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명세서에는 알파인 웜우드( Artemisia umbelliformis )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신규한 용도가 개시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은 알파인 웜우드( Artemisia umbelliformis )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모낭 세포의 증식 또는 모발의 성장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러한 효과로 인해 본 명세서의 알파인 웜우드( Artemisia umbelliformis ) 추출물은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알피나 골무꽃( Scutellaria alpina )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신규한 용도가 개시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은 알피나 골무꽃( Scutellaria alpina )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모낭 세포의 증식 또는 모발의 성장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러한 효과로 인해 본 명세서의 알피나 골무꽃( Scutellaria alpina ) 추출물은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산형화(Masterwort )(Peucedanum Ostruthium )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은 산형화(Masterwort )(Peucedanum Ostruthium )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멜라닌 생성 감소, 또는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러한 효과로 인해 본 명세서의 산형화(Masterwort )(Peucedanum Ostruthium ) 추출물은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그러므로 미백용 조성물로서 약학 또는 화장료 분야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캐드헤린11(Cadherin 11) 및 N-캐드헤린(N-cadherin) 중 하나 이상의 발현 억제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 키트를 제공함으로써 피부 과색소침착증을 개선할 수 있으며, 피부 미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섬유아세포, 각질형성세포 및 멜라닌 생성세포 중 2종 이상의 공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 물질 스크리닝 시스템, 및 상기 피부 개선 물질 스크리닝 시스템의 공배양물에 후보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및 캐드헤린11 및 N-캐드헤린 중 하나 이상의 발현 변화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피부 개선 물질을 효과적으로 스크리닝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 피부 진피로부터 유래한 성체 줄기세포 및 그의 분리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간 피부 진피 유래 성체 줄기세포에서 분화된 골아세포 또는 지방세포 및 그의 분화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줄기세포, 골아세포 또는 지방세포를 포함하는 골 생성용 또는 지방생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분리방법은 피부 진피 유래 성체 줄기세포를 쉽고 간단하며, 고수득율로 확보할 수 있게 하고, 상기 방법으로 분리된 피부 진피 유래 성체 줄기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유전자 및 성장 인자를 추후 분리 및 동정하여 이용할 수 있다.
Abstract:
Disclosed is a biomarker having the amount of gene expression be specifically increased or reduced for sensitive skin. The biomarker specific to sensitive skin is used in such a diagnostic kit for sensitive skin and a screening method of an abirritant. The biomarker for diagnosis of sensitive sk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gene selected from a group composed of HLA-C, TCEA1, IGHA1, TFRC, S100A8, LOC652128, SERPINB13, EHF, FLJ10781, TP63, CDH1, TNFRSF19, GM2A, FKBP5, PI3, PSPH, HORMAD1, SPRR2G, and ACTR2 or a group composed of KBTBD10, TTN, ACTA1, MYBPC1, MB, MYOZ1, TPM1, CA3, CASQ1, ENO3, RBP4, GYG2, PPP1R1A, PYGM, G0S2, NEB, H19, LIPE, PLIN, H19, GPAM, FABP4, CIDEC, LPL, PCK1, ADIPOQ, PDE3B, ACVR1C, LPL, FABP4, DKFZP761N09121, TNMD, ATP6V1B1, C8orf22, and CRISP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