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발명의고분자-탄소화합물복합재료는그래핀과같은탄소화합물의표면을개질하고기능화함으로써탄소화합물의용해도와분산력을개선함과동시에표면에결합되는작용기의종류에따라목적하는용도에따라다양한기능을부여할수 있다. 또한, 상기기능화된탄소화합물을고분자수지가포함된매트릭스에균일하게분산되도록충진시킴으로써, 종래단순탄소화합물을고분자매트릭스에충진할 경우탄소화합물의분산이이루어지지않아복합재료의기계적특성이저하된다는문제를방지하고기계적강도와전기전도성을극대화시킬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탈수소고리화 반응을 이용한 탄소재료의 후처리 방법, 이를 통하여 후처리 된 탄소재료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복합재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으로 제조되는 탄소재료의 결함(defect)을 치유하기 위하여, 탄소재료를 상온에서 탈수소고리화 반응시킴으로써 탄소재료의 구조적 결함을 치유함과 동시에, 탄소재료의 유효 공액사장(effective conjugated length)을 증대시켜 전기전도성의 향상을 가져오는 탈수소고리화 반응을 이용한 탄소재료의 후처리 방법, 이를 통하여 후처리 된 탄소재료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복합재료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t-treatment method of carbon nanotube fibers, and more specifically, to a post-treatment method of carbon nanotube fibers, wherein the method can allow the production of the carbon nanotube fibers with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by making an aromatic compound in which two amine groups are substituted or an aromatic compound in which one amine group and one halogen are substituted react with carbon nanotubes composing the carbon nanotube fibers.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아크릴로니트릴-탄소나노튜브 복합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화된 탄소나노튜브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유기화된 탄소나노튜브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전구체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열처리 하에서 상기 전구체 조성물을 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탄소나노튜브 복합재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한 복합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할로겐기 함유 유기화합물로 유기화된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함에 따라, 용매에 대한 탄소나노튜브의 분산성, 및 탄소나노튜브와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또는 중합체와의 상용성(계면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구체 조성물에 대한 산화 과정에서 발열량 및 발열 최고온도를 낮출 수 있어, 안정화 반응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Abstract:
PURPOSE: A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e material is provided not to require separate pre-process for improving dispersity of carbon material, and to use a carbon based precursor with low cost. CONSTITUTION: A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graphene/polyimide based conductive composite material comprises 100.0 parts by weight of poly amic acid, and 1-40 parts by weight of graphene oxide. The composition comprises one or more compound selected from hydrazine hydrate, polystyrene sulfonate, poly(allylamine hydrochloride), and polyethyleneimine.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raphene/polyimide based conductive composite comprises a step of preparing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polyamic acid and graphene oxide, and a step of thermal imidization by heat-treating the com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