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이미지 향상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
    1.
    发明授权
    디지털 이미지 향상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 有权
    用于增强数字图像的方法和装置和使用其的图像处理装置

    公开(公告)号:KR101621614B1

    公开(公告)日:2016-05-17

    申请号:KR1020140081026

    申请日:2014-06-30

    Abstract: 본발명의실시예에따른컴퓨터에서수행되는디지털이미지향상방법은입력되는디지털이미지의색공간을 RGB에서 YCbCr로변환하여, 휘도성분(Y 성분), Cb 성분및 Cr 성분을생성하는단계, 휘도성분을소정의컷오프주파수를가지는평활화필터로필터링하여조명성분(L 성분)을생성하는단계, 각픽셀마다휘도성분을조명성분으로나눈반사성분에기초하여반사성분맵을생성하는단계, 반사성분맵의히스토그램을기초로정규화하여보정된휘도성분을생성하는단계및 보정된휘도성분과 Cb 성분및 Cr 성분을 YCbCr에서 RGB로변환하여디지털향상이미지를생성하는단계를포함할수 있다.

    손가락 제스처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2.
    发明公开
    손가락 제스처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审中-实审
    远程控制器使用手指

    公开(公告)号:KR1020160107421A

    公开(公告)日:2016-09-19

    申请号:KR1020150030034

    申请日:2015-03-03

    CPC classification number: G06F3/017 G06K9/00355 G06T7/00

    Abstract: 본발명은영상에서손가락을인식하고, 인식된손가락에관한정보를이용하여제어신호를생성하는원격제어장치에관한것으로, 본발명의일 실시예에따른원격제어장치는, 영상을촬영하는카메라; 상기카메라에의해촬영된영상을입력받는영상입력부; 상기영상입력부에입력된영상으로부터손 영역을추출하고, 추출된손 영역에서타원검출알고리즘을이용하여손가락을인식하는영상분석부; 및, 상기영상분석부가인식한손가락에관한정보를이용하여제어신호를생성하는제어신호생성부를포함한다.

    Abstract translation: 遥控装置技术领域本发明涉及一种识别图像中的手指的遥控装置,并且使用与识别的手指相关的信息产生控制信号。 根据本发明的一个实施例的遥控装置包括:用于拍摄图像的照相机; 图像输入单元,用于接收由相机拍摄的图像; 图像分析单元,用于从输入到图像输入单元的图像中提取手区域,并且使用椭圆检测算法从所提取的手区域识别手指; 以及控制信号生成单元,用于通过使用与图像分析单元识别的手指相关的信息来生成控制信号。

    시각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입체 영상 후처리 장치 및 방법
    3.
    发明授权
    시각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입체 영상 후처리 장치 및 방법 有权
    具有减少视觉疲劳的立体图像后处理的装置和方法

    公开(公告)号:KR101550554B1

    公开(公告)日:2015-09-07

    申请号:KR1020140192446

    申请日:2014-12-29

    CPC classification number: H04N13/144 H04N5/57 H04N13/106 H04N13/30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소정의 동영상 인코딩 포맷에 의해 인코딩되어 있는 소스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입체 영상 데이터를 복원하는 영상 복호화부, 복원된 입체 영상 데이터로부터 원본 입체 영상들을 분리하는 입체 영상 분리부, 원본 입체 영상들에 대해 물체 영역과 배경 영역의 밝기 대비값을 소정의 기준 밝기 대비값에 따라 보정한 보정 입체 영상들을 생성하는 입체 영상 후처리 장치 및 보정 입체 영상들을 소정의 입체 영상 표시 방식에 따라 포맷팅하여 디스플레이에 전달하는 포맷터를 포함할 수 있다.

