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감탕나무의 엽록체 식별용 마커, 감탕나무 엽록체 식별용 프라이머 세트, 완도호랑가시나무 식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감탕나무 유래 엽록체 완도호랑가시나무 식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감탕나무의 엽록체 식별용 마커 조성물, 식별용 프라이머 세트, 식별 방법, 식별용 조성물 또는 식별용 키트를 이용하면, 엽록체 DNA로부터 엽록체의 유래가 감탕나무 유래 엽록체 인지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감탕나무, 호랑가시나무 또는 완도호랑가시나무 식별용 프라이머 세트, 식별 방법, 식별용 조성물 또는 식별용 키트를 이용하면 나무의 DNA로부터 감탕나무, 호랑가시나무 또는 완도호랑가시나무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감탕나무, 호랑가시나무, 감탕나무 유래 엽록체 완도호랑가시나무 또는 호랑가시나무 유래 엽록체 완도호랑가시나무 식별용 프라이머 세트, 식별 방법, 식별용 조성물, 식별용 키트를 이용하면 나무의 DNA로부터 감탕나무, 호랑가시나무, 감탕나무 유래 엽록체 완도호랑가시나무 또는 호랑가시나무 유래 엽록체 완도호랑가시나무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PNA 프로브 및 융해곡선분석을 이용한 미토콘드리아 DNA의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분석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포터(repoter) 및 소광자(quencher)가 결합된 PNA(peptide nucleic acid) 프로브를 이용하여 PNA 프로브와 미토콘드리아 DNA간의 융해곡선분석을 통한 미토콘드리아 DNA의 SNP 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리포터 및 소광자가 결합된 PNA 프로브를 이용한 미토콘드리아 DNA의 SNP 분석방법을 사용하면, 개인 식별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대량의 검사 혹은 많은 사상자의 발생 시 초기 분석으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며, 신원확인 관련 정보를 코드화 할 수 있으므로 관리 및 감독이 매우 용이하다.
Abstract:
PURPOSE: A paternity test verification system using DNA analysis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receive test results of DNA test equipment through an automated system, thereby preventing errors caused by mistakes during an input process and providing convenience of use. CONSTITUTION: A DNA information receiving part (110) receives an allele test result from DNA test equipment. A DNA analysis part (130) applies the allele test result based on a paternity test verification algorithm stored in an internal memory and extracts a paternity probability and a kinship probability for the confirmation of paternity and kinship. A paternity/kinship determination part (140) determines paternity and kinship based on the paternity probability and the kinship probability. A kinship certificate generation part (150) generates a kinship certificate based on a result of the paternity and kinship determination. [Reference numerals] (110) DNA information receiving part; (120) Information management part; (130) DNA information receiving part; (140) Paternity/kinship determination part; (150) Kinship certificate generation part; (160) Data backup management part; (AA) Kinship certificate