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단면적이 좁은 교각 양측 높이에 관계 없이 상판을 포함하는 거더로부터 점검로 바닥면 까지의 높이를 평균 높이인 1.5m로 확보가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교각의 폭 대비 상판의 폭이 넓어 야기되는 점검로 출입구 설치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교각에 고정되어지는 앙카베이스와 발판이 설치되어지는 브라켓의 연결을 별도의 연결대로 연결하도록 함에 따라 연결부에서 발생하는 설치변형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단자와 전극을 포함하는 전자 모듈 간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자 모듈에 포함되는 단자와 전극이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모듈 간의 전기 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 시스템은 제1 전기 모듈과 제2 전기 모듈을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기 모듈은 접촉면을 구비하되, 상기 접촉면 상에 배열되는 철면(凸面)과 요면(凹面)으로 이루어진 요철면이 제공되며, 상기 철면 상에는 제1 전기 접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면 상에는 상기 제1 전기 접속부와 절연되는 제2 전기 접속부가 제공되며, 상기 제2 전기 접속부는 강자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기 접속부 및 제2 전기 접속부는 상기 제1 전기 모듈에 구비되는 제1 전기 모듈 부하의 제1극 및 제2극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기 모듈은 상기 접촉면에 대응되는 거치면을 구비하되, 상기 거치면은 평탄부와 복수의 홀을 지니며, 상기 복수의 홀에는 함몰 전극 유닛으로 구성된 전극핀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전기 모듈의 강자성부에 자력이 미치지 않을 시에는 퇴출 위치에 있고, 자력이 미칠시에는 돌출 위치로 전환되도록 상기 전극핀은 자석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평탄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제2 전기 모듈의 제1극에 공통 접속된 도전성 패치가 형성되고, 상기 전극핀은 상기 제2 전기 모듈의 제2극에 공통 접속되며, 상기 도전성 패치와 상기 전극핀은 서로 절연되고, 상기 전극핀이 상기 제1 전기 모듈의 제2 전기 접속부 상에 대응되면 상기 제2 전기 모듈의 제2극은 상기 전극핀을 통해 상기 제1 전기 모듈의 제2 전기 접속부에 접속되도록 돌출되고, 상기 제2 전기 모듈의 제1극은 상기 도전성 패치를 통해 상기 제1 전기 모듈의 제1 전기 접속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장 센서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그 판단에 따른 대응하는 제어 등을 수행하는 자기장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판단하는 전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자기장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판단하는 전기 장치는 자기장 발생부를 구비하는 n 자유도의 외부 물체로부터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제한된 m차원의 자기장 벡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기장 센서부와, 상기 외부 물체의 운동에 대한 물리적 사전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한된 m차원의 자기장 벡터와 상기 물리적 사전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외부 물체의 변위와 회전 정보를 판단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Abstract:
이동 단말의 전력을 충전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이동 단말과 커플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탭을 포함하는 둘 이상의 충전 매트들; 상기 둘 이상의 충전 매트들 중 대상 충전 매트를 통하여 상기 전력을 충전하는 이동 단말; 상기 이동 단말의 사용자가 특정 조건을 만족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 충전 매트의 사용을 승인하는 승인 서버를 포함하는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Abstract:
하나 이상의 또는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적 모듈간에 접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단자연결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자연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자연결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구비한 제 1 단자부 및 자력부를 구비하는 제 1 연결몸체, 그리고 상기 제 1 단자부가 대응되어 접속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구비한 제 2 단자부가 형성되고 상기 자력부와 자력에 의해 연결이 가능한 대응자력부가 구비된 제 2 연결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자부 또는 제 2 단자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복수개로써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단자부와 상기 제 2 단자부는 상기 자력부와 대응자력부 간의 자력에 의해 결정되는 위치에서 접속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각 모듈의 위치와는 무관하게 위치에 따른 제약을 최대한 안 받으면서 충전 또는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진다.
Abstract:
본 발명은 고가교량 시공현장의 조건에 따라 고가교량의 시공 및 확장이 부분적(partial)으로 행하여지는 현장에서 선(先)시공되어진 고가교량의 슬래브로부터 발생한 빗물의 모아 배수시킬 수 있도록 가설(假設)되어지는 배수로를 단계별 시공되어지는 고가교량의 슬래브측면에 간편하게 탈부착 가설(假設) 가능하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도로상에 시공되어지는 고가교량에 있어서, 슬래브의 골조를 이루는 철근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고정되어지되, 상부수판에 대하여 예각을 이룬 걸림내턱과 상기 걸림내턱으로부터 하향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받침경사판으로 이루어진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받침경사판의 배면에 형성된 볼트고정홀더로 체결되는 볼트가 상기 철근에 용접 고정되어지는 배수로고정노치와; 상기 배수관고정노치의 고정홈의 받침경사판에 대항응 하는 경사고정부가 양측벽 중 어느 한곳의 상연부에 형성되어 있고, 바닥판에는 배수관이 연결되어지는 배수관연결관이 형성되어 있는 배수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Abstract: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보행등 보조장치에 보행등의 잔여시간뿐만 아니라 보행자 대기시간을 표시할 수 있고, 적색 보행등 점등시 보행등 보조장치의 기호형 적색표시가 차례로 상향 점등하여 횡단 대기시간을 제공함으로써 교차로에 설치된 두 개의 횡단보도 중에서 보행 방향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고, 또한, 보행등 보조장치에서 황색을 최종 점멸시켜 보행자의 잔여보행시간을 인지시킴으로써 보행자의 보행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보행등 잔여시간과 보행자 대기시간을 표시하는 정보화 교통신호등이 제공된다.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tallation structure for conveniently, detachably, and temporarily installing a drainage way at the side of the slab of an overpass bridge constructed by step, wherein the temporarily installed drainage way is to drain rainwater after collecting the rainwater from the slab of a previously constructed overpass bridge in a construction site in which an overpass bridge is partially constructed and expand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construction site for the overpass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structure in the overpass bridge constructed on a road and used for a smooth traffic flow comprises: a drainage way fixing notch fixed to be positioned at the side of a reinforcing bar forming the framework of the slab, and having an upper vertical plate, a fixing groove, a bolt, and a bolt fixing holder, wherein the fixing groove includes a latching inner protrusion at an acute angle to the upper vertical plate and a supporting inclined plate formed to be inclined from the latching inner protrusion gradually downwards, and the bolt fastened to the bolt fixing holder formed at the rear side of the supporting inclined plate is fixed to be welded to the reinforcing bar; and the drainage way having an inclined fixing part and a drainage pipe connecting pipe, wherein the inclined fixing pip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ing inclined pipe of the fixing groove of the drainage way fixing notch is formed at the top of one of both walls of the drainage way and the drainage pipe connecting pipe connected with a drainage pipe is formed at the bottom plate of the drainage way.
Abstract:
수평확인 기능을 구비하는 조리용 칼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수평확인 기능을 구비하는 조리용 칼은: 조리 대상물을 절단하는 칼날이 구비되는 몸체부와, 몸체부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파지가 이루어지는 손잡이부 및 몸체부 또는 손잡이부에 설치되어 수평 여부를 표시하는 수평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