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公开(公告)号:KR101989466B1
公开(公告)日:2019-06-14
申请号:KR1020170141521
申请日:2017-10-27
Applicant: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IPC: C12Q1/68 , G01N33/53 , A61K31/713
-
公开(公告)号:WO2019199128A1
公开(公告)日:2019-10-17
申请号:PCT/KR2019/004459
申请日:2019-04-12
Applicant: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IPC: G01N33/68 , C12Q1/6876
Abstract: DEP에 노출된 비강세포 내 유전자 발현 변화를 확인하고, 특이적인 전사체적 발현 변화를 보이는 유전자인 CSF3 및 VEGFA를 선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비강내 DEP 노출 여부 확인용 조성물은 기존 DEP 노출 확인 방법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단 및 예측할 수 있으며, 상기 CSF3 및 VEGFA는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유전자이기 때문에 DEP에 의해 유발되는 비강내 염증 질환의 진단에도 사용될 수 있다.
-
公开(公告)号:KR102130833B1
公开(公告)日:2020-07-07
申请号:KR1020180160412
申请日:2018-12-12
Applicant: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IPC: G01N33/68 , C12Q1/6876
-
-
公开(公告)号:KR101931237B1
公开(公告)日:2018-12-20
申请号:KR1020180042969
申请日:2018-04-12
Applicant: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IPC: G01N33/68 , C12Q1/6876
Abstract: DEP에 노출된 비강세포 내 유전자 발현 변화를 확인하고, 실제 선연구 결과들을 기반으로 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신호전달 네트워크 확인을 통해, 특이적인 전사체적 발현 변화를 보이는 유전자인 CSF3 및 VEGFA를 선별한 것으로, DEP에 노출시, 상기 CSF3의 발현 수준은 상향조절되었고, 상기 VEGFA의 발현 수준은 하향 조절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강내 DEP 노출 여부 확인용 조성물은 기존 DEP 노출 확인 방법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단 및 예측할 수 있으며, 상기 CSF3 및 VEGFA는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유전자이기 때문에 DEP에 의해 유발되는 비강내 염증 질환의 진단에도 사용될 수 있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