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A series type DC/DC converting device is provided to prevent generation of a reactive power by varying a phase displacement of converters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nverters. A converter part(100) comprises a plurality of full-bridge converters(110~110n). Each full-bridge converter includes four switching devices(111). A transforming part(200) boosts an output power of the converter part. The transforming part comprises a plurality of transformers(210~210n)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full-bridge converters. A primary side of a plurality of transformers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full-bridge converters. The primary side of a plurality of transformers is parallel connected. A secondary side of a plurality of transformers is serially connected. A rectifying part(300) includes a bridge rectifier(310). The bridge rectifier includes four diodes(311). A filtering part(400) filters a power rectified by the bridge rectifier.
Abstract:
본 발명은 직렬형 DC/DC 컨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 개의 컨버터를 병렬연결하여 변압부의 입력단을 구성하고 상기 변압부의 출력단은 직렬로 연결하여 하나의 출력단을 가지도록 하여 정류부 및 필터링부의 수동소자 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변압부의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전원의 위상변위를 가변하여 높은 승압비를 구현할 수 있는 직렬형 DC/DC 컨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C/DC 컨버팅 장치는 네 개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풀 브리지 컨버터가 병렬로 연결되어 일정한 주파수의 전원들을 출력하는 컨버터부, 상기 풀 브리지 컨버터들와 대응하는 개수의 변압기들로 구성되되, 상기 각각의 변압기들의 1차 측은 상기 풀 브리지 인버터들과 각각 연결되어 병렬연결되고, 상기 각각의 변압기들의 2차 측은 서로 직렬연결되어 하나의 출력단을 가지며, 상기 컨버터부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승압하는 변압부, 상기 변압부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네 개의 다이오드가 구비된 브리지 정류기를 포함하며 상기 승압된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 및 직렬로 연결된 리액터와 콘덴서를 포함하며, 상기 브리지 정류기와 연결되어 상기 정류된 전원을 필터링하는 필터링부를 포함한다. 컨버터, 승압비, 위상변위, 정류기, 풀 브리지 컨버터
Abstract:
본 발명은 최대 효율점 추적(MEPT: maximum efficiency point tracking)을 이용한 전력 변환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력 변환의 제어 방법은, 제1 전력 변환장치 및 제1 전력 변환장치와 병렬로 연결된 제2 전력 변환장치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전력 변환 시스템의 제1 효율을 결정하는 단계, 제1 전력 변환 장치에 입력되는 제1 전류의 양을 증가시키고 제2 전력 변환 장치에 입력되는 제2 전류의 양을 감소시키는 제1 모드 및 제1 전력 변환 장치에 입력되는 제1 전류의 양을 감소시키고 제2 전력 변환 장치에 입력되는 제2 전류의 양을 증가시키는 제2 모드 중 한 모드로 제1 전류의 양과 제2 전류의 양을 변경하고, 전력 변환 시스템의 제2 효율을 결정하는 단계, 제1 효율과 제2 효율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전류 조절 모드를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전류 조절 모드에 따라 제1 전류의 양과 제2 전류의 양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저비용으로 다중 출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써, 고조파왜곡율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고, 복수개의 전원을 필요로 하는 장치나 복수개의 전원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중 출력 변환기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고 효율을 가지며 복수개의 출력 전압을 제어할 수 있는 다중 출력 변환기를 제공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2상 초음파 진동 발생기 및 LED 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복합 물리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치료기 본체, 상기 치료기 본체의 양 측면에 연결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 밴드 및 상기 지지 밴드의 양 끝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지지 밴드의 양 끝단부를 체결하는 암고정부재와 수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치료기 본체의 타측 표면에는 A상 및 B상을 발생하며, 중심 구멍이 있는 환형의 2상 초음파 진동 발생기 및 상기 초음파 진동 발생기들 각각의 중심구멍에 구비된 LED 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치료기 본체의 일측 표면에는 상기 2상 초음파 진동 발생기들 및 LED 소자들과 연결된 제1입력부 및 제1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상 초음파 진동 발생기 및 LED 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복합 물리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저밀도 패리티 체크 부호를 이용한 DNA 데이터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프로그램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DNA 저장 장치에 존재하는 3 가지의 오류를 유발하는 생화학적 특정들을 가지고 있는 염기 배열들을 제외하고, 최종 생성된 염기 배열들의 G와 C의 비율과, 연속된 염기의 개수를 확인하여, 기준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염기 배열을들 제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복호화 시 오류 발생 가능성을 낮추고 보다 정확도 높은 데이터 복원이 가능하다.
Abstract:
본 발명은 DNA 저장 부호화 방법, 프로그램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염기 비율과 연속적 발생을 제한하는 DNA 저장 부호화 방법, 프로그램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아닌과 사이토신의 비율을 타겟 범위내로 맞추고, 연속적으로 같은 염기가 생성되는 총 개수를 타겟 기준 이하가 되도록 직접 설계함으로써 오류율을 저감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NA 저장 장치의 시퀀스 집단화 방식 기반 복호화 방법, 프로그램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티치 알고리즘을 통해 형성된 염기 서열에서 특정 길이를 가지는 염기 서열을 추출할 때 동일성 정도를 바탕으로 클러스터링을 진행하되, 완전히 동일한 염기 서열 뿐 아니라 적은 에러를 가지는 염기 서열들도 클러스터에 포함함으로써 에러 데이터를 활용하여 복호화 효율을 향상시키고, 최종 에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직류 입력 전원으로부터 단상 교류 출력전압을 발생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 인버터로 3레벨의 교류출력 파형을 가지는 기존의 풀브릿지 인버터와 동일한 스위치 숫자로 4레벨, 5레벨 등 다중 레벨의 교류 출력파형으로 높은 전력품질을 달성하는 단상풀브릿지인버터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2상 초음파 진동 발생기 및 LED 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복합 물리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치료기 본체, 상기 치료기 본체의 양 측면에 연결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 밴드 및 상기 지지 밴드의 양 끝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지지 밴드의 양 끝단부를 체결하는 암고정부재와 수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치료기 본체의 타측 표면에는 A상 및 B상을 발생하며, 중심 구멍이 있는 환형의 2상 초음파 진동 발생기 및 상기 초음파 진동 발생기들 각각의 중심구멍에 구비된 LED 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치료기 본체의 일측 표면에는 상기 2상 초음파 진동 발생기들 및 LED 소자들과 연결된 제1입력부 및 제1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상 초음파 진동 발생기 및 LED 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복합 물리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