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公开(公告)号:WO2010151079A3
公开(公告)日:2010-12-29
申请号:PCT/KR2010/004147
申请日:2010-06-25
Abstract: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제1 기지국과 제1 단말의 페어와 제2 기지국과 제2 단말의 페어를 포함한다. 제1 기지국과 제2 기지국이 간섭 제어를 수행해야 하는 경우, 제1 단말은 간섭 제어와 관련된 메시지를 제1 기지국과 제2 기지국 사이에서 릴레잉한다. 즉, 제1 단말은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2 기지국으로 간섭 제어와 관련된 메시지를 전달하고,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1 기지국으로 간섭 제어와 관련된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은 제1 단말을 경유하여 간섭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메시지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
公开(公告)号:KR1019990070594A
公开(公告)日:1999-09-15
申请号:KR1019980005529
申请日:1998-02-23
Applicant: 황효선
Inventor: 황효선
IPC: F24D3/12
Abstract: 공기를 제거하고 열 매체를 투입한 판넬은 기존 난방 설치의 개념을 벗어난 본 발명의 목적은 저 에너지로써 최대한 효율에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기존난방 문화의 일대 변혁을 가져오게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판넬속의 공기를 제거하여 진공상태를 유지하여 이때의 진공도는 5×10
-3 Torr 이상이며 이 상태에서 열매체(간접적으로 열에너지를 전달 받을 경우 스스로 발열할수 있는 물질)을 주입한다.
판넬속에서이 열매체는 자신에게 간접전달되는 열에너지에 의하여 자유롭게 아주 빠른 운동을 하게되는데 이때 그 자유롭고 빠른 운동을 통해서 열을 발산하여 진공된 판넬 전체를 데워준다.
즉 동일한 재질과 크기가 같은 판넬 2개를 제작, 하나는 판넬속의 공기를 제거한 진공상태에서 열매체를 주입하고 다른 판넬(진공상태가 아닌 일반적인 패널)에 같은 에너지를 전달했을 경우 진공판넬의 열 전도는 진공상태가 아닌 일반적인 판넬의 열전도 속도보다 약 1,000배 가량 빠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장점을 최대한 이용하여 난방비를 최대한 줄일수 있는 것을 개발하였다.-
公开(公告)号:KR1019950019361A
公开(公告)日:1995-07-22
申请号:KR1019930025995
申请日:1993-12-01
Applicant: 황효선
IPC: F23G5/00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폐기물의 소각을 위한 연소장치와 그 연소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폐기물파쇄기, 폐기물이송기, 폐기물건조기등의 일관된 소각 전처리장치와 공기분사노즐, 소각잔재물제거날개, 제1,2분할판등을 내장한 연소실, 2패스방식의 열교환기, 건식집진기, 연도, 모터로 구동되는 송풍기 2조, 보조버너, 연료탱크, 냉각수탱크, 폐유탱크, 연소실과 열교환장치에 부착된 열전쌍, 이들을 제어하는 자동운전제어반으로 구성되는 연소장치와, 본 발명의 특징인 연소실의 일체형구조를 위한 제1,2분할판과 반구형회전노즐반, 그리고 공기분사노즐들의 천설방법을 효과적으로 배치하여 얻어지는 선회와류를 사용한 완전연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소각로들은 일정한 소각능력을 확보하기위하여 연소실의 용적이 지나치게 커지므로 장소를 많이 차지하게 되고 따라서 제조원가가 상승할 뿐만아니라 폐기물의 성상에 따라 소각능력에 많은 구애를 받게되고 연소실내에 투입되는 폐기물들의 수분 함유량에 따라 산소공급과 압력조절들의 연소환경 제어가 비효율적이어서 불완전연소 상태의 분진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을 안고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열역학과 유체역학적인 원리들을 원용한 기체유동시스템을 연소실의 구조에 도입하였다.
폐기물들은 일관된 공정으로 파쇄된후 건조되어 로내에 투입되어 연소실 내부의 반구형회전노즐반은 폐기물에 전 방위적으로 산소를 공급하며, 하부 벽면의 공기분산노즐은 선회류를 발생시키고, 분할판들은 완전연소를 위한 제2보조버너의 역활과 불완전연소 폐기물파편의 상승차단 그리고 다단계 산소공급 및 선회류를 유지보완하는 장치인 것이다.
본 발명은 이로써 악성 복합폐기물까지도 완전연소시킬 수 있으며, 일체형 연소실로써 좁은 설치장소에 적은 설치비와 유지보수비로도 대량으 폐기물을 연속적으로 소각처리할 수 있고, 발생한 폐열도 79%정도의 열회수율을 확보하게 되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