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간 미디어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기반의 미디어 장치 등으로 구성된 홈네트워크에서 홈 내부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된 외부의 홈에 존재하는 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고, 특정 미디어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홈네트워크 간 미디어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간 미디어 컨텐츠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댁내 홈서버의 IP 주소 및 접근 제어 정보를 외부의 위치정보 관리서버에 등록/갱신하고, 상기 위치정보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홈서버의 IP 주소를 검색하기 위한 홈서버 정보 등록처리 수단; 응용 프로그램을 통하여 수신한 이벤트 메시지를 처리하여 자신이 속한 홈 내부 또는 외부 홈에서 수집한 미디어 컨텐츠 리스트 및 메타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통하여 선택받은 특정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컨텐츠공유 관리 수단; 상기 컨텐츠공유 관리 수단의 제어에 따라 홈 내부의 미디어 컨텐츠 리스트를 검색하여 외부 홈으로 제공하고, 외부 홈으로부터 재생 을 요청받은 미디어 컨텐츠 페이로드를 홈 내의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전달하기 위한 로컬 제어 수단; 상기 컨텐츠공유 관리 수단으로부터 외부 홈의 컨텐츠 리스트 검색 및 미디어 전송 시작/종료를 요청하는 이벤트를 수신함에 따라 상응하는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외부 홈으로 전달하고, 그 결과로 해당 외부 홈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정보를 상기 컨텐츠공유 관리 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외부 제어 수단; 및 상기 컨텐츠공유 관리 수단으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미디어포워딩 채널을 오픈하여 해당 미디어 컨텐츠를 댁내 사설 IP 기반의 댁내 장치로부터 공인 IP 기반의 외부 홈으로 전송하거나, 외부 홈으로부터 수신되는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를 사설 IP를 가지는 댁내 장치로 전달하는 패킷 포워딩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미디어포워딩 처리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시스템 등에 이용됨.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홈네트워크, 홈서버, 미디어 공유, 스트리밍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간 미디어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기반의 미디어 장치 등으로 구성된 홈네트워크에서 홈 내부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된 외부의 홈에 존재하는 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고, 특정 미디어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홈네트워크 간 미디어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간 미디어 컨텐츠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댁내 홈서버의 IP 주소 및 접근 제어 정보를 외부의 위치정보 관리서버에 등록/갱신하고, 상기 위치정보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홈서버의 IP 주소를 검색하기 위한 홈서버 정보 등록처리 수단; 응용 프로그램을 통하여 수신한 이벤트 메시지를 처리하여 자신이 속한 홈 내부 또는 외부 홈에서 수집한 미디어 컨텐츠 리스트 및 메타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통하여 선택받은 특정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컨텐츠공유 관리 수단; 상기 컨텐츠공유 관리 수단의 제어에 따라 홈 내부의 미디어 컨텐츠 리스트를 검색하여 외부 홈으로 제공하고, 외부 홈으로부터 재생 을 요청받은 미디어 컨텐츠 페이로드를 홈 내의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전달하기 위한 로컬 제어 수단; 상기 컨텐츠공유 관리 수단으로부터 외부 홈의 컨텐츠 리스트 검색 및 미디어 전송 시작/종료를 요청하는 이벤트를 수신함에 따라 상응하는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외부 홈으로 전달하고, 그 결과로 해당 외부 홈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정보를 상기 컨텐츠공유 관리 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외부 제어 수단; 및 상기 컨텐츠공유 관리 수단으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미디어포워딩 채널을 오픈하여 해당 미디어 컨텐츠를 댁내 사설 IP 기반의 댁내 장치로부터 공인 IP 기반의 외부 홈으로 전송하거나, 외부 홈으로부터 수신되는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를 사설 IP를 가지는 댁내 장치로 전달하는 패킷 포워딩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미디어포워딩 처리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시스템 등에 이용됨.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홈네트워크, 홈서버, 미디어 공유, 스트리밍
Abstract:
A system for remotely offering home media contents, and a remote playback terminal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search the home media contents by a request of the media playback terminal connected from the outside of the home network through the Internet and offer the media contents selected through the media playback terminal by a user in real-time. A location information register(101) detects change of an IP(Internet Protocol) address assigned to a home server(100), and manages and registers the latest information of the IP address of the home server to a DNS(Domain Name Service) server. A content list searcher collects media content list information in the home network by receiving a search request from the remote playback terminal connected with the IP address information registered to the location information register, converts storing position information among collected content meta-information into an official IP address/port, and feeds back a converted content list to the remote playback terminal. A media forwarding processor(103) transmits the media contents to the remote playback terminal by setting port forwarding between a home terminal and the remote playback terminal.
