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公开(公告)号:KR102232854B1
公开(公告)日:2021-03-26
申请号:KR1020200073866A
申请日:2020-06-17
Applicant: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CPC classification number: F16B13/06 , E01D19/103
Abstract: 본 발명은, 둘 이상의 확장슬리브를 포함하는 앵커로서, 외주면이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나사부(100); 상기 나사부(100)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110); 상기 너트(110)의 하측에 위치하는 와셔(120); 상기 나사부(100)와 연결되며, 상기 나사부(100)의 하측에 위치하는 몸통부(200); 중공 형태이며, 양측에 홀(131)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100)와 몸통부(200)의 일부가 상기 중공 내측을 관통하는, 고정슬리브(130); 상기 고정슬리브(130)의 외측에 결합되는 둘 이상의 고정부재(140); 상기 고정부재(14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일단이 고정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1 확장슬리브 슬릿(151)이 형성되는, 제1 확장슬리브(150); 상기 몸통부(200)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슬리브(130)의 홀(131)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확장슬리브(150)를 전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확장부재(160); 상기 고정부재(140) 중 다른 하나에 일단이 고정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2 확장슬리브 슬릿(171)이 형성되는, 제2 확장슬리브(170); 및 상기 몸통부(200)와 연결되고, 상기 몸통부(200)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 확장슬리브(170)를 전개시키는, 확장헤드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확장슬리브(150)와 제2 확장슬리브(170)의 전개 시기를 달리할 수 있는, 앵커에 관한 것이다.
-
2.
公开(公告)号:KR102228441B1
公开(公告)日:2021-03-15
申请号:KR1020180071350A
申请日:2018-06-21
Applicant: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IPC: H02P6/182 , H02P21/24 , H02P25/022
CPC classification number: H02P6/182 , H02P21/24 , H02P25/022
Abstract: 영구자석 동기 전동기의 센서리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이는 전동기로 인가된 전류 및 전압을 피드백 받아서 축과 축에 대한 추정 확장 유기전력(, )을 각각 구한다. 추정 확장 유기전력(, )을 이용하여 회전자의 위치 및 속도를 추정한다. 기존 기준 속도와 추정된 속도를 이용하여 기준 토크인 토크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토크 제어 신호에 따른 단위전류당 최대 토크를 발생하는 기준 전류인 전류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추정 확장 유기전력 , 는 각각의 관측기에서 산출한다.
-
公开(公告)号:KR102235213B1
公开(公告)日:2021-04-02
申请号:KR1020180156060A
申请日:2018-12-06
Applicant: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Inventor: 김규오
CPC classification number: A61B5/14532 , A61B5/6821 , G02C7/049
Abstract: 생체적합성 매트리스; 하기 화학식 1로 표기되는 PBA(Phenylboronic acid)로 기능화된 다면체 올리고머릭 실세스퀴옥산(POSS) 화합물; 및 염료; 를 포함하는,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을 이용하면 간편하게 혈당을 측정할 수 있다.
-
公开(公告)号:KR102233028B1
公开(公告)日:2021-03-29
申请号:KR1020190095732A
申请日:2019-08-06
Applicant: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IPC: G01N21/552 , G01N21/25 , G01N33/543
CPC classification number: G01N21/554 , B01L3/502715 , G01N33/54373 , G01N2021/258 , G01N2021/772 , G01N2201/0846
Abstract: 표면 플라즈몬 공명 센서가 개시된다. 표면 플라즈몬 공명 센서는, 광섬유; 상기 광섬유의 끝 부분에 배치된 미세 탐침; 상기 미세 탐침의 특정 영역에 배치되는 나노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미세 탐침의 특정 영역은, 광섬유의 끝 부분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존재하고, 상기 나노 구조물은, 나노 사이즈의 간격의 절연층 양쪽에 전도층이 배치된다.
