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는, 환자의 뇌동맥류 발생부위 내에 삽입되어 혈전을 유도함으로써 혈류의 유입을 저지하는 마이크로코일부; 마이크로코일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마이크로코일부를 환자의 뇌동맥류 발생부위 측으로 운반하는 코일푸셔부; 코일푸셔부와 마이크로코일부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묶음끈; 및 코일푸셔부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묶음끈에 결합되어 마이크로코일부를 분리하고자 할 때 묶음끈을 절단하기 위하여 묶음끈을 인장하는 인장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순한 구조를 가질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코일부와 코일푸셔부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뇌동맥류 발생부위 내에 마이크로코일부가 정확하게 삽입되어 시술자의 시술 목적에 효율적으로 부응할 수 있다.
Abstract:
나노 크기의 기공을 포함하는 합성골 이식재용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 크기의 기공을 포함하는 합성골 이식재용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 방법은, 나노 크기의 합성골 이식재료를 준비하는 제1 단계; 및 준비된 이식재료를 압축성형 및 소결하여 기공을 포함한 지지체를 형성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며, 나노 크기의 합성골 이식재료의 입자 형태는 구상, 침상 및 판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가지며, 기공은 100nm 이하의 나노 크기를 갖는다.
Abstract:
치과용 이중구조 멤브레인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이중구조 멤브레인은, 다른 조직세포의 침투를 막기 위해 골 이식재와 치조골을 외부로부터 차폐하는 차폐부; 및 차폐부에 연결되며, 잇몸과 치조골 사이에 삽입되어 차폐부를 고정시키는 삽입고정부를 포함하고, 삽입고정부는 차폐부에 비하여 높은 인장강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bstract:
링형 골 이식재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형 골 이식재 제조방법는, 생분해성 고분자를 마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마련단계; 생분해성 고분자에 골재료를 혼합한 성형재료를 마련하는 성형재료 마련단계; 성형재료를 중앙에 홀(hole)이 형성되도록 링(ring) 형상을 가지는 링형 몰드(mold)에 투입하는 성형재료 투입단계; 및 링형 몰드에 투입된 성형재료를 소정의 기준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동결 건조시킴으로써 링 형상을 가지는 링형 골 이식재로 성형하는 링형 골 이식재 성형단계를 포함한다.
Abstract: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는, 환자의 동맥류(aneurysm) 또는 다른 혈관 기형(vascular malformation) 발생부위 내에 삽입되어 혈전을 유도함으로써 혈류의 유입을 저지하는 마이크로 코일유닛과, 마이크로 코일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마이크로 코일유닛을 환자의 동맥류(aneurysm) 또는 다른 혈관 기형(vascular malformation) 발생부위 측으로 운반하는 코일 푸셔유닛과, 코일 푸셔유닛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인장 와이어와, 마이크로 코일유닛과 인장 와이어에 연결되는 묶음끈과, 묶음끈을 묶인 상태로 유지시키는 세팅위치와 묶음끈을 절단하는 절단위치 간을 적어도 일부분이 이동 가능하도록 코일 푸셔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절단위치로 이동 시 묶음끈을 절단하는 묶음끈 절단유닛을 포함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골이식재의 표면을 뼈 나노 입자로 기능화하는 방법 및 뼈 나노 입자로 기능화된 표면을 갖는 골이식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미 상용화되어 있는 이종골 이식재인 동물뼈에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와 같이 합성된 뼈 나노 입자를 화학적으로 기능화(functionalization)하여 이식재 표면에서의 뼈세포의 부착력 및 이식 특성을 향상시키고 재료의 생체 적합성을 증가시키고자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는, 환자의 동맥류(aneurysm) 또는 다른 혈관 기형(vascular malformation) 발생부위 내에 삽입되어 혈전을 유도함으로써 혈류의 유입을 저지하는 마이크로 코일유닛과, 상기 마이크로 코일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마이크로 코일유닛을 상기 환자의 동맥류(aneurysm) 또는 다른 혈관 기형(vascular malformation) 발생부위 측으로 운반하는 코일 푸셔유닛과, 상기 코일 푸셔유닛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인장 와이어와, 상기 마이크로 코일유닛과 상기 인장 와이어에 연결되는 묶음끈과, 상기 묶음끈을 묶인 상태로 유지시키는 세팅위치와 상기 묶음끈을 절단하는 절단위치 간을 적어도 일부분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코일 푸셔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절단위치로 이동 시 상기 묶음끈을 절단하는 묶음끈 절단유닛을 포함한다.
Abstract:
분리가능한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분리가능한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는, 환자의 뇌동맥류 발생부위 내에 삽입되어 혈전을 유도함으로써 혈류의 유입을 저지하는 제1 코일; 제1 코일의 내강의 일단부에 일단부가 삽입되는 제2 코일; 제1 코일의 타단부와 접촉하는 팁볼을 포함하며, 제1 코일의 내강 및 제2 코일의 내강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신장저항성 코어; 및 제2 코일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제1 코일을 환자의 뇌동맥류 발생부위 내로 운반하는 운반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뇌동맥류 발생부위 내에 정확하게 삽입되어 시술자의 시술 목적에 효율적으로 부응할 수 있는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뇌동맥류, 와이어, 마이크로코일, 운반와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