Abstract:
본 발명은 웹 서비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UA) 사이에 멀티미디어 메시지(MM)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웹 서비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메시지(MM)를 송수신할 수 있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UA)와;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로직을 갖는 애플리케이션 서버(AS)와; 멀티미디어 메시지(MM)의 수집 및 라우팅을 위한 복수의 MMS 릴레이 서버(MMS RS)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AS)와 상기 MMS 릴레이 서버(MMS RS) 사이에 위치하여, 웹 서비스 기반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MM)를 처리하기 위한 개방형 서비스 플랫폼;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AS)와, 상기 복수의 MMS 릴레이 서버(MMS RS) 및 상기 개방형 서비스 플랫폼이 공동으로 접속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MM)를 저장하거나 가져올 수 있는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MS, MMS RS, AS, Open Service Platform, Open API, MM, VAS, VASP
Abstract:
본 발명은 임의의 애플리케이션 서버(AS)와 특정 사업자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릴레이 서버(MMSRS)에 가입된 최종 사용자 단말(UA) 사이에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서버(AS)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를 위한 통지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한 OSA API 처리부(OAMSB)와;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MM)의 전송 상태 및 사용자 단말기(UA)이 속한 MMSRS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고, 프로토콜 메시지의 분석 및 생성을 위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어부(MSMSB)와;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MM)와,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를 위하여 생성된 소정의 제어 테이블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UA)이 속한 상기 MMSRS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MM)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MM7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MM7 프로토콜 관리부(MPMS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MMS, MM, MMS RS, Parlay API
Abstract:
본 발명은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망에서 패킷교환 지원노드(Serving GPRS Support Node)와 패킷 관문 지원노드(Gateway GPRS Support Node) 사이의 PDP 컨텍스트 설정을 통한 사용자 세션 설정에 있어서, GTP-U 프로토콜 혹은 GTP-C 프로토콜로 전송되는 제어정보와 사용자 패킷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모든 사용자 세션 정보를 검색하여 처리하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스템 성능의 저하를 막을 수 있는 GPRS 시스템의 패킷 관문 지원 노드에서의 세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세션 설정을 위한 PDP 컨텍스트 설정시 터널 종단점 식별자를 세션 정보 자료 구조의 인덱스값으로 생성함으로서, 세션 정보 검색시 터널 종단점 식별자를 통한 직접 인덱싱이 가능하여, 검색소요시간을 감소시키고, 그 결과 시스템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고자 한 것이다.
Abstract:
PURPOSE: A user authentication processing system in a radio network and its method are provided to perform a safe authentication by performing an encoding/decoding process using public key and private key. CONSTITUTION: A public key and a private key corresponding user accessing a radio network are generated in advance and are stored, and a public key request message is generated using user information as to authentication request of a mobile station(110). After checking the registration of a user using the stored public key by receiving the public key request message, a public key of the corresponding user is transmitted. The first password is generated by performing an encoding process using the public key and then the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is transmitted to an authentication server(160). The authentication server generates second password and transmits an authentication success/fail message. If an authentication success message is transmitted from the authentication server, a service start is informed to the mobile station, and otherwise, an authentication fail message is transmit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