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동기를 맞추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의 단말의 동작 방법은: 제1 타이밍 어드밴스(TA) 값을 포함하는 조정 메시지를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TA 값에 기반하여 설정된 제2 기지국에 대한 제2 TA 값에 기반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한 기지국 또는 한 셀에서의 상향링크 동기화를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기지국 또는 다른 셀로 보내는 상향링크 신호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상향링크 자원의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Abstract: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수신 빔 폭을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의 배터리 임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의 배터리 레벨이 상기 배터리 임계치보다 낮거나 같은 경우 현재 사용되는 수신 빔폭보다 넓은 수신 빔폭을 사용할 것으로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넓은 수신 빔폭을 사용할 것으로 결정된 경우 추가 자원의 요청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추가 자원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되면, 상기 넓은 수신 빔폭의 적어도 하나의 수신 빔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안테나 엘레먼트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안테나 수신 회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수신 회로의 전원을 차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Device to Device) 통신의 자원 할당을 통한 송신/수신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Device to Device) 통신의 자원 할당을 통한 송신단말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D2D 통신을 위한 D2D 제어정보를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및 DM-RS(Demodulation-Reference Signals)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매핑하는 과정; 및 상기 PDCCH, 상기 PUSCH 및 상기 DM-RS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매핑된 상기 D2D 제어정보를 수신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Abstract:
본 개시는 LTE와 같은 4G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제공될 5G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제1 기지국에 송신할 신호에 의해 제2 기지국에 간섭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에 대응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결정된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Device to Device) 통신의 자원 할당을 통한 송신/수신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Device to Device) 통신의 자원 할당을 통한 송신단말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D2D 통신을 위한 D2D 제어정보를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및 DM-RS(Demodulation-Reference Signals)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매핑하는 과정; 및 상기 PDCCH, 상기 PUSCH 및 상기 DM-RS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매핑된 상기 D2D 제어정보를 수신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빔포밍 기반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빔 스위핑 패턴을 적응적으로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서빙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상기 서빙 기지국과 상기 서빙 기지국에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빔들이 충돌함을 나타내는 빔 충돌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수집하는 과정; 및 상기 수집된 빔 충돌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송신되는 빔의 빔 스위핑 패턴을 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다양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도 개시되어 있다.
Abstract:
본 개시는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4G(4 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5 th generation)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기법을 선택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정보를 시그널링하기 위한 것으로, 송신단의 동작 방법은, 수신단의 수신기에 관련된 능력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송 기법에 관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 기법을 이용하여 생성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능력 정보는, 채널 코딩 및 변조의 결합에 대한 규칙 및 비트 및 심벌 매핑에 대한 규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Abstract:
본 개시는 LTE와 같은 4G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제공될 5G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동기를 맞추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의 단말의 동작 방법은: 제1 타이밍 어드밴스(TA) 값을 포함하는 조정 메시지를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TA 값에 기반하여 설정된 제2 기지국에 대한 제2 TA 값에 기반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한 기지국 또는 한 셀에서의 상향링크 동기화를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기지국 또는 다른 셀로 보내는 상향링크 신호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상향링크 자원의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