    Abstract translation: 根据本发明的实施例的立体图像后处理装置可以包括解码由运动图像编码格式编码并恢复立体图像数据的源图像数据的图像解码部分,分离原始立体图像的立体图像分离部分 来自恢复的立体图像数据的图像;立体图像后处理装置,其通过参照特定参考亮度对比度,通过相对于原始立体图像调整对象区域与背景区域的亮度对比度来生成校正立体图像 以及格式化器,其根据特定立体图像显示方法对校正立体图像进行格式化。

    시각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입체 영상 후처리 장치 및 방법
    4.
    发明公开
    시각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입체 영상 후처리 장치 및 방법 有权
    具有减少视觉疲劳的立体图像后处理的装置和方法

    公开(公告)号:KR1020160082912A

    公开(公告)日:2016-07-11

    申请号:KR1020150079968

    申请日:2015-06-05

    Abstract: 본발명의실시예들에따른입체영상표시장치는소정의동영상인코딩포맷에의해인코딩되어있는소스영상데이터를디코딩하여입체영상데이터를복원하는영상복호화부, 복원된입체영상데이터로부터원본입체영상들을분리하는입체영상분리부, 원본입체영상들에대해물체영역과배경영역의밝기대비값을소정의기준밝기대비값에따라보정한보정입체영상들을생성하는입체영상후처리장치및 보정입체영상들을소정의입체영상표시방식에따라포맷팅하여디스플레이에전달하는포맷터를포함할수 있다.

    Abstract translation: 根据本发明的实施例,立体图像显示装置可以包括:图像解码单元,通过解码已经由预定的视频编码格式编码的源图像数据来恢复立体图像数据; 将原始立体图像与恢复的立体图像数据分离的立体图像分离单元; 产生校正的立体图像的立体图像后处理装置,其通过预定的参考亮度对比度值来校正原始立体图像的对象区域和背景区域的亮度对比度值; 以及格式化器通过预定立体图像显示方法格式化校正的立体图像以将其发送到显示器。 本发明的目的是提供能够减少视觉疲劳的立体图像后处理装置。

    디지털 이미지 향상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
    5.
    发明公开
    디지털 이미지 향상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 有权
    用于增强数字图像的方法和装置,以及使用该图像的图像处理装置

    公开(公告)号:KR1020160002517A

    公开(公告)日:2016-01-08

    申请号:KR1020140081026

    申请日:2014-06-30

    CPC classification number: H04N9/646 H04N9/3188

    Abstract: 본발명의실시예에따른컴퓨터에서수행되는디지털이미지향상방법은입력되는디지털이미지의색공간을 RGB에서 YCbCr로변환하여, 휘도성분(Y 성분), Cb 성분및 Cr 성분을생성하는단계, 휘도성분을소정의컷오프주파수를가지는평활화필터로필터링하여조명성분(L 성분)을생성하는단계, 각픽셀마다휘도성분을조명성분으로나눈반사성분에기초하여반사성분맵을생성하는단계, 반사성분맵의히스토그램을기초로정규화하여보정된휘도성분을생성하는단계및 보정된휘도성분과 Cb 성분및 Cr 성분을 YCbCr에서 RGB로변환하여디지털향상이미지를생성하는단계를포함할수 있다.

    Abstract translation: 根据本发明的实施例,一种在计算机中执行的用于增强数字图像的方法包括以下步骤:将输入的数字图像的颜色空间从RGB转换成YCbCr,以产生亮度分量( Y成分),Cb成分,Cr成分, 用具有预定截止频率的平滑滤波器对亮度分量进行滤波,以产生照度分量(L分量); 基于通过每个像素将亮度分量分解为照度分量的反射分量产生反射分量图; 基于反射分量图的直方图生成归一化和校正的亮度分量; 并且从YCbCr将校正的亮度分量,Cb分量和Cr分量转换成RGB,以产生数字增强图像。

    시각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입체 영상 후처리 장치 및 방법
    6.
    发明授权
    시각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입체 영상 후처리 장치 및 방법 有权
    具有减少视觉疲劳的立体图像后处理的装置和方法

    公开(公告)号:KR101639949B1

    公开(公告)日:2016-07-15

    申请号:KR1020150079968

    申请日:2015-06-05

    Abstract: 본발명의실시예들에따른입체영상표시장치는소정의동영상인코딩포맷에의해인코딩되어있는소스영상데이터를디코딩하여입체영상데이터를복원하는영상복호화부, 복원된입체영상데이터로부터원본입체영상들을분리하는입체영상분리부, 원본입체영상들에대해물체영역과배경영역의밝기대비값을소정의기준밝기대비값에따라보정한보정입체영상들을생성하는입체영상후처리장치및 보정입체영상들을소정의입체영상표시방식에따라포맷팅하여디스플레이에전달하는포맷터를포함할수 있다.

Patent Agency Ran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