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한복 치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양면으로 제조된 한복원단(10)의 일측면(13)과 타측면(14)을 연결하기 위해 일측면(13)의 한복원단(10) 위에 타측면(14)의 한복원단(10)이 1cm가 겹쳐지게 놓은 후 겹치지는 부분의 중심선을 따라 박음질하여 연결되게 중앙봉제선(15)을 형성하는 단계와, 겹쳐진 양단의 한복원단(10)의 중심을 박음질하여 연결한 후 중앙봉제선(15)을 기준으로 타측면(14)의 한복원단(10)을 일측면(13) 방향으로 겹쳐지게 접어 중앙봉제선(15)이 덮혀져 가려지도록 한 후 접혀진 중심을 따라 봉제하여 한복원단(10)에 형성되는 중앙봉제선(15)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주게 되어 통솔형태로 시접을 처리하는 단계와, 일측면(13)과 타측면(14)의 한복원단(10)을 연결한 후 한복원단(10)의 밑단(16)을 형성하기 위해 하단의 한복원단(10)을 이면(12)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1차로 접어 다림질하고 다시 같은 방향으로 2cm를 접어 시접너비를 정하여 다림질하는 단계와, 한복원단(10)의 이면(12) 밑단(16)을 2cm의 시접너비로 접은 다음 한복원단(10)의 반대방향인 표면(11) 방향으로 동일하게 2cm의 시접너비 만큼 접어 다림질하고 이면(12)과 표면(11)의 시접너비가 서로 겹쳐지게 접혀진 상태에서 표면(11) 방향으로 접은 선을 따라 박음질하는 단계와, 박음질하여 고정한 후 봉제선 부분을 한복원단(10)의 밑단(16)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접은 후 다림질하여 밑단(16)을 형성하는 단계와, 한복원단(10)의 밑단(16)을 형성한 다음 밑단(16)과 동일한 봉제방법으로 한복원단(10)의 측면단(17)을 형성하는 단계와, 한복원단(10)의 밑단(16)과 측면단(17)을 동일한 봉제방법으로 형성한 후 측면단(17) 봉제시 밑단(16)과 측면단(17)이 겹쳐져 두껍게 형성되는 한복원단(10)의 모서리부분(18) 중에서 여러겹으로 겹쳐진 모서리부분(18)의 원단 중 안쪽에 있는 내피부분의 한복원단(10)을 절단하여 제거하는 단계와, 밑단(16)과 측면단(17)이 겹쳐지는 모서리부분(18)의 내측 원단을 잘라 제거한 후 겹쳐지는 밑단(16)과 측면단(17)의 사각 모서리를 따라 박음질하여 밑단(16)과 측면단(17)이 겹쳐지는 부분이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단계와, 밑단(16)과 측면단(17)을 형성한 다음 한복원단(10) 상부를 2cm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겹쳐지게 접어 박음질하여 한복원단(10)의 양면으로 치마주름(20)을 형성하는 단계로 한복치마를 제조함으로써 구입한 한복 치마를 양면으로 착용가능함에 따라 하나의 한복을 구입한 후 다양한 디자인으로 착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그에 따라 한복 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Abstract:
비실시간 3D 방송 콘텐츠를 시그널링 할 수 있는 방송 서비스 송신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방송 서비스 송신 장치는 기준 영상(Reference image) 및 부가 영상(Additional image)을 포함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콘텐츠를 인코딩하여 비실시간(Non-Real-Time, NRT) 스트림을 생성하는 NRT 콘텐츠 인코더와 상기 콘텐츠와 상응하는 서비스 맵 테이블(Service Map Table, SMT) 및 비실시간 정보 테이블(Non-Real-Time-Information Table, NRT-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NRT 시그널링 정보를 생성하는 NRT 시그널링 정보 인코더 및 상기 비실시간 스트림 및 NRT 시그널링 정보를 다중화하여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다중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기준 영상 및 부가 영상이 듀얼 스트림 형태로 인코딩된 경우에도 콘텐츠의 제공이 가능하다.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기준 영상과 상기 기준 영상과 별도로 전송되는 부가 영상 및 콘텐츠를 연동하여 3D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송 방법에 있어서, 기준 영상을 기반으로 실시간 기준 영상 스트림을 생성하여 실시간으로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실시간 기준 영상 스트림 생성 단계; 및 상기 기준 영상과 연동하여 3D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 영상 및 콘텐츠를 상기 기준 영상 스트림과 별도로 상기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부가 영상 및 콘텐츠 전송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실시간 기준 영상 스트림은 상기 기준 영상과 연동될 부가 영상 및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인 연동 정보 및 상기 기준 영상과 상기 부가 영상 및 콘텐츠와의 동기를 맞추기 위한 동기화 정보를 포함하는 3D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칩 기반 혈소판 복합기능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혈액 샘플이 내부에 수용되는 샘플 저장실; 샘플 저장실의 내부에 설치되어 혈액 샘플 내에 전단유동을 유발시키는 교반기; 교반기에 의해 교반된 혈액을 다수개의 경로로 분리시켜 유동시키는 병렬채널; 병렬채널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며 교반된 혈액을 병렬채널을 따라 유동시키는 진공장치; 병렬채널의 후단 측에 설치되어 병렬채널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 및 병렬채널 내의 혈액을 투과한 광을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혈액 유량을 측정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한번의 검사로 다수의 혈소판 기능에 대한 검사가 가능하고 검사 시간이 감소하며 검사 비용도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Abstract: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의 기준 영상과 부가 영상간의 동기화 방법은 기준 영상의 시작 시점을 수신기에 미리 알려주기 위한 소정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소정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수신측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는,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의 기준 영상과 부가 영상간의 동기화 방법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의 기준영상과 연동되는 부가영상을 수신측에서 미리 준비하도록 하기 위하여 송신측에서 부가영상 연동 정보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실시간 방송프로그램의 3D 기준 영상과 수신기에 저장된 3D 부가영상 또는 스트리밍되는 3D 부가 영상간의 동기화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Abstract:
