된다.

    SSD의 랜섬웨어 감지 방법 및 컨트롤러

    公开(公告)号:WO2022215783A1

    公开(公告)日:2022-10-13

    申请号:PCT/KR2021/004614

    申请日:2021-04-13

    Abstract: 포그라운드(foreground) 입출력의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랜섬웨어 감지 방법 및 SSD 컨트롤러가 개시된다. 개시된 SSD의 랜섬웨어 감지 방법은 제1덮어쓰기가 요청된 파일에 대한 랜섬웨어 감지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랜섬웨어 감지의 수행중에,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선점 지점에서 I/O 요청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서, 상기 I/O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인공 지능 기반의 빔 관리 방법 및 이에 대한 장치

    公开(公告)号:WO2021112592A1

    公开(公告)日:2021-06-10

    申请号:PCT/KR2020/017558

    申请日:2020-12-03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빔 관리(beam management)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빔 관리와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단계; 단말(USER EQUIPMENT, UE)로, 상기 빔 관리와 관련된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빔 관리를 위한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기준 신호에 기반하여 산출된 빔 관련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빔 관련 보고에 기반하여 인공 신경망 학습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신경망 학습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빔 관리와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빔 관리와 관련된 파라미터들은 i)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 및 ii) 상기 단말의 이동 경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는 천정각 및 방위각으로 표현된다.

    반도체 수동소자 기반의 멀티플렉싱 신호 처리 장치

    公开(公告)号:WO2020153648A1

    公开(公告)日:2020-07-30

    申请号:PCT/KR2020/000659

    申请日:2020-01-14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 소자 기반의 멀티플렉싱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한 것으로, 복수의 입력 신호를 각각 처리하는 복수의 신호 변환부가 N개(N은 자연수)의 행 및 M개(M은 자연수)의 열로 이루어진 행렬 배열에 따라 배치되어, N개의 행단위 출력단자에 각각 접속되는 N 개의 신호 변환부 블록 및 M개의 열단위 출력단자에 각각 접속되는 M개의 신호 변환부 블록을 포함한다. 신호 변환부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신호 노드에 입력단자가 접속된 제 1 다이오드; 상기 입력 신호 노드에 입력단자가 접속된 제 2 다이오드; 및 상기 입력 신호 노드에 접속된 접지 저항; 을 각각 포함하는 것이고, 동일 행에 배치된 각 신호 변환부의 제 1 다이오드의 출력단자는 각각 상기 행단위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동일 열에 배치된 각 신호 변환부의 제 2 다이오드의 출력단자는 각각 상기 열단위 출력단자에 접속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어레이 기반으로 기지국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公开(公告)号:WO2020111597A1

    公开(公告)日:2020-06-04

    申请号:PCT/KR2019/015511

    申请日:2019-11-14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어레이 기반으로 기지국이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은 (i) 복수의 단말들의 위치와 (ii) 상기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생성된 빔의 영점들(null points)의 위치를 고려하여 다중 랭크 빔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다중 랭크 빔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들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 어레이는 전방향 대칭성(omnidirectional symmetry)을 갖는 3차원 형상(three dimensional shape)기반하며, 상기 영점들의 위치와 상기 복수의 단말들의 위치는 상기 안테나 어레이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는 극좌표계(polar coordinate system)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전기삼투펌프를 이용한 세포간액을 미세투석하는 세포간액 미세투석장치 및 그 작동 방법

    公开(公告)号:WO2019054727A1

    公开(公告)日:2019-03-21

    申请号:PCT/KR2018/010634

    申请日:2018-09-11

    Inventor: 신운섭 김석준

    Abstract: 전기삼투펌프(electroosmotic-pump) 기반의 세포간액 미세투석 장치를 제공하며, 본 장치는 멤브레인(membrane) 양측에 구비된 제1 및 제2 전극과 유체경로부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전극에 전압의 극성이 교번하여 공급됨에 따라 흡입력과 배출력을 교번하여 발생시키는 전기삼투펌프; 전기삼투펌프의 유체경로부에 일단부가 체결되어 관류액(perfusion fluid)에 흡입력과 배출력을 교번하여 전달하는 제1 이송라인 및 제2 이송라인; 관류액을 저장하며, 제1 이송라인의 타단부에 삽입 결합된 배출로를 따라 관류액을 배출하는 레저버(reservoir); 일단부가 대상체에 주입되어 세포간액을 미세투석하며, 제2 이송라인의 타단부에 삽입 결합되어 관류액을 인입하는 인입로와, 미세투석 후의 관류액을 배출하는 배출로를 포함하는 MD 프로브(micro-dialysis probe); 및 일 측면으로 MD 프로브의 배출로가 삽입 결합되어 배출로를 통해 미세투석 후의 관류액을 인입하고, 미세투석 후의 관류액으로부터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전기삼투펌프 기반의 세포간액 미세투석 장치를 제공한다.

Patent Agency Ran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