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소수성 나노실리카가 배합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코팅 원사는 코어사의 표면에 소수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나노실리카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가 균일하게 도포됨으로써 코어사가 한쪽으로 치우치는 편심이나 미코팅이 발생되지 않아 제품의 품질과 생산성이 뛰어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 가지는 우수한 내구성 및 내마모성과 더불어 기계적 강도와 화학적 내성이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신발용 갑피에 부착되는 TPU 고주파 접착 시트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성물을 제시하고자 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TPU 고주파 접착 시트의 경우 TPU 자체의 높은 물성과 질김성으로 인해 고주파 커팅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물성을 낮추게 되면 내열성이 함께 낮아져 후 가공시 TPU 시트에 변형이 일어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TPU의 조성물에 에틸렌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EVOH) 수지를 컴파운드한 후 이를 통상의 티-다이(T-die) 압출방법으로 고주파 접착용 TPU 시트를 제조함으로써 우수한 커팅성과 동시에 내열성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신발용 고주파 접착 시트의 조성물을 구현하고자 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색상층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스킨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과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핫멜트 필름으로 구성된 신발 갑피용 스킨 필름을 구현함에 있어서, 상기 TPU 필름과 핫멜트 필름 사이에 에틸렌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필름을 형상하여 스킨 필름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스킨 필름을 원단에 접착할 때 원단의 염료가 스킨 필름 쪽으로 이염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스킨 필름의 색상층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염 방지를 위한 신발 갑피용 스킨 필름을 제시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FDM 방식의 3D 프린터용 열가소성 필라멘트를 제조할 때, 일차 입자 크기(primary particle size)가 100nm 이하의 입자 크기를 가지고 표면에 소수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나노 실리카를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에 배합함으로써 3D 프린팅 작업시 프린터 노즐의 온도 변화에 관계없이 노즐을 통해 용융 압출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라멘트의 분사량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여 3D 용융 적층시 성형품의 치수 안정성 및 정밀도를 높일 수 있으며, 프린터 노즐을 통해 용융 분사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라멘트가 프린터 출력판에 분사되어 용융 적층될 때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라멘트의 냉각 속도를 빠르게 하여 적층된 층이 무너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FDM 방식의 3D 프린터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라멘트를 제시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원사를 제조할 때(바람직하게는, TPU 단독의 모노필라멘트사 또는 TPU 단독의 멀티필라멘트사를 제조할 때), 위에서 제시한 선출원 발명과 같이 폴리에스테르나 나일론 원사의 표면에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코팅 처리하지 않고,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단독으로 얇은 두께, 일 예로 50~350 데니아의 모노필라멘트사 또는 50 데니아 이하의 멀티필라멘트사를 제조할 때 생산성과 소광성을 개선하기 위한 증점제로서 100nm 이하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나노 실리카를 배합하여 원하는 가공성 및 물성을 확보하면서도 TPU 원사를 뽑을 때 끊어지지 않고 연속적으로 뽑을 수 있도록 하는 나노 실리카를 사용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원사용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원사의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핫멜트 필름 위에 점착층을 형성할 때 도트 코팅(Dot Coating) 방식으로 도포함으로써 피착제(예를 들어, 원단이나 합성피혁 등)와 피착제(예를 들어, 신발 갑피 등) 사이에 핫멜트 필름을 삽입하고 무재봉(No-Sew) 프레스 작업으로 접착시킬 때 상기 핫멜트 필름에 코팅된 점착제 의해 접착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트 코팅된 점착층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핫멜트 필름을 제시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비중이 1.0 이하의 가벼운 코팅 원사를 제조하기 위하여 기공을 가지는 필러(바람직하게는, 글라스 버블, 아크릴 버블)를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에 첨가하여 혼합한 후 이를 원사에 코팅함으로써 일반적인 코팅 원사 대비 경량화된 코팅 원사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기공을 가지는 코팅 원사용 컴파운드의 조성물을 제시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 같이 복수의 가이드 롤러를 사용하지 않고 기계 장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컨베이어 벨트를 사용하여 TPU 핫멜트 필름을 인출 가이드 함으로써 정밀한 두께와 폭을 가지는 TPU 핫멜트 필름을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TPU 핫멜트 필름을 제조할 때 슬립제(slip agent)와 대전방지제를 TPU와 함께 배합으로써 릴리즈 페이퍼(Release Paper: 종이형태의 이형지 또는 PP나 PE 등의 이형필름)를 사용하지 않고도 TPU 핫멜트 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 그리고 TPU 핫멜트 필름의 접착력이나 물성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핫멜트 필름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핫멜트 필름을 제시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버진(Virgin) 형태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또는 신발 제조 공정에 사용되고 있는 에어백 패턴에 맞도록 사용하고 남은 스크랩 혹은 기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가공한 후 남은 스크랩을 수거한 후, 이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열가소성 폴레우레탄과 각종 첨가제를 혼합한 다음, 이를 컴파운딩(compounding) 한 후, 이를 다시 압출기로 공압출하여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원사를 제조함으로써 물리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250 데니아(denier) 이하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원사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