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무릎보조기는 착용시 착용자의 대퇴부에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상부보호대; 착용시 상기 착용자의 경골부에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하부보호대; 그리고 상기 상부보호대에 대하여 상기 하부보호대가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상부보호대 및 상기 하부보호대를 연결하는 왕복식 힌지를 구비하며, 상기 왕복식 힌지는 상기 상부보호대 및 상기 하부보호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 서로 교차하여 기설정된 각도를 이루는 제1 및 제2 가이드홀을 가지는 가이드판;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홀을 따라 각각 이동하는 제1 및 제2 이동체; 그리고 일단이 상기 상부보호대 및 상기 하부보호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1 및 제2 이동체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이동체가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홀을 따라 각각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판에 대하여 회전하는 연결바를 포함한다.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문합장치는 제1 죠(jaw); 상기 제1 죠와 마주보는 상태로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죠에 대하여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2 죠; 상기 제1 및 제2 죠 중 어느 하나가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죠와 함께 회동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의 근위 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원위 단부를 가지는 지지샤프트; 상기 제1 죠의 내부에 형성된 채널 상에 상기 제1 죠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구동축; 초기에 상기 제1 죠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문합부재; 상기 문합부재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축 상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이 회전함에 따라 병진이동하며, 상기 병진운동에 의해 상기 관형조직(tubular tissue)의 일부분을 절단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문합부재가 상기 제2 죠를 향해 상기 관형조직을 통과하여 상기 관형조직을 문합하도록 상기 문합부재를 구동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쐐기(wedge); 그리고 상기 구동축 및 상기 브래킷을 구동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구동유닛은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가능하며, 상기 브래킷에 연결되어 상기 브래킷과 함께 회전가능한 회동기어;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가능하며,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가능한 문합기어를 구비한다.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문합장치는 제1 죠(jaw); 상기 제1 죠와 마주보는 상태로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죠에 대하여 개방 및 폐쇄 위치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2 죠; 초기에 상기 제1 죠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문합부재; 상기 문합부재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죠 내에서 상기 제1 죠의 길이방향을 따라 병진이동하며, 상기 병진운동에 의해 상기 조직(tissue)의 일부분을 절단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문합부재가 상기 제2 죠를 향해 상기 조직을 통과하여 상기 조직을 문합하도록 상기 문합부재를 구동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쐐기(wedge); 그리고 연결핀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회동가능한 복수의 링크들을 구비하며, 상기 쐐기와 함께 이동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한다.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문합장치는 제1 문합링이 고정되는 제1 홀더; 제2 문합링이 고정되는 제2 홀더; 상기 제1 홀더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홀더가 근접한 근접위치 및 상기 제1 및 제2 홀더가 이격된 이격위치로 전환되며, 제1 가이드그루브를 가지는 제1 가이드바; 상기 제2 홀더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홀더가 근접한 근접위치 및 상기 제1 및 제2 홀더가 이격된 이격위치로 전환되며, 제2 가이드그루브를 가지는 제2 가이드바; 상기 제1 가이드그루브에 삽입설치되어 상기 제1 가이드그루브를 따라 상대이동하는 제1 가이드샤프트; 그리고 상기 제2 가이드그루브에 삽입설치되어 상기 제2 가이드그루브를 따라 상대이동하는 제2 가이드샤프트를 포함한다.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단-측 관상기관 문합기는 통로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통로를 통해 제1 관로가 내부에 설치되는 안내관; 상기 안내관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안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링; 상기 안내관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안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이동링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안내관의 개구를 통해 상기 안내관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이동링의 외측에 외번된 상기 제1 관로의 일측을 고정하는 제1 가압링; 상기 안내관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안내관의 외측에 설치된 문합링에 대하여 전방을 향하여 가압하는 피스톤; 그리고 상기 안내관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관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제1 위치 및 상기 안내관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제2 위치로 전환되며, 후면에 상기 문합링에 형성된 고정핀의 변형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각각 형성된 복수의 이동식 슬라이더들을 포함한다.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문합장치는 제1 및 제2 문합링이 각각 고정되는 제1 및 제2 홀더; 상기 제1 홀더에 연결되며, 제1 종동면을 구비하는 제1 종동체; 상기 제2 홀더에 연결되며, 제2 종동면을 구비하는 제2 종동체; 상기 제1 종동면을 따라 미끄럼이동하는 제1 구동면을 가지며, 일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1 구동체; 그리고 상기 제2 종동면을 따라 미끄럼이동하는 제2 구동면을 가지며, 상기 일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2 구동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구동체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1 종동체는 상기 제2 종동체를 향하여 이동하고 상기 제2 종동체는 상기 제1 종동체를 향하여 이동한다.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문합장치는 제1 및 제2 문합링을 각각 고정하는 제1 및 제2 핸드;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핸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및 제2 핸드 중 다른 하나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병진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을 체결하는 체결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핸드의 운동방향에 대하여 대체로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체; 상기 제1 및 제2 핸드에 각각 연결되며, 일측에 제공된 가이드바를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핸드와 함께 이동하는 제1 및 제2 수평이동체; 그리고 상기 구동체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체와 함께 이동하며, 상기 제1 및 제2 수평이동체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미끄럼홀을 따라 각각 미끄럼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수평이동체를 이동시키는 제1 및 제2 구동바를 포함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캐뉼라몸체 제조방법은 플레이트 형태의 박판 전방 양측변으로부터 각각 함몰되도록 절단하여 박판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절단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절단부에 의해 외부와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되도록 상기 박판을 원통형으로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개구와 대향되는 바닥면을 심교(deep drawing)하여 상기 개구를 향해 상향경사진 돌출부를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knee brace comprises: an upper brace fixed at a thigh region of a wearer when the knee brace is worn; a lower brace fixed at a shin region of the wearer when the knee brace is worn; an inner guide plate and an outer guide plate, which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inner side and the outer side by being connected to either the upper brace or the lower brace, and which respectively have a first inner guide slot and a first outer guide slot; an inner slot bar and an outer slot bar, which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inner side and the outer side by being connected to the other of either the upper brace or the lower brace, and which respectively have a second inner guide slot and a second outer guide slot,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inner movement body and an outer movement body, which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second inner guide slot and the second outer guide slot, and which respectively move along the second inner guide slot and the second outer guide slot when either the upper brace or the lower brace is bent with respect to the other; and an inner movement pin and an outer movement pin, which are inserted into the first inner guide slot and the first outer guide slot by being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inner movement body and the outer movement body, and which respectively move along the first inner guide slot and the first outer guide slot when either the upper brace or the lower brace is bent with respect to the o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