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약 0.05 내지 약 2의 감소된 고유 점도(RSV)를 갖는 카복시-함유 인터폴리머로부터 유도된 질소-함유 에스테르에 있어서, 인터폴리머가 적어도 두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며, (i)모노머 중 하나는 탄소수 2 내지 약 30의 지방족 올레핀과 비닐 방향족 모노머 중 적어도 하나이며 (ii)모노머의 나머지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α,β-불포화 아실화제이며, 상기에스테르는 이의 폴리머 구조내에 인터폴리머의 카복시 그룹에서 유도되는 하기 그룹 각각의 존재를 특징으로 하는 질소-함유 에스테르 인터폴리머내 카복실 그룹의 몰수를 기준으로, 탄소수 약 13 내지 약 19의 에스테르 그룹(A) 약 20 내지 약 70 몰%, 인터폴리머내 카복실 그룹의 몰수를 기준으로, 탄소수 약 8 내지 약 12의 에스테르 그룹(B) 약 80 내지 약 30 몰%, 임의로 인터폴리머내 카복실 그룹의 몰수를 기준으로, 탄소수 2 내지 7의 에스테르 그룹(C) 약 20 몰% 이하[여기에서, 카복시-함유 인터폴리머로부터 유도된 카복시 그룹의 약 93 내지 약 97%가 에스테르 그룹이고, 카복시 그룹의 나머지는 추후에 평균 1 내지 약 1.1개의 1차 또는 2차 아미노 그룹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 화합물(D)과 반응하여 카복실산 또는 무수물 그룹의 약 5 내지 약 50%를 카보닐-아미노 그룹으로 전환시키는 잔류 카복실산 또는 무수물 그룹을 포함하며, 미반응 카복실산 또는 무수물 그룹은 잔류 카복실산 또는 무수물 그룹(E)으로 잔류한다]. 첨가제 농축물 및 윤활유 조성물도 개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