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公开(公告)号:WO2020027510A1
公开(公告)日:2020-02-06
申请号:PCT/KR2019/009366
申请日:2019-07-26
Applicant: 경희대학교산학협력단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IPC: H02N1/04
Abstract: 본 발명은 많은 양의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해서 내부의 전기 용량을 증가시키고, 표면에 많은 전하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이온성 탄성중합체를 이용한 정전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층의 상부에 구비되고, 탄성중합체와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는 이온성 탄성중합체와 상기 제1전극과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이온성 탄성중합체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며, 상기 이온성 탄성중합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음전하 대전물질로 형성되는 절연체를 포함하고, 상기 이온성 탄성중합체 및 상기 절연체는 외력에 의하여 접촉 또는 분리되고, 상기 이온성 탄성중합체 및 상기 절연체가 접촉 및 분리되는 경우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 사이에 전기적 에너지가 발생한다.
-
公开(公告)号:WO2020040374A1
公开(公告)日:2020-02-27
申请号:PCT/KR2019/000645
申请日:2019-01-16
Applicant: 경희대학교산학협력단 ,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IPC: H02N1/04
Abstract: 본 발명은 대면적, 다변형성을 갖는 정전 발전기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층상 적층 기법을 적용하여 섬유와 같은 다양한 기판에 적용할 수 있으며, 기판에 나노/마이크로 크기의 구조물이 형성되어 있어도 균일한 증착을 통해 안정적인 출력 특성을 갖는 층상 정전 발전기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판과, 상기 기판을 도포하는 제1용액과, 상기 제1용액이 건조된 상기 기판을 도포하는 제2용액을 포함하며, 상기 제1용액은 상기 제2용액이 상기 기판에 증착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상기 제2용액은 상기 기판에 전극을 형성하여 전도성을 갖도록 하는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다.
-
公开(公告)号:WO2019203389A1
公开(公告)日:2019-10-24
申请号:PCT/KR2018/006379
申请日:2018-06-05
Applicant: 경희대학교산학협력단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센서장치는, 진동 가능한 와이어부, 와이어부와의 간섭을 통해 정전기력을 발생시켜 전기적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생부 및 와이어부 및 발생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와이어부의 공진 주파수를 측정하여 대상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저비용으로 다양한 조건에 적용될 수 있는 센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
公开(公告)号:WO2019139322A1
公开(公告)日:2019-07-18
申请号:PCT/KR2019/000243
申请日:2019-01-08
Applicant: 경희대학교산학협력단
IPC: H02N1/04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정전발전기는, 입력 에너지가 저장되는 저장부, 저장부에 저장된 입력 에너지를 특정 주파수의 출력 에너지로 균일하게 출력시키는 출력부 및, 출력부에 의해 간섭되어 정전 발전시키는 발전부를 포함하며, 저장부는 입력 에너지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하여 입력 에너지를 저장 가능한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불규칙적인 입력 에너지를 특정 주파수로 균일하게 출력 할 수 있어, 발전 효율이 향상 되며, 생산량이 예측 가능하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