프로그램 연동형 스테레오스코픽 방송 서비스를 위한 송신 장치 및 방법, 및 수신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송신 장치는 프로그램 연동형 스테레오스코픽 방송 서비스를 위한 송신 장치에 있어서, 기준 영상을 인코딩하여 실시간 스트림을 생성하는 실시간 스트림 인코더; 부가 영상을 기반으로 비실시간 스트림을 생성하는 비실시간 스트림 인코더; 3D 콘텐츠 동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준 영상과 상기 부가 영상의 동기화를 위한 서비스 시그널링 및 영상 동기화 정보 - 서비스 시그널링 및 영상 동기화 정보는 이벤트 정보 테이블 및 프로그램 맵 테이블을 포함함 - 스트림을 생성하는 영상 동기화 정보 생성기; 및 상기 실시간 스트림, 상기 비실시간 스트림 및 상기 서비스 시그널링 및 영상 동기화 정보 스트림을 다중화함으로써 프로그램 연동형 스테레오스코픽 방송 스트림을 생성하는 재다중화기를 포함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의 기준 영상과 부가 영상간의 동기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명세서는 프로그램 레벨의 서술자에 포함되고 기준 영상에 관한 프레임의 시작시간을 지시하는 기준시간 스탬프를 기반으로, 기준 영상의 현재 프레임과 기준시간 스탬프간의 시간차이를 계산하고, 시간차이를 이용하여 기준 영상에 관한 프레임과 부가 영상에 관한 프레임의 동기를 맞추는 동기화 방법을 개시한다. 실시간으로 송출되는 스트림과 함께 동기 시간 정보를 시그널링함으로써,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서비스가 시작되는 시점의 첫 PMT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패킷에러가 발생했을 때에도 저장된 부가 영상과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기준 영상간의 동기화가 가능하다. 이로써 안정적으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with a nutrient film technique and deep flow technique and, more specifically,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with a nutrient film technique and deep flow technique which enables sprout vegetable cultivation via the nutrient film technique and leaf vegetable cultivation via the deep flow technique to be shared by being installed in indoor places, buildings like a porch.
Abstract:
종래의 플러그(plug)는 단순히 전기의 배선과 코오드(cord)를 접속시켜 콘센트를 끼우는 역할을 하는 전기용품으로서 각 전자기구에 전류를 전달해 주고 콘센트를 끼우는 역할의 기능만을 가지고 있으며, 모든 전자제품은 전류가 많이 흐르게 되면 퓨즈가 녹아 끊어져 전류를 단절시켜 화재 등의 위험을 막고 가전제품의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퓨즈(fuse)를 내장하고 있다. 그러나 가전제품에 퓨즈의 장착된 위치가 일반 사용자가 찾기 힘든 곳으로서 일반 용자들이 가전제품의 작동이 중지될 때 퓨즈가 나갔는지 또는 다른 고장인지를 알 수가 없다. 그러나 본 고안품은 전자기기의 작동이 멈출 때 퓨즈의 실태를 바로 육안으로 먼저 점검하고 나서 다른 고장의 부위를 점검하게 된다. 퓨즈가 끊어 졌을 때 즉시 육안으로 점검하여 퓨즈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퓨즈가 끊어져도 이를 모르고 전기수리공을 부르거나 A/S센타를 찾아가게 되는데 이를 해소하고 간단한 퓨즈의 교체로, 가정에서도 수리를 할 수 있도록 한 고안이다. 또한 전기기구의 퓨즈가 설치된 위치를 잘 모르는 경우가 많으나 본 고안품은 이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현을 위해서는 종래의 콘센트의 구조를 그대로 원용하면서 콘센트에 퓨즈를 독립적으로 퓨즈를 장착(裝着)하도록 한 고안이다. 플러그를 끼우는 인입판(引入板)을 구성하고 전원을 전달하는 배선을 구성하며, 본 고안의 핵심인 퓨즈를 부착하며, 콘센트에 퓨즈를 직접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투명판으로 부착하고퓨즈가 끊어지는 상태를 직접 볼 수 있도록 한 장치를 한 것이다. 본 발명으로 인하여 가전제품을 사용하는 모든 가정이 전류가 과다하게 흘러 퓨즈의 절단 여부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퓨즈가 끊어지면 소비자가 직접 퓨즈를 갈아 끼울 수 있어 가전제품의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 운반용 카트에 관한 것으로, 재활용, 일반, 음식물 쓰레기 등의 각종 쓰레기를 분리 보관하였다가 분리수거 장소까지 한번에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쓰레기 운반용 카트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전방과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 저면 전후에는 다수개의 캐스터가 설치되며 저면 선단 양측에는 절개홈이 형성되는 한편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되는 베이스 수납체와; 저면의 전방 양측에는 상기 베이스 수납체와의 결합시 상기 베이스 수납체의 절개홈에 삽입된 채로 결합되는 캐스터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보조 수납체와; 상기 베이스 수납체의 측면 내벽에 부착되는 고정대와, 상기 보조 수납체의 측면 외벽에 부착되는 이동대와, 상기 고정대 및 이동대 사이에서 이동대의 직선운동을 안내하고 볼을 지지하는 리테이너로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 수납체 내에서 보조 수납체가 부드럽게 인출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보조 수납체의 인출시 상기 보조 수납체가 베이스 수납체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카트, 캐스터, 쓰레기, 재활용, 운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