-
-
公开(公告)号:KR102233036B1
公开(公告)日:2021-03-29
申请号:KR1020190095749A
申请日:2019-08-06
Applicant: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IPC: G01N21/552 , G01N21/25 , G01N33/543
CPC classification number: G01N21/554 , G01N33/54373 , G01N2021/258
Abstract: 표면 플라즈몬 공명 센서를 이용한 연속 측정 장치가 개시된다. 표면 플라즈몬 공명 센서를 이용한 연속 측정 장치는 특이결합 가능한 수용체를 포함하는 표면 플라즈몬 공명 센서의 선택적 활성화를 통해, 용액에 포함된 특정 생체분자를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
公开(公告)号:KR102231707B1
公开(公告)日:2021-03-25
申请号:KR1020200096275A
申请日:2020-07-31
Applicant: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CPC classification number: E02D27/48 , E02D31/08 , F16F15/02 , E02D2300/002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건물(10)의 기초(B)에 형성된 천공홀(H)에 설치된 마이크로 파일(5)과 상기 기초(B) 아래의 기초하부(WH)에 삽입되는 기초 보강 조립체(100)에 있어서, 상기 기초 보강 조립체(100)는, 상기 천공홀(H)의 상부에 위치한 체결부재(101); 상기 기초하부(WH)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바닥 플레이트(110); 상기 바닥 플레이트(110)에서 상기 체결부재(101)까지 연장되며 상기 천공홀(H)과 상기 기초하부(WH)를 가로지르는 앵커 몸체(120); 및 상기 앵커 몸체(120)의 외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링크 구조체(130)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구조체(130)는, 다수의 링크(131)가 구비되는 관절부재(132); 및 상기 관절부재(132)를 관절 이동시키는 이동부재(135)를 포함하며, 상기 기초하부(WH)에 콘크리트(C)가 타설되어 양생되며, 상기 체결부재(101)의 상부에 내진 보강을 위한 면외보강체(11)가 체결되고, 상기 면외보강체(11)는 상기 기존 건물(10)에 결속되어 내진 보강하고 여기에 흡수된 하중과 진동을 상기 기초(B), 기초 보강 조립체(100) 및 콘크리트(C)에 전달하는 기초 보강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
公开(公告)号:KR102227880B1
公开(公告)日:2021-03-15
申请号:KR1020200073865A
申请日:2020-06-17
Applicant: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CPC classification number: E04G23/0296 , F16B13/063
Abstract: 본 발명은, 외주면이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중공 형태의 나사부(110); 상기 나사부(110)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111); 상기 나사부(110)의 하측에 위치하는 중공 형태의 몸통부(120); 상기 몸통부(120)의 하측에 위치하며, 말단에 가까워질수록 그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된 중공 형태로, 적어도 하나의 슬릿(131)이 형성되어 있어, 전개 가능한 확장 슬리브(130); 상기 나사부(110), 상기 몸통부(120) 및 상기 확장 슬리브(130)의 중공에 삽입되는 핀(140); 에폭시(150')를 수용하며, 상기 확장 슬리브(130)의 외주면을 감싸고, 파쇄 가능한 제1 에폭시 주머니(150); 및 에폭시(150')를 수용하며, 상기 몸통부(120)의 외측을 둘러싸고, 파쇄 가능한 제2 에폭시 주머니(151)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 슬리브(130)가 상기 핀(140)에 의해 전개될 경우, 상기 제1 에폭시 주머니(150)가 상기 핀(140) 또는 전개된 상기 확장 슬리브(130)에 의해 파쇄되고, 상기 너트(111)의 회전에 의해 제2 에폭시 주머니(151)가 파쇄되고, 상기 제1 에폭시 주머니(150) 및 제2 에폭시 주머니(151)에는 일정 간격으로 칼집(155)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에폭시 주머니(151) 하측에 위치하는 밀림방지부재(160)를 더 포함하는, 앵커에 관한 것이다.
-
公开(公告)号:KR102226632B1
公开(公告)日:2021-03-11
申请号:KR1020190101815A
申请日:2019-08-20
Applicant: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CPC classification number: H01L33/22 , C08L25/08 , C08L29/04 , C08L39/06 , C08L51/00 , H01L33/0093 , H01L33/06 , H01L33/14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소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a) 제 1 전극 상에 블록공중합체층을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블록공중합체층에 포함된 물질들을 상 분리 하는 단계; (c) 상기 상 분리를 통해 분리된 물질들 중 특정 물질을 제거하여 상기 블록공중합체층에 복수의 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블록공중합체층 상에 배치되는 전자전달판 및 상기 홀을 통해 상기 전자전달판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제 1 전극으로 연장되는 전자전달돌기를 포함하는 전자전달층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
公开(公告)号:KR102238396B1
公开(公告)日:2021-04-12
申请号:KR1020200031392A
申请日:2020-03-13
Applicant: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CPC classification number: H01Q21/065 , H01Q1/38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커플링 소자를 가지는 다중 입출력 안테나는, 유전체로 된 안테나 기판; 상기 기판상의 일측면에 이격된 거리를 유지하며 상호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 및 상기 기판상의 복수의 안테나 소자 사이에 각각의 안테나 소자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디커플링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디커플링 소자는 주기적인 불연속적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